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장 유전자의 행동방식 / Genesmanship
영문제목이 더 와닿는다.

이기적이지만 이타적인 유전자...헷갈리는구나.(p. 204)

유전학으로 볼 때, 식당에서 ‘이모~‘라는 말은 아주 조심해야 할 ˝중요한˝ 말이라고 생각하니 피식 웃음이 나온다.(p. 209)

부모-자식간의 그 확실성을 무시하는 뉴스들이 참 많이 나오는 요즘, 이건 또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p. 215)
반면, 외할머니, 외삼촌이 확실성때문에 친할머니, 친삼촌보다 강한 이타주의를 나타낸다는 부분은 흥미롭다. 왜냐하면 며느리는 바람을 피웠을지도 모르기 때문에...ㅎㅎ(p. 217)




8촌처럼 먼 친척 관계 (2x(1/2)^8=1/128)에 대해서는 특정 개체가 가진 특정한 한 유전자를 전체 개체군 내 임의의 개체가 공유할 확률로 정의되는 ‘기준 확률‘에 가까워진다. 8촌 간은 이타적 유전자의 관점에서 보면 지나가는 행인과 같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6촌끼리(근연도 1/32)는 아주 조금만 특별할 뿐이며, 사촌끼리(1/8)는 이것보다 조금 더 특별하다. 친형제와 친자식(1/2)은 매우 특별한 존재들이다. 그리고 일란성 쌍둥이끼리(근연도 1)는 자기 자신만큼 특별하다. 삼촌(외삼촌)과 고모(이모), 조카, 할아버지 할머니와 손자, 배다른 형제자매는 근연도가 1/4이기 때문에 그 중간 정도다.

- P196

그러나 동생과 사촌이 두 개씩 먹었을 때에도 나는 얼마간 득점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우리가 유전자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실제의 총득점은 (1×12)+(1/2×12)+(1/8×12) + (0×12)=+19.5이 된다. 이기적으로 행동할 경우 순이익은 +18이다. 두 점수는 비슷하나 답은 분명하다. 나는 먹이 신호를 내야 한다. 이 경우 나의 이타주의는 나의 이기적인 유전자에 이익을 주는 것이 된다.

- P204

원숭이를 관찰하는 사람들은 입양하는 암컷에게 ‘이모‘라는 말을 종종 쓴다. 대개의 경우 그 암컷이 실제로 이모라는 증거는 없으며 이떤 친척이라는 증거도 없다. 원숭이를 관찰하는 사람들이 유전자에 대해 잘 알고 있었더라면 ‘이모‘와 같은 중요한 말을 그렇게 함부로 쓰지는 않았을 것이다. 
- P209

따라서 이타주의의 진화에서 ‘진짜‘ 근연도는 동물들이 근연도에 대해 얻을 수 있는 최선의 추정치만큼 중요하지는 않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아마도 이 사실은 자연계에서 부모의 자식 돌보기가 형제 자매의 이타주의에 비해 왜 그렇게 빈번하고 헌신적인지, 또 동물이 왜 자기 자신을 형제 몇 명보다도 더 귀중하게 평가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이해하는 열쇠가 될 것이다. 여기서 내가 말하려는 요점은 근연도 지수뿐만 아니라 ‘확실성의 지수‘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부모-자식의 관계는 유전적으로 형제자매 관계보다 더 가깝지는 않으나, 그 확실성은 훨씬 높다. 보통 누가 자기의 형제인가보다는 누가 자기의 새끼인가가 훨씬 더 확실하다. 그리고 누가 자기 자신인가라는 것은 더욱더 확실하다.

- P2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