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입의 즐거움 - 개정판 매스터마인즈 1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지음, 이희재 옮김 / 해냄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삶이 갑갑하고 나 자신이 불만족스러워 가끔 자기계발서나 대중적 심리학서를 찾게 되지만 솔직히 대놓고 이 책 읽었소~라기 부끄러운 책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일단 자기계발서라고 하면 무당이나 점집 찾아가듯 남몰래 반신반의하는 마음으로 슬그머니 찾게 되었던것도 사실이다.

이 책은 그런 종류의 자기계발서와는 격이 다르다!

현실이라는 땅에 발을 굳건히 딛고서 한편으로 영적인(spiritual) 감동을 지향하고 있다. 이때 영적이라는 것은 (특정)종교적이거나 신비주의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다. 저자는 과학과 상식, 엄선된 지식의 기반 위에서 개인의 삶과 더 나아가 인류와 우주 전체에 의미를 불어넣고자 한다. 굳이 비슷한 시도를 찾자면 자신의 수양과 극기를 통해 초월에 이르는 불교와 같은 동양의 종교에 비교할 수 있겠다.

저자는 우리의 삶을 훌륭하게 가꾸어주는 것은 행복이 아니라 "몰입"이라고 이야기한다. 몰입은 감정과 목표와 사고가 하나로 조화된 상태, 의식이 경험으로 꽉 찬 상태를 말한다. 쉽게 말하자면 흐트러지지 않은 명징한 상태, 몰아 내지는 무아지경의 상태를 말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러한 상태를 삶에서 떼어내 저 멀리 있는 어떤 것으로 여길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적 삶, 일과 여가에서 그러한 경험을 추구하고 실현할 것을 권하고 있다.  수동적이고 소모적인 일이나 오락이 아니라 주체적이고 생산적인 일과 오락,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고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활동으로 삶을 채우라는 것이다.  또한 몰입의 흔한 원천이자 스트레스, 부정적 경험의 원천이 될 수도 있는 인간관계 역시 바람직한 질서를 부여하기 위해 우리의 목표와 타인의 목표간에 합치점을 찾으라고 충고한다.

저자가 도입한 독특한 개념은 "심리적 엔트로피"이다.

슬픔, 두려움, 떨림, 지루함과 같이 바람직하지 못한 감정은 "심리적 엔트로피"를 조성하는데 "무질서도"를 의미하는 엔트로피 상태에 빠지면 우리는 내부의 질서를 다시 세우는데 온통 신경을 쏟아야 하기때문에 바깥일에 집중할 수 없게 된다. 반면 행복, 과단성, 민첩성과 같은 바람직한 감정은 "심리적 반(反)엔트로피 상태"를 조성하고 이 때 우리는 아무 걸림돌 없이 우리가 선택한 과제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심리적 엔트로피 개념은 점점 확대되어 무질서한 것은 악이고 질서와 복잡성에 대한 지향은 선이라는 논리로 나아간다.

여기에서 저자의 견해는 "문화진화론" 지지자들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기나긴 시간 단위에서 생태계와 생명의 구조가 점점 복잡해지는 쪽으로 나간다는 사실에서 종교의 가능성을 보았다. 거기서 혼돈이 지배하는 우주가 아니라 의미있는 줄거리를 가진 우주를 감지했기 때문이다.'(p188)라고 그는 말한다.

그러면서 오메가 포인트라는 개념을 내세운 테야르 드 샤르댕과 그의 지지자 워딩턴 J. 헉슬리, T 도브잔스키...그리고 비슷한 견해를 피력했던 조너스 설크, 존 아치볼드 휠러, 벤저민 스포크 등을 언급하고 인용한다. 나는 이 마지막 장이 너무나 좋았다. 일류 과학자이고 아마도 당연히 무신론자 물리주의자임에도 우리의 삶과 세계에서 영적, 종교적 의미를 찾지 못해 안달했던 동료들의 이름을 주워섬기는 저자의 의도가 너무나 생생히..절절히...가슴에 와 닿았다. (공감...또 공감...)

아무튼....신을 잃어버리고 무의미하고 냉소적인 세계관, 인생관 속에서 찰나의 행복과 욕망의 가르침에 충실해지는 나 자신에게 상쾌한 충격과 감동을 준 책이다.

<인상적 구절>

인간 사회에서 나타나는 악은 물질계에서 나타나는 엔트로피(무질서)에 비유할 수 있다. 우리는 한 사람의 영혼이나 공동체를 어지럽히고 괴롭게 만드는 원인물을 악이라고 부른다. 악은 대체로 가장 손쉬운 길을 택하며 저급한 수준의 원리를 좇아 움직인다..........거기에 맞서는 것이 우리가 '선'이라고 부르는 힘이다. 선은 경직성에 빠지지 않으면서도 질서를 지켜나가려는 행위, 가장 발달된 체계의 요구에 따라 움직이는 행위를 말한다. 선은 미래, 공동의 선, 타인의 입장을 배려하는 행위를 뜻한다................새로운 조직 원리에 따라 움직인다는 건 항상 어려운 일이고 더 많은 노력과 에너지의 투입을 요구한다. 그것을 이루어내는 능력을 우리는 덕이라고 부른다.

엔트로피가 지배하도록 놓아두는 쪽이 훨씬 편한데 우리는 왜 굳이 덕을 추구해야하는 것일까? 영생이 보장되는 것도 아닌데 왜 굳이 진화의 길을 선택해야 하는 것일까? 우리는 영생을 좀 더 거시적인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이 세상에서 하는 행동은 오래도록 울려퍼지면서 앞으로 펼쳐질 미래상에 영향을 미친다. 지금 우리가 갖고 있는 개인 의식이 죽고 난 뒤 어딘가에 보존되든 아니면 깡그리 사라지든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 하나 있다. 그것은 나라는 존재가 전체 현실을 구성하는 씨줄과 날줄의 일부분으로서 영원히 남으리라는 것이다. 우리가 생명의 미래에 더 많은 정력을 투자할 수록 우리는 그 생명의 일부분으로 확고히 자리잡을 수 있게 된다. 거대한 진화의 틀 속에서 자신을 파악하는 사람의 의식은 작은 개울이 거대한 강물로 합류하듯이 우주와 하나가 된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야클 2006-07-27 17: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주 수준 높은 자기계발서 같은데요? -_-;;
근데 이네파벨님은 더 이상 자기계발 안해도 되는 경지 아니신가요? ^^

이네파벨 2006-07-28 06: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야클님이 저를 띠엄띠엄 아시기에 그런 말씀을 하시는 것이지요~
오히려...사실을 말하자면...거의 계발이나 개선의 여지가 없는 (견적이 안나오는) 혼돈상태에 가깝죠...ㅡ,.ㅡ

writer.kim 2007-05-15 13: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와 같은 부분에서 감동먹으셨군요. 저도 이 책의 마지막 장이 너므 조와 책을 다 읽고 나서도 한참동안 이 글들이 머리 속에서 맴돌았더랬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