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농담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9
밀란 쿤데라 지음, 방미경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멍, 하게 책상머리에 앉아 있었는데, 그것도 며칠을, 글이 써지지 않았다. 그래서 에라 모르겠다, 바로 컴퓨터로 서평 쓰기에 돌입한다.
내가 하고 싶었던 말은 바로 이것이다. 밀란 쿤데라의 '농담'은 술술 재미있게 읽었는데 이청준의 '그 곳을 다시 잊어야 했다.'는 왜 그렇게 지루했는지. 그 이유가 궁금했다. 왜 이 두 책을 비교하려고 했냐면 두 사람 모두 이데올로기로 아파했던 개인의 삶을 묘사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아무런 연관성 없을 것 같은 이 두 사람을 엮은 이유는 바로 이데올로기 때문이었다.
이청준의 '그 곳을 다시 잊어야 했다.'는, 아 벌써부터 멀미가 나려고 한다. 책을 읽는 내내 오랜 시간 차 냄새 가득한 고속버스를 타고 울렁거리는 꼬부랑 꼬부랑 길을 어지럽게 달리고 있는 기분이었다. 속이 메스껍고 그만 차에서 내리고 싶고 시원한 음료수를 마시고 싶은, 차를 탈 때마다 느끼는, 익숙하지만 결코 되풀이 해 경험하고 싶지 않은 지긋지긋함이었다, 이청준의 소설은.
반면 밀란 쿤데라의 '농담'은 흥미진진했고 결말이 어떻게 될지 궁금했다. 아, 맞다.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글을 읽다가 마지막에는 다시 멀미가 났었지. 한 줄 한 줄 생각의 거리가 너무 넘쳐나 글을 읽어 나가는 것이 너무 힘겨워서. 거의 모든 소설에 꼭 들어가고야 마는, 한 여성을 여러 남성이 농락하는 성폭행의 장면이 역시나 이 소설에 들어가 있어서. 그러나 이 두 가지 멀미의 원인은 이데올리기로 인한 염증이 아니었기에 이 글에서는 논하지 않기로 한다.
왜일까. 똑같이 공산주의와 민주주의의 대립으로 인한 갈등, 이로 인한 무고한 개인의 아픔들을 엮어낸 글인데 한 쪽은 나에게 재미를 준 반면, 다른 한 쪽은 나에게 울렁거림을 주었던 이유가.
익숙함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이청준의 이야기는 빨갱이며, 공산당이며, 이산가족이며, 남북 상흔 등 우리가 어렸을 때부터 귀에 못이 박히도록 자주 반복해 들었던 이야기였다. 그래서 이제는 서론만 듣기 시작해도 피곤해 지는 지긋지긋한 넋두리들. 물론 아직도 상처가 아물지 않았고 여전히 우리들의 이야기는 계속되고 있지만, 내가 염증을 느끼는 부분은 이를 이용해 니 편이니 내 편이니를 갈라 패거리 싸움을 하는 것이다. 특히나 정치권에서 민심을 얻으려고 우리의 특수 상황을 이용해 먹는 꼬락서니들을 보면 이제 화가 나다 못해 그만 좀 했으면 좋겠다 싶다.
내가 좋아하는 김선우 시인의 소설 캔들 플라워를 읽었을 때도 이와 같은 느낌이었다. 촛불 시위를 순수하게 바라보지 않고 이념을 나누고 너와 나를 나누고 빨갱이라고 몰아붙이는 행태들이 아, 또 시작인가, 하는 한숨이 터져나오게 했다.
상대방을 인정하고 서로를 존중하고 자유롭게 토론을 하는 세상은 언제쯤이나 당도할지. 자기들만 맞다고 떠들어대는 세상에 사는 것이 피곤하고, 피곤하다.
p.s. 어우, 서평을 막 쓰려고만 해도 멀미가 난다. 그래서 제대로 마무리도 못한 서평. 진절머리나도록 싫은가 보다, 너와 나를 가르는 것이, 상대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편을 나누려고 하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