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아이가 울면서 학교에 갔어. 둘이 아침 먹다 다퉈서 아빠한테 혼났어. 작은애는 눈치껏 나갔는데 큰애는 뭐가 억울한지 분해서 우는 거야. 집 나가고 싶다네. 내가 보기엔 우리 집처럼 편안한 집이 있을까, 싶은데 아이들은 그렇지 않나 봐. 심통이 나서 내뱉은 말이긴 하지만 우리 집이 제일 나빠, 라는 말을 얼마 전에도 들었거든.
나도 그럴 때가 있었어. 마을에 친한 친구가 있었는데 그 집은 양옥집에, 형제 수만큼 책상도 있고, 세탁기도 있고, 하교하면 언제나 집에 엄마가 계셨어. 부모님은 교양 있어 보이고, 그 집 아빠는 친구와도 친해 보였어. 우리 집은 그렇지 않았다는 뜻이지. 그러니까 난 그 애보다 좀 더 불행하다고 생각하면서 우리 집 이야기는 하지 않았어. 주로 그 집에서 놀았어.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우연히 그 친구를 만나 학교 운동장에 갔어. 해가 뉘엿뉘엿 지는데 그 친구가 자기 집 이야기를 했어. 아빠가 오랫동안 두 집 살림을 하고, 엄마와는 매일 다투셨다고. 결국 이혼하셨다는 거야. 정말 놀랐어. 완벽해 보이던 가정에 그런 상처가 있었다는 것도, 내가 그 친구의 아픔을 조금도 알아차리지 못했다는 것도, 그 상처를 내게 담담하게 이야기 한다는 것도 모두 놀라웠어. 내 이야기도 나누고 싶었지만 내가 불행이라 여겼던 건 친구의 이야기에 비해 너무 사소해서 말할 수 없었어. 나는 아이 같고, 친구는 어른처럼 느껴졌어.
언젠가 드라마를 보면서, “저 집은 정말 깨끗하다.”고 했더니 언니가 “저 집엔 사람이 안 살잖아. 세트니까.” 하더라. 완벽한 집은 없어. 사람이 사는 곳이라면. 저마다의 사정이 있고, 그 사정을 받아들이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생각이 들어.
부모양육태도 심리검산가? 검사 제목은 기억이 잘 안 나는데 그 검사 결과 나는 일관성이 높은 반면 칭찬에 인색하다네. 상담 선생님 말로는 한마디로 리액션이 약하대. 그래서 목소리 톤을 높여서 아이들에게 반응해 주라고 하실 줄 알았는데, 사람마다 기질이 있어서 노력은 할 수 있어도 억지로 하면 지친다면서 일관성 있으면서 리액션이 큰 경우는 드물다는 거야. 반대의 경우도 그렇고. 그게 어머니의 특성이죠, 하는 거야.
좋은 양육태도를 다 갖고 있다면 그보다 좋을 순 없겠지만 나는 나라서 다른 사람처럼 되기가 쉽지 않아. 상담 선생님이 그 부분을 받아들이고 이야기를 진행하니까 한결 마음이 편했어. 나도 그 상담 선생님처럼 아이들과 이야기 나누고 싶어. 아이들도 자라서 사람들의 속내를 듣고, 많은 경험을 하면 아침에 꾸중 듣는 일이 온 마을의 집들과 우리 집을 비교할 만한 일이 아니란 걸 알게 되겠지. 우리 집은 우리 집만의 특성이 있다는 것도. 햇살이 거실 가운데까지 들어왔어. 이 햇살이 지금은 아이들 눈에 보이지 않겠지만 나중에라도 자기들이 햇살의 집에 살았다는 걸 알면 좋겠어.
식사를 끝낸 뒤 어머니와 난 ‘생선이다’ ‘아니다, 오리고기다’ 서로 우기며 사소한 언쟁을 벌였다. 그처럼 평화로운 시골 마을에서 대체 무슨 짓이었던지. -최영미, 『시대의 우울』(창작과 비평사, 1997), p.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