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과 꼭 결혼하고 싶습니다 온우주 단편선 1
곽재식 지음 / 온우주 / 2013년 5월
평점 :
품절


제목만 보고는 로맨틱 소설을 상상했는데-그래서 별로였는데 추천해준 그녀가 그런거 아니라고 귀띔해줬다-내용을 보니 정말 간절하게(?) 결혼식!을 하고 싶은 남자 이야기다.
말그대로 산넘고 물건너 바다건너까지.
「최악의 레이싱」에서 반사신경을 키우는 훈련을 언급할 때와 표제작 「당신과 꼭 결혼하고 싶습니다」에서 그 험난 여정 속에 몽골 대초원을 말타고 달리는 장면에서는 도무지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다.
카페에서 읽다 미친X처럼 두 번 빵터졌다.
오랜만에 책읽으며 한참을 웃었네.
시트콤이나 단막극으로 나와도 재미있겠다 싶다
너무 숨가쁘게 웃픈 일이 생기기만 해서 답답하기도 했지만.
헌데...그렇게 결혼한 그들의 이후 현실은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사-스마트tv 구매-넷플릭스 가입-독서량 저하
예견된 수순이었다
그래도 이런 작품을 만날 수 있다는 건 좋다
드라마 나빌레라를 밤새 울며 봤다
며칠이 지나도 그 여운이 잊혀지지 않았다
드라마에 나오는 주옥같은 대사들 하나하나 담아두고 싶었다
원작에도 그런 대사가 나올까 궁금하기도 했고.
아이들과 함께 본 드라마
두고두고 보면 좋을 만화책이라 질렀다
학습만화보다 낫잖아? 하면서.
도착하자마자 저들 차지여서 내 순서는 뒤로 밀렸다
드라마의 감동이 지면에선 또 어떻게 다가오는지는 다음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느 순간부터 강렬한 소망이 이성을 압도해 버렸다. 벗어나고 싶은 현실의 어려움도 한몫했을 것이나 핑계였다. 소망이 이성을 휘어잡고 결과를 낙관하게만 만든다면 환상에 불과하거늘, 십 년 전 그때는 알지 못했다. 
- P2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당부분 동의하고 지지하는 입장이지만 논리적 비약이 종종 있어서 설득력이 떨어진다
이완배 기자의 팟캐스트 방송이 더 이해하기 쉽고 설득력이 있었던 것 같은 기억인데 클립을 찾기 참 어렵다
찾은것-
2020.6.1 방송분부터 들으면 좋을듯
http://podbbang.com/ch/9938?e=23556203
2020.6.8 방송분
http://podbbang.com/ch/9938?e=23564876

다시 듣는 중
좀 더 찾아보고 추가해놔야지



빈곤을 해결하려면 물고기를 주어야 하는지 물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줘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은 오래되었다. 두 방법 가운데 어느 하나가 절대적으로 옳거나 틀린 것은 아니다. (...) 하지만 또 하나의 효과적인 방법을 우리는 잊고 있었다. 각자가 자기에게 맞는 최선의 방법을 택할 수 있도록 그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 P78

그러므로 취업 노동만 ‘일‘로 여기고 거기에만 소득의 정당한 자격을 부여해야 할 이유는 전혀 없다. 취업해서 보수를 받는 일 말고도 세상에는 다양한 일이 존재한다. 실은, 사람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일을 하고 있다. 기본소득에는 사람들이 하고 있는 모든 의미 있는 일을 존중하고, 무보수 노동의 가치를 사회적으로 인정해주는 의미가 있다. 
- P123

인간은 기계가 따라오지 못하는 능력을 계발해야만 한다. 그것은 공감·돌봄·사랑·협동·놀이·예술·호기심, 그리고 엉뚱한 상상 같은 능력이다. 덜 생산적이고 더 가치 있게 사는 것. 이것이 21세기 기계 시대에 인간이 살아남는 방법이다.

- P1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 74
기본소득 다큐멘터리 영화 <문화적 충동>
https://youtu.be/_ZYu46ayLvM

울프의 말뜻은, 귀족들이 누린 ‘노동으로부터 자유로운 삶, 품위있는 삶‘을 여성들도, 가난한 여성들까지도 누려야 한다는 것이다. 푹 쉬고, 여행하고, 책 읽고, 글 쓰고, 친구와 만나고, 악기를 연주하고, 춤추고, 외국어를 공부하고, 자선 활동하고, 정치에 참여하는 삶, 그런 삶을 모두가 살 수 있어야 한다. 그냥 살기 위해사는 게 아니라, 존 스튜어트 밀의 말을 빌리자면 ‘삶의 기예art of living‘ 를 갈고 닦으면서 값지게 살아야 한다.
- P68

비현실적이라고 말하기 전에 생각해보자. 정치란 무엇이어야 하는가를, 시대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시대를 이끄는 것이고, 현실에 없는 세상(유토피아)을 현실에 존재하도록(나우토피아) 만들 방법을 찾는 일 아닌가.
- P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