p. 229
자갈이나 모래, 진흙이 오랫동안 물속에 쌓여서 바위로 변하면 퇴적암이 된다. 퇴적암은 대부분 이렇게 물속에서 만들어진다. 퇴적물 위에 새로운 퇴적물이 쌓이기 때문에 아래에 있는 퇴적암일수록 더 오래되었다. 이것을 스테노의 원리라 부른다.

스테노의 원리는 너무나도 당연하게 보여서 그 전에 아무도 이런 생각을 못했다는 것이 이제는 더 이상하게 보인다. 하지만 아무리 간단한 것이라도 당연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누군가가 맨 처음 그것을 생각하고 증명해서 모두가 알게 되었고, 먼 훗날에 아이들은 학교에서 배우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 50~51
일본은 미국과의 전쟁에서 장기전보다는 기습 공격이 유리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고, 1941년 진주만 공습을 성공시킴으로써 태평양 전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42년 미드웨이해전에서는 참패하게 된다. 미드웨이 섬의 미군 기지를 공격한다는 일본의 작전 암호문이 미국 정보국에 의해 해독되었기 때문이다.
연합군이 독일군과 일본군의 정교한 암호를 해독한 것은 제2차세계대전의 종전을 가져온 일등공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 111
너희도 무언가를 배울 때는 파브르 할아버지의 이 말을 꼭 기억해라. 책과 인터넷에 나온다고 당연하게 생각하지 말고 스스로 관찰하고 조사하고 생각해 보고 그런 다음에야 정말로 알게 되었다고 말해야 한다. 그러면 안다고 생각했는데 사실은 알고 있지 않았다는 걸 깨닫게 된다. 아마도 공부를 하면 할수록 너는 모르는 것이 점점 더 많아질 것이다! 모르는 것이 점점 더 많아지는 것, 그것이 바로 진짜 공부의 비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 80
로마인들은 야채를 소금에 절이면서 소금이 야채 본래의 쓴맛을 없애준다고 믿었다. 그래서 ‘소금에 절인(salted)‘이란 단어가 ‘샐러드(salad)‘의 어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 79
로마 군단은 병사와 말과 가축에게 소금을 나눠주어야 했다. 때때로 병사들은 급료를 소금으로 받기도 했으며, 그것은 급료(salary)와 급료값을 하는(worth his salt)‘이나 급료를 버는(earning his salt)‘이라는 말의 기원이 되었다. 실제로 급료를 의미하는 라틴어의 sal은 프랑스어 solde가 되었고 그것은 soldier의 어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