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일이 닥치거나 책을 읽을 때에야 새롭게 떠오르는 지식들이 있다. 기아로 죽는 사람들이 전쟁으로 죽는 사람보다 많다는 것도 그것들 중 하나다. 저개발국가의 공통된 관심사이자 절박한 문제인 기아에 맞서기 위해 세계적 차원에서 특별 기구를 만들고 구조사업을 벌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사자 수가 줄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려면 쉽지 않다. 식량 공급을 좌지우지하는 거대자본의 횡포가 제일 큰 문제라고 혀를 찰 수 있을 것이다. 틀린 말이 아니다. 하지만 그것만 가지고는 어떻게 라는 문제에 답하지 못한다.

우리가 기아 문제를 생각하는 것은 문제의 원인제공자를 찾아내려는 것이 아니라 기아에서 벗어나도록 도울 방법을 고안하기 위함이다. 그러자면 정치한 분석과 정밀한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자면 기아 문제가 발생하게 된 원인과 과정, 그리고 결과에 관해 떠올릴 수 있는 다양한 질문을 스스로 가져야 하고 그 질문에 또한 진지하게 답하는 일련의 프로세스가 요구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는 적절하다.

“아빠! 우리 나라에는 먹을 것이 넘쳐 나서 사람들이 비만을 걱정하고 한쪽에서는 음식 쓰레기도 마구 버리고 있잖아요? 그런데 아프리카나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의 많은 나라들에서는 아이들이 굶어 죽어가고 있다니 정말 기막힌 일 아니에요?”

의당 아이가 가질 수 있는 질문은, 하지만, 기아 문제의 한 축을 꿰뚫고 있다. 한쪽의 여유가 다른 한쪽의 궁핍을 채울 수 없는 비이성적인 구조를 혁파하기 위한 다대한 노력을 고민하게 한다. 아이의 질문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기아의 기원과 시장가격의 이면, 기아를 악용하는 국제기업, 삼림파괴와 사막화, 계속 늘어나는 도시인구, 대안의 실패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이다. 구도자가 진리를 찾아가는 여정처럼 아이의 질문은 하나 같이 어른스럽고 진지하다. 그런 이유로 궁금증을 풀어내려는 아이의 지적 욕구가 전편에 걸쳐 높이 파도치고 같은 크기로 깊이 공명한다.

질문이 예사롭지 않은 터라 답 또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이다. 이런 주제의 경우 사변적으로 흐를 위험성이 없잖아 있음에도 이 책은 활동가인 저자의 이력에 힘입어 그런 우려를 상당 부분 불식해가고 있다. 저자는 ‘인도적인 관점에서 빈곤과 사회구조의 관계에 대한 글을 의욕적으로 발표하고 있는’ 사회학자이자 현 유엔 인권위원회의 식량특별조사관이다.

책이 소개하고 있는 중앙고원의 한 난민캠프의 사례가 가슴을 파고든다. 배급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식량과 정맥주사, 비타민제, 프로테인이 충분치 않아 난민에 대해 선별작업을 실시하는데, 살아날 가망이 없는 난민들은 그 곳에서마저 배제되지 않을 수 없는 현실은 절망적이다.

최근 제프리 삭스가 2015년까지 지구상의 모든 가난을 끝낼 야심찬 계획으로 ‘밀레니엄 프로젝트’를 발표해 화제가 됐다. 밀레니엄 프로젝트는 극단적인 빈곤을 제거하는 데 소요될 투자비용을 추산하기 위해 6단계의 접근법을 채택하고 목표달성을 위한 총비용과 각 나라의 정부/가계/기부자들 사이에서 필요한 비용의 분담금을 계산해냈다. 하지만 법적/ 제도적 강제 장치 없이 단순히 국가 이성에 호소하고 있어 그의 제안이 도덕적인 공감은 불러일으킬 수 있어도 실현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서아프리카 사하라 남단의 작은 국가인 부르키나소의 젊은 장교 상카라의 실험은 아프리카에 만연한 빈곤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을 만큼 실제적이었다. 인두세 폐지와 개간 가능한 토지의 국유화 등 개혁정책에 힘입어 부르키나파소는 4년만에 식량을 자급자족할 수 있었다. 하지만 코트디부아르, 가봉, 토고 등 인접 국가들에게 파급효과가 미칠 것을 두려워한 프랑스를 등에 업은 정적에 의해 그가 살해됨으로써 미완의 혁명으로 끝났다. 비정한 정치 경제적 역학관계 내에 존재하지 않을 수 없는 국가라는 한계가 폭력적으로 관철된 결과였다.

기아 문제, 곧 넓은 의미에서 빈곤의 문제는 사실상 뾰족한 대안이 없다. 여전히 이성에 호소해야할 만큼 강제 수단도 없다. 그렇다고 손놓고 바라볼 수 없는 노릇인 것만은 분명하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2006년 10월 로마에서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 기준으로 10세 미만의 아동이 5초에 1명씩 굶어 죽어가고 있으며, 비타민A 부족으로 시력을 상실하는 사람이 3분의 1명 꼴이다. 그리고 세계인구의 7분의 1에 이르는 8억 5,000만 명이 심각한 만성적 영양실조 상태에 있다. 아프리카에서는 현재 전 인구의 36퍼센트가 굶주림에 무방비 상태로 놓여있다. 남의 나라 일이라고 외면할 문제가 아니다. 전지구적 차원에서 빈곤을 공통의 관심사로 받아들이고 빈곤을 퇴치할 방법을 찾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선한 사마리아인의 책무를 회복하는 일이 시급하다.

문제의 토양 위에서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이 책은 표지석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을 기점으로 전지국적 차원의 관심이 요구되는 각종 사안을 풀어쓴 책들의 출간이 이어지길 기대한다.

 


댓글(5) 먼댓글(1) 좋아요(7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from 風林火山 : 승부사의 이야기 2007-11-18 22:10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갈라파고스 2007년 11월 도서목록에 있는 책으로 2007년 11월 8일 읽은 책이다. 관심분야의 책들 위주로 읽다가 알라딘 리뷰 선발 대회 때문에 선택하게 된 책인데, 이런 책을 읽을 수록 점점 내 관심분야가 달라져감을 느낀다. 총평 물질적 풍요로움이 넘쳐나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이기에 이 책에서 언급하는 "기아의 진실"은 가히 충격적이다. 막연하게 못 사..
 
 
푸하 2007-03-18 09: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보았습니다. 읽고 싶어지는 책이네요. 이 책 프랜시스 무어 라페의 <굶주리는 셰계>도 사람들을 굶주리게 하는 원인에 대한 내용이 알차게 들어있는데,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카루스 2007-03-18 2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굶주리는 세계는 2003년에 읽었지만 제대로 읽지 못해 늘 아쉬움을 남기고 있었습니다. 푸하님의 추천에 귀가 번쩍 트입니다. 다시 꺼내 읽어야 겠습니다. 고맙습니다.

Koni 2007-03-20 20: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너무나 단순한 듯하면서도 인간의 슬픈 현실을 지적하는 질문이네요. 꼭 읽어봐야겠어요.

이카루스 2007-03-20 23: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냐오님, '슬픈 현실' 맞습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전 '내 것'만 자주 봐 왔다는 자책이 들었습니다.

아비가일 2015-04-20 19: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꼭읽어보고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