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계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5
시마자키 도손 지음, 노영희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계>는 아버지의 계율을 깨뜨리는 과정의 이야기다. 시미자키 도손이 이 작품을 쓸 당시가 바로 백정의 신분을 신평민으로 바꾸고 근대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할 무렵이다. 메이지 유신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는 신분을 타파하는 것으로 시작하였지만 한 번 각인 된 차별과 편견이란 아무리 세상이 변한다고 해도 쉽게 변할 수 없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바로 ‘파계‘인 듯 하다.

초등학교 선생이 된 우시마쓰에게 유언같은 아버지의 전언은 

“설령 어떤 일을 당하더라도, 어떤 사람을 만나더라도, 결코 백정이라고 고백하지 마라. 순간의 분노와 슬픔으로 이 훈계를 잊으면 그때야말로 사회에서 버려지는 것이라고 생각하라.”

이 말은 우시마쓰에게는 거의 종교와 같은 신념이다. 지금으로 따지면 중등부 교사였던 우시마쓰는 신분이 탄로날까봐 학교에서 노심초사하며 살아가는 모습이 안쓰럽게 보이기까지 한다. 아버지는 아들의 미래를 위해 무엇이든 하는 전근대 사회의 전형적인 가부장적인 사람이다.  일찍 죽은 아내대신 아들에게 백정이었던 신분이 걸림돌이 될까 싶어 아들의 학교와는  먼 목장의 소잡는 목부로 살아기길 원했고 결국은  씨소에 받쳐 죽었다.

아버지가 죽을 때 남긴 마지막 유언도 ‘그 누구에게도 고백하지 마라.‘였다.  그렇게 우시마쓰는  목부의 아들로 살아갔다.  하지만 비밀을 갖고 있다는 것, 자신의 존재를 말할 수 없다는 것은  우시마쓰에게 끝없는 번민이 되어 깊은 슬픔이 된다. 우울하고 말수가 적은  우시마쓰를 보는 동료교사들은 그의  번민의 이유를 렌타로의 <참회록>에 있다 지적하고 ‘짐승보다 못한 ‘사람의 글을 읽어서 그렇다며 렌타로의 글을 읽지 말라 충고한다. 유일한 희망과 위로였던 렌타로의 책 <참회록>을 읽으면 우시마쓰는 자신의 존재에 대한 깊은 회의에 빠지곤 하는 것이다.

렌타로는 백정출신임에도 자신의 신분을 당당히 밝히고 사회의 차별과 싸우는 사회사상가이자 반차별 활동가이다. 우시마쓰의 책장에는 렌타로의 저서만이 빼곡하였고 그는 렌타로의 책을 읽는 것을 이때까지만 해도 자랑스러워 했다.

신분을 속이고 산다는 것은 우시마쓰를 매순간 괴롭게 하고, 그것을 속이기 위해서 또 다른 거짓말을 하게 된다. 하숙집 옆집에 백정이었던 돈많은 부자가 혼사일로 잠깐 머물게 되자  온 동네사람들이 항의를 하러 와 한바탕 소란이 일어난다. 사람들의 격한 항의에  야반도주하듯 떠나는 부자의 모습을 보며 두려움을 느낀 우시마쓰는 갑자기 하숙집을 바꾸기로 한다.

도망치는 삶,  그런 비애감의 현실에서 자신과 대조적으로  차별과 편견에 정면으로 맞서 싸우는 렌타로의 모습은 영웅과 다름없는 동경을 품게 한다. 렌타로를 향한 동경은 열망으로 이어져 만나고 싶다는 편지를 보내고 편지를 받은 렌타로는 우시마쓰를 방문한다. 둘은 첫 만남에서부터 통하는 구석이 있어 이후 사상적 스승으로 렌타로를 더욱 섬기게 된다.

그런 와중에 우연히 만난 정치인의 음모에 의해 우시마쓰가 백정인 것이 학교에 알려지게 된다. 이때 사람들의 이상한 눈초리와 의심을 받고 있는 것에 두려움을 느낀 우시마쓰는 렌타로의 책을 헌책방에 가서 팔아버린다. 책을 팔고 돌아오는 길에 흘리는 우시마쓰의 눈물은 백정이란 신분을 숨기기 위해 아주 소중한 무엇을 잃어버리게 된 자괴감에 빠져 고통스러워 하다 병을 앓게 된다.  한바탕 앓고 난후 스승의 사망소식을 듣고 렌타로의 시신앞에서 밤을 세운 우시마쓰는 ‘나는 백정이다‘를 고백하기로 한다.

자신은 그것을 감추려고, 타고난 자연스러운 성질을 닳아 없어지게 한 것이다. 그 때문에 한시도 자신을 잊을 수가 없었다. 생각해보면 이제까지의 생애는 거짓의 삶이었다.  스스로를 속이고 있었다. 
아,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괴로워하는가. 
나는 백정이라고 남자답게 고백하는 것이 좋지 않은가?  렌타로의 죽음은 우시마쓰에게 이렇게 가르쳐주었던 것이다.-P319

우시마쓰가 백정이라는 신분이 탄로날까봐 노심초사하면서도 아버지의 계율을 따라야하는 전근대적인 사고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떳떳하게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려는 근대적인 자아의 내적 충돌이 소설의 큰 맥이다. 동료교사들이 이유도 없이 백정을 비하하며 백정을 개돼지 못한 존재로 표현하는 모습 또한 비록 이 소설이 무려 백년전의 소설이지만 차별은 여전히 익숙한 사회적문제임을 떠올리게 된다. 신분의 차별이라는 계급사회는 없어졌을지라도 자본주의의 잠식에 따른 가진 자와 없는 자의 차별적 관계에서부터 성소주자들을 향한 차별과 편견의 잣대와 나와 다르면 무조건 틀림으로 규정하는 패거리 문화에서 파생되는 차별문제등, 우리 곁에는 늘 차별이 존재해 왔다. 그래서인지 차별과 편견이 우시마쓰에게 쏟아져 생채기를 낼 때마다 울고 있는, 익숙한 누군가의 눈물이 오버랩 되어 떠오르곤 했다. 어쩌면 우시마쓰는 언제 어디서고 사회에서 만들어내는 차별과 싸워야 하는 우리들의 자화상이나 다름없지 않을까.

어차피 지금까지의 나는 이제 죽은 것이다. 사랑도 버렸고, 명예도 버렸다. 뜨거운 눈물이 젊은 뺨을 따라 끝없이 흘러내렸다. 그것은 진정 자신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에서 나온 생명의 땀이었다.-p3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