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픈 북 - 젊은 독서가의 초상
마이클 더다 지음, 이종인 옮김 / 을유문화사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유명한 서평가로 활동중이 마이클 더다의 어린시절부터 대학시절까지 자신의 삶과 책에 대한 이야기다. 공장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타고난 독서열과 배움에 대한 열망으로 결국은 퓰리처상에 빛나는 유명한 서평가로 거듭난다. 저자는 아버님은 제철공장의 노동자이다. 그는 아들이 강한 남자가 되길 바랬기 때문에 책만 읽는 아들을 마땅치않아 한다. 가난한 집에서 책 살 돈조차 넉넉치 않았지만 헌책방과 도서실을 넘나들며 수많은 책을 섭렵하고 배운끝에 대학에 진학하고 결국은 바라던대로 글을 쓰며 살게되는 저자의 삶은 참으로 감동적이다. 자신이 살아온 인생과 그 와중에 읽은 책들 자신에게 큰 영향을 끼친 사람들을 한데 엮어서 풀어나가는데 중간중간 책에대한 설명중에는 우리에게는 낯선 책이나 작가가 있어 조금 지루한 면도 있다.
재미있는 점은 저자의 중학시절에 닥치는대로 남독하는것보다 좀더 체계적으로 책을 읽어야 겠다는 생각에 패디먼이라는 분이 쓴 책에 대한 소개를 모아놓은 책을 지도로 삼아 독서리스트를 짠다. 이 분의 딸(앤 패디먼)이 낸 책중에 서재 결혼시키기라는 책이 몇 년전에 우리나라에 소개되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그 둘을 비교하니 참으로 다르다는 생각에 재미있어 졌다. 둘 다 책을 많이 읽고 작가로 산다는것은 같지만 성장과정은 참으로 다르다. 저자는 공장노동자의 아들로 자라 도서관이나 헌책방에서 책을 봐야했지만 그녀는 부모님이 다 작가인 집에서 태어나 어릴때부터 책과 놀고 자라 역시 책을 좋아하는 남편을 만나 본인도 작가로 살고있다. 저자와 비교할때 얼마나 혜택받은 삶을 살았는지..두 책을 한번 같이 보는것도 재미있을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부러웠던것은 바로 도서관이다. 사실 나도 어린시절 언제나 책에 목말라했지만 그 시절 사실 자식이 원하는대로 척척 책을 사줄수 있는 부모란 많지 않았다. 문제는 우리나라에서는 도서관 시설이 너무 열악하다는 것이다. 내가 초등학교때 학교에는 도서관이 없었다. 중학교때? 다 떨어져가는 세로줄의 문고판(너무 오래되서 책장이 삭아서 넘어가지 않을 지경인) 책이 있는 곳이 도서관이랍시고 있었는데 위인전밖에 별다른 책이 없었다. 고등학교때는 더했다. 도서관에 책이 없었으니까. 안에 감춰두고는 색인목록에서 제목을 찾아서 사서들에게 넘기면 그들이 안에서 책을 찾아주는 식이었는데. 원하는 책을 찾기도 어려울뿐더러 너무 귀찮은지라 안가게 되었다. 그때 우리 집 근처에는 도서관이라고는 없었다. 아니, 도서관이라는게 있다는걸 아는 어른조차도 없었다. 고3때쯤에야 시립도서관이라는게 있다는걸 알았는데 부산 시립도서관은 버스로 40분거리에 있었고 구립도서관에의 시설은 너무나도 열악해서 없는 책이 더 많았다. 헌책방은 딱 하나가 있었는데 주로 만화와 무협지를 팔았다. 만일 저자가 우리나라에서의 이런 상황을 알았다면 자신은 복받은 인생을 살았다고 생각할것이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미국의 도서관 시설이 너무나도 부러웠다. 언제쯤 우리나라는 국민들에게 책을 읽으라는 말대신에 도서관을 지어줄것인지 궁금하다.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라는 표어를 떠들어대는 대신 그 광고비용으로 도서관을 하나라도 더 지을것이지. 그러면 그런 선전을 하지 않아도 저절로 책을 읽게 될텐데. 전 국민이 한달에 한권도 책을 안본다는 통계의 뒤에는 이런 열악한 조건들이 있다는걸 알고나 있는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