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한국현대사 - 1959-2014, 55년의 기록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1959년에 태어난 유시민이 2014년까지, 55년의 기록이다. 아마도 이 세대가 굴곡진 현대사를 온몸으로 겪으며 자란 세대가 아닐까 싶다. 책의 구성은 거시적인 현대사와 함께 미시적인 개인의 체험을 기록한 이중구조이다. 1959년생 유시민과는 10여년의 터울이 있는, 1970년생인 나는 이런 현대사의 격동을 느낄 새도 없었다. 산업화에 슬슬 시동이 걸릴 때였고, 정부의 산업화 정책에 발 맞추어 우리 부모님도 충청도 산골에서 무작정 상경하여 서울의 한 귀퉁이인 달동네에 자리를 잡으셨다. 콩나물 시루처럼 빽빽하게 들어찬 한 지붕 세가족의 풍경은 일상이었고, 연탄불에 라면을 끓여먹던 시절이었고, 연탄가스로 사망하는 사람들이 자살해서 죽는 사람보다 많았던 시대였다. 그로부터 46년이 흐른 지금의 한국은 괄목할 정도의 풍요를 자랑한다. 이런 풍요는 아아이러니하게도 보수와 진보의 극한 대립을 가져왔다. 그것은 우리나라의 사회경제적, 정치적,문화적 변화속도가 지나치게 빠른 탓에 일어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현대사는 현재와 이어져 있기 때문에 부담스러운 역사다. 점점 첨예해지는 좌우이 대립으로 부담은 더욱 배가 된다. 국정화 교과서로 인해 한 차례의 파란을 겪은 작년이후 이러한 현대사의 대립은 좌와 우의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곤 한다. 저자는 이런 현실이 '역사가도 각자 나름의 개성과 취향이 있고 서로 다른 욕망과 감정에 끌리며 저마다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지니고 있기에 자신이 주목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것을 선택해 자신의 시각으로 해석'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어차피 역사는 사실의 선택과 선택한 사실의 해석, 역사 서술의 핵심인 두 가지가 모두 주관적인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그렇기에 역사를 둘러싼 다툼은 당연한 것이다. 또 하나 이 민감한 현대사가 더욱 민감해 지는 것은 현대사의 중대한 사건들의 주역들이 여젓이 현실에 살아있다는 점이다.
역사적 사실 그 자체가 객관적인 진리를 이야기한다고 믿는 것은 순진한 착각일 뿐이다. 사실은 스스로 말하지 못한다. 역사가가 허락할 때만 말을 한다. 역사가는 제멋대로 사실을 만들거나 바꿀 수 없지만 사실의 노예인 것도 아니다. 사실과 역사가는 평등한 관계에서 서로를 필요로 한다. 자기의 사실을 가지지 않은 역사가는 뿌리 없는 풀과 같고 자기의 역사가가 없는 사실은 죽은 것이다. 역사는 역사가와 사실들의 지속적 상호작용이다. -p29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을 앞두고 '임을 위한 행진곡'이 최대의 정치적 쟁점에 서있다. 좌우의 첨예한 대립은 '임을 위한 행진곡'을 보는 시각차에서도 엄연히 드러난다. 광주민주화운동의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노래로 보는 사람들은 노래의 정당성을 부여하며 기념식에서 제창하기를 바라지만 반대로 임을 위한 행진곡 노래가 반미민중혁명을 선동하고 있다하여 제창을 반대한다. 우리의 현대사는 이 사실만 보아도 다분히 감정적이고 정치적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우리가 어떤 시각으로, 얼마나 현대사를 이해하면서 현재를 해석할 것인가이다. 주관적 시각을 유지하되 얼마나 보편적인가를 떠올릴 줄 알아야 하고, 객관적이되 얼마나 합리적인 시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면 우리의 현대사는 바른 균형을 가진 역사로 쓰여질 것이다. 현재와 연결되어진 현대사는 끊임없이 우리에게 미래를 열어주고 있다.
박정희 대통령을 가장 좋아하는 시민들이 진정으로 좋아하는 대상은 사실 그의 인격과 행위가 아니라 그 시대를 통과하면서 시민들 자신이 쏟았던 열정과 이루었던 성취, 자기 자신의 인생일 것이라고 나는 추측한다.-p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