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그것만이내세상

한 지붕 세 가족이 살 정도로 모여 살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가족 구성원들의 숫자도 작아지고 가족을 이루는 단위자체가 작아지다보니 가족도 빠른 속도로 파편화되어 가고 있다. 그래서일까. 혼자사는 것이 오히려 편한 세대들의 혼자 하는 혼술, 혼밥예찬이 낯설지 않게 느껴지는 것은 이미 가족이 주는 따뜻한 온도조차 차갑게 식어가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그런 사회 분위기에 편승하여 해체된 가족의 의미 찾기는 영화나 드라마의 단골 주제가 되어 가고 있다.
이병헌과 박정민 주연의 『그것만이 내 세상』도 해체된 가족의 현주소를 되돌아보게 하는 영화이다.

#예고없이_찾아온_만남
영화는 두 번의 만남에서 시작한다.

38세의 전직 복서 조하(이병헌)은 결핍의 결정체다. 술만 마시면 아버지는 조하와 엄마(윤여정)을 때렸다. 추운 겨울 아버지의 폭행이 극에 달한 날, 맨발로 집을 나간 엄마의 뒷모습만 기억하는 조하를 키운 건 8할이 분노였다. 자신을 버린 엄마와 자신을 때리기만 한 아버지를 향한 분노. 그런 조하에게 복싱은 선택의 여지가 없었던 운명이다.

그러나, 몸이 알려 준 세상이 전부인 그에게 조금씩 절망이 깃든다. 복싱계에서는 이미 퇴물취급을 받기 시작한 나이가 되었고 몸 하나 편하게 누울 집조차 그에게는 없기 때문이다. 절망의 나날을 보내고 있던 그의 앞에 작고 노쇠한 초라한 엄마(윤여정)와의 조우는 예고 없이 찾아오는 폭풍처럼 갑자기 이뤄진다. 그리고 혼란스러움에 비오는 거리를 배회하던 그를 무서운 속도로 치고 달아나는 자동차가 있었다.

깨어 보니 병원 특실이었고, 바로 호화저택에 초대되어 식사까지 얻어먹는다. 허나, 저택의 여주인은 복서인 조하를 상습협박범으로 몰아세운다. 성질대로 화를 내고 나오는데 조하의 눈에 슬픈 눈망울을 가진 여인(한지민)이 눈에 들어온다.


#울어 본 사람만이 같이 울어준다.

영화에는 결핍된 이들의 삶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누구나 살아가면서 결핍된 부분이 있지만, 이들에게는 그 결핍이 깊어도 너무 깊다. 중학교 때부터 먹고 살 걱정을 하고 살아야 했던 조하의 삶과 매일 남편에게 폭행당하던 엄마(윤여정)가 서번트 증후군을 앓는 자폐아를 키우면서 힘겹게 살아가는 삶의 단면들에서 아픔의 깊이를 가늠하게 한다.

극 중 모든 것을 가진 듯 보이는 피아니스트 한가율(한지민) 역시 3년 전 교통사고를 당해 한쪽 다리를 잃었다. 그 뒤로 피아노를 치지 않은 채 절망 가운데 살아가고 있다.

그 가운데 가장 결핍이 큰 사람이 있다면 오진태(박정민)라 할 수 있다. 보호자가 없으면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장애를 가지고 있으니까.

그러나, 그것은 오로지 우리의 잘못된 통념에서 온 잣대에 불과하다는 것을 영화의 엔딩 부분에 다가갈수록 깨닫게 된다. 엄마에게는 오진태가 살아가는 이유이며 조하에게는 '함께'의 의미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피아니스트 한가율에게는 예술의 혼을 찾아준다.

사실 오진태가 한 일은 없다. 그저 피아노만 쳤을 뿐이다. 피아노 한 번 배운 적이 없지만, 유투브를 통해 들은 그대로 피아노만 칠뿐이었다. 누군가와 대화를 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오진태가 그들의 결핍을 채워줄 수 있던 것은 어떤 연유였을까. 그것은 다름아닌 아픔이라는 공감이다. 이 영화가 관통하는 메세지는 아픔을 가진 사람은 함께 울어준다는 것이다.

배우들이 모두 아픔을 가진 사람의 눈동자를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엄마 역의 윤여정은 너무도 폭삭 늙어서 금방이라도 사그라질 것 같은 노쇠한 노인의 모습을 하고 아들 오진태만 보면 눈물이 차올라 반짝거린다. 조하 역의 이병헌은 시종일관 울 듯 말 듯 한 표정으로 엄마를 바라본다. 자신을 버리고 간 엄마에 대한 원망과 지금이라도 아들인 척 어리광 부리고 싶은 복잡한 마음이 시종일관 그를 괴롭힌다. 그래서 웃고 있어도 안 웃는 척 하고 울고 싶어도 울지 않으려 한다. 그러나, 곧 죽어가는 엄마 앞에서는 자신의 속살을 보이며 어린애 같은 울음을 터트린다. 엄마가 없어서 난 너무 아팠다고,

피아니스트 한가율도 그렇다. 대사는 많지 않지만, 궁궐 같은 저택에 눈에 물기를 머금고 의족 때문에 절름발을 걸으며 절망 가운데 서있는 모습은 그녀의 고독이 얼마나 큰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영화의 많지 않은 대사는 오히려 그들의 아픔을 더 도드라지게 하는 장치다. 그 아픔때문일까. 삶에서 불편함이 가장 많은 사람이면서도 오진태의 피아노는 많은 사람에게 행복을 전해준다. 그가 연주하는 음악에는 어떤 사회적인 위선이나 가식이 들어있지 않다. 감동과 사랑과 위로와 용기와 희망이 음악으로부터 흘러나온다. (오진태역을 한 배우 박정민의 피아노 연주는 실화다.그래서인지 막귀인 내게도 너무 아름답게 들린다. 최고의 장면)

울어본 사람은 함께 울어줄 줄 안다. 마찬가지로 아파 본 사람은 타인의 아픔도 볼 줄 안다.

한 집에서 밥을 먹는 사이를 식구食具라 한다. 서로 다른 아픔을 가지고 전혀 다른 삶을 살아왔지만 뒤늦게 식구가 된 이들은 밥을 먹으면서 현실이라는 문제를 같이 겪게 되면서 서로의 상처를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시작한다. 그래서 영화에서 밥 먹는 장면을 볼때 기분이 가장 좋았다. 밥을 먹는다는 것이 식구라는 하나의 울타리를 만들어주고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이해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