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더 쇼크 - 엄마의 행복한 자아를 찾기 위한 모성의 대반전
EBS <마더쇼크> 제작팀 엮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육아책을 펼치면 두려움부터 앞서는 것이 사실이다. '이번 책은 또 엄마에게 무엇을 하라고 할까?' 이런 걱정이 들기 때문이다. <마더쇼크>를 읽고나서는 오히려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다. 엄마로써 해야 할 것을 알려주기 보다는 오히려 마음을 편안하게 내려놓으라는 충고가 마음에 든다. 좋은 엄마는 완벽한 엄마가 아니라는 말을 새기고 부담을 좀 덜어버려야겠다.
책 속에서
좋은 엄마는 완벽한 엄마가 아니다. 좋은 엄마는 아이를 사랑하는 엄마다. 사랑스러운 눈빛을 아이에게 보내고, 따뜻한 손길로 어루만지며, 정서적으로 교감하고 아이와의 애착을 다진다. 또한 일관성 있는 양육 원칙과 육아 소신을 갖고 있으며 아이를 자신의 소유물이 아닌, 하나의 인격체로 온전히 인정한다. 아이가 위기의 상황에 부딪혔을 때 아이를 지지하고 응원하는 부모가 되는 것을 목표로 가진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스스로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엄마다. 개인, 여자, 엄마로서 행복감을 느끼는 엄마야말로 좋은 엄마다. 행복한 엄마가 행복한 아이를 키우기 때문이다.
아이의 성공이 나의 성공이라는 믿음
의학, 심리학, 교육학에서 궁극적으로 말하는 '모성'은, 아이를 살아가게 하는 에너지다. 연약한 아이의 생존을 위해 모성은 꼭 필요하다. 하지만 <마더쇼크> 제작팀이 취재를 하면서 만난 우리나라의 모성들은 그런 학문적 의미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한국의 모성은 아이의 '생존'뿐 아니라 아이의 '성공'까지 포함하고 있었다.
전문가들은 아이를 건강하게 키우는 질 높은 모성은, 엄마가 편안한 상태에서 발휘되는 편안한 모성이라고 말한다. 아이가 원하는 가장 좋은 엄마는 슈퍼맘이 아니라 편안한 엄마라는 것이다. 편안한 엄마란 아이가 말도 편안하게 하고, 손길도 편안하고, 안 된다고 하는 말도 편안하다고 느낄 수 있어야 한다. 혹시 아이가 사달라는 것이 있어도 돈이 없어서 안 되겠다고 편안하게 이야기해줄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