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lash in the ocean
-
-
뮤지코필리아 - 뇌와 음악에 관한 이야기
올리버 색스 지음, 장호연 옮김, 김종성 감수 / 알마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음악과 뇌에 관한 전문적 지식을 알수 있는 책이다.
일반 사람이 읽기엔 결코 쉽지 않은 책이지만 작가가 오랜 동안 연구해 온 자료와 그리고 사례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어서 지루한 면이 조금은 없지 않지만 읽을 수록 흥미를 느끼기엔 충분한 책인 것 같다.
이제까지 난 음악은 우리의 마음이 병을 치료하거나 마음의 위로가 되거나 사람의 흥을 돋구어 주는 긍적적인 측면으로만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모든 것이 다 그러하듯 음악도 긍적적인 측면이외에 부정적인 측면도 있음을 이 책을 읽으면서 느끼게 되었다.
필연적으로 보통의 일반 사람들이라면 음악을 즐기며, 음악을 하나의 마음의 위안으로 삼는다.
그래서인지 음악은 우리 일상생활과는 뗄래야 뗄 수가 없는 삶의 활력소임을 무시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24시간을 음악에 지배를 받는 사람은 그러한 생각에 긍정하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이 든다.
이 책은 어떤 우연한 사고나 병적인 징조나 우리 귀의 청력에 문제가 있어 뇌가 음악의 지배를 받는 사람들이 이야기를 하고 있다.
하루 24시간을 머리에서 들리는 음악과 같이 생활하는 사람들,
물론 어떤 사람들은 자신의 머리에서 들리는 그 음악을 놀라운 집중력으로 음악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법을 배우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들도 있는 것 같다.
올리버색슨은 그런 사람들의 치료를 담당하면서 음악이 우리 뇌에 미치는 여러가지 영향에 대해관심을 갖게 된 것 같다.
이 책은 각각의 이야기를 4부로 나누어 주제에 맞는 사례와 그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1부에서는 <음악에 홀리다>는 주제로 1. 번개맞고 음악을 사랑하게 된 남자, 2.묘하게 친숙한 느낌:음악발작, 3. 음악공포증:음악유발성 간질, 4. 뇌속에 울리는 음악:심상과 상상력, 5. 뇌벌레,끈질기게 들러붙는 음악, 귀에 쏙 들어오는 선율, 6. 음악 환청 이란 소주제로 음악에 인해 일상생활마저 자유롭지 못 하게 된 사람들이 이야기를 적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항상 어디에선나 들리는 귀가 먹먹할 정도로 크게 울려대는 그리고 우리 아이들이 즐겨 듣는 이어폰으로 인한 음악 폭격은 극도로 민감하게 만들어진 청각계에 과한 부담을 주어 처력 상실이나 난청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면 그러한 현상은 음악가에게 많이 나타나긴 하지만 짜증날 정도로 귀에 달라붙는 곡조가 여기저기 울려 퍼지는 현상이나 뇌벌레가 불쑥 찾아와 멋대로 놀다 떠나는 것도 이때문이란 사실은 음악을 즐기는 것도 너무 과하지 않아야 함을 말하고 있는 것 같다.
2부에서는 <놀랍고도 풍부한 음악성의 세계>라는 주제로 1. 감각과 감수성:음악성의 문제, 2. 무너져가는 세상: 실음악증과 화음 감각 장애, 3. 코 푸는 소리가 '사'음으로 들려요:절대음감, 4. 불완전한 음높이:달팽이관과 실음악증, 4. 살아있는 스테레오: 귀는 왜 두 개일까 5. 2000편의 오페라:음악 서번트, 5. 청각의 세계:음악과 시각 장애, 6. 청명한 녹색을 띤 조성:공감각과 음악 이란 소주제로 탁월한 음악적 재능을 갖고 태어난 사람들이 이야기와 전혀 음악을 인식하지 못하는 실음악증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 책에 구절 중엔 오늘 날 해부학자들이 뇌를 보고 화가의 뇌인지 작가의 뇌인지 수학자의 뇌인지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전문 음악가의 뇌는 한순간의 망설임도 없이 알아낸다고 한다.
그만큼 음악과 뇌와는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같다.
실음악증은 음이 음으로 인식되지 않고 따라서 음악이 음악으로 경험되지 않는 현상을 이야기 한다.
음악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삶의 자괴감은 또 다름 음악의 힘이 아닐까 싶다.
3부에서는 <기억과 동작, 그리고 음악>이라는 주제로, 4부에서는 <정서와 정체성 그리고 음악> 이란 주제로 음악이 가지고 있는 놀라운 힘을 이야기하고 있다.
음악이 가지고 있는 의학적 치유의 힘을 사례와 더불어 보여주면서 음악이 인간의 뇌에 얼마나 많은 활기를 불어 넣을 수 있는지 그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파킨슨병 환자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음악이다. 엄격하면서도 넉넉한 울림이 있고 굽이치고 생동감 넘치는 음악만이 그들로부터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 그리고 파킨슨병 환자가 본연의 움직이는 선율을 되찾으려면 박자에 맞게 떨어지는 리듬과 자유롭게 오르내리고 긴장과 완화가 이어지는 선율 구조뿐만 아니라 음악의 '의지'와 의도도 있어야 한다>
음악이 우리에게 주는 마음의 위안을 우리는 무시할 수 없다.
그리고 그러므로 인해 우리의 뇌에 미치는 음악의 힘은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지대할 런지도 모른다.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얼마나 음악의 역할을 이해하고 음악을 잘 이용하는가 그것에 따라 우리의 삶의 질도 달라지지 않을까 이 책을 읽는 내내 생각했다.
참 서평으로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