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제내경, 인간의 몸을 읽다 - 중국 최고 석학 장치청 교수의 건강 고전 명강의 ㅣ 장치청의 중국 고전 강해
장치청 지음, 오수현 옮김, 정창현 감수 / 판미동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나이가 들수록 사무치게 깨닫는 것이 건강의 소중함이다. 감기 하나 걸리지 않았던 몸이 마흔을 훌쩍 넘기고 나니 생전 처음으로 병을 앓아보기도 하였다. 건강에 관한 책은 많지만 이 책 황제내경은 건강하고 싶은 사람은 꼭 읽어야 할 책이다. 중국의 전통 의학서이며 가장 오래 된 책으로 기원전 2세기에 집필된 책이라고 하니 고서중의 고서이다. 게다가 황제내경의 가치는 현대의학에서 옹호하는 생물·심리·사회적 관점과 일치하고 있어 의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책이기도 하다. 《논어》 이전에 《황제내경》을 먼저 공부하라는 구절이 허언이 아님을 입증하고 있는 것이다.
황제내경은 중국 최초의 의학 이론서이다
황제내경은 양생의 비결을 서술한 최초의 경전이다.
황제내경은 생명의 문제를 다룬 최초의 백과사전이다.
황제내경의 핵심이치는 불치이병 치미병 (不治已病 治未病)으로 ‘이미 병든 것을 치료하기보다는 아직 병들지 않은 것을 다스린다.’ 라는 뜻이다. 쉽게 말해 병이 될 만한 요인을 미리 없애 질병에 걸리지 않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황제내경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소문>이고 나머지 하나가 <영추>로 생명의 체질과 본질, 근원에 대해 실려있고 <영추>는 신령함의 핵심이자 생명의 중추로 영적인 부분이 수록되어 있다. 책은 논어처럼 문답식으로 되어 있고 황제와 기백이 주고받은 내용들이다.(황제내경의 저자는 황제가 아니다)
황제내경에서는 인간의 생명을 이루는 요소로 정, 기, 신을 꼽는다. 이 정기신은 사람의 생명을 이루는 삼대 요소로 밀접한 관계 속에서 서로 영향을 미치며 ‘정이 충만하면 기가 넘쳐나고, 기가 넘쳐나면 신이 왕성해지며, 정이 부족하면 기가 허해지고, 기가 허해지면 신도 쇠약해진다’고 한다. 즉 신이 왕성하면 기가 넘쳐나고 기가 넘쳐 남은 정이 충만하다는 뜻이다. 이는 동양철학의 이치이기도 하다. 순환과 반복이라는 대도의 법칙으로 자신의 시작점으로 돌아가야만 안정되고 조화로운 상태를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이 황제내경의 요지이다.
“만물은 무성하게 일어나고 갖가지 모습으로 움직이기도 하지만 저마다 자신의 뿌리로 돌아가게 되어 있다. 뿌리로 돌아가 있는 것을 ‘무위의 고요함’이라고 말하고 그 ‘고요함’을 ‘본질로 돌아간다’고 말한다. (노자)-p95
오행 |
나무 |
불 |
흙 |
쇠 |
물 |
오장 |
간 |
심장 |
비장 |
폐 |
신장 |
오지 |
분노 |
기쁨 |
생각 |
슬픔 |
두려움 |
오음 |
각 |
치 |
궁 |
상 |
우 |
[황제내경] 양생론의 핵심은 '염담무욕恬淡無欲,과 합동어도合同於道'에 있다. 욕심을 버리고 마음을 비워 우주와 하나가 되는 것이다. 이어 구체적인 방법으로 양정, 조기, 치신을 제시한다. 즉 몸의 근본인 정精을 지키고, 생명 활동의 에너지인 기氣를 기르며, 생명 활동의 주재자인 신神을 잘 다스리는 것이다. 이 책의 저자 장치청 교수는 황제내경의 양생론을 연구로 끝내지 않고 사회에 적용하고자 전통 양생 문화를 재건하고 대중화하기 위해 이 책을 집필하였다고 한다.
음양오행에 근거해서 사람의 체질을 두 가지로 나누는 이분법으로 사용하고 다섯 가지의 오분법으로 구분하였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음양에 따른 구분인데 음양은 중의학의 기본이자 가장 중요한 분류기준이 된다. 오장육부도, 경락과 진단도, 질병치료도 사람의 체질 역시도 모두 음양으로 구분하고 있어 일상의 양생에서 음양 구분은 무척 중요하다. 음양 구분이 분명해지면 오행도 명확해지고 체질의 유형도 분명히 드러나게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드러나게 된 자신의 유형을 대비하여 마음의 병을 다스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책을 읽으면서 심신이 편안해지는 느낌이 들기도 하였다. 칠정육욕에 따른 치유법이 흥미로운데다 칠정육욕과 연계하여 육체의 병을 고칠 수 있는 부분이 상당한 공부가 되었다. 이밖에 생명주기율과 인체의 리듬, 나이에 따른 양생법과 춘하추동 사계절 양생법 등 일상생활과 직결하여 건강한 몸을 만드는 비결이 담겨있어 지루한지 모르고 읽었다. 의학서라 생각해서 논어와 비견 되어지는 고전이라는 말을 처음에는 이해하지 못하였는데 수신修身이라는 나무에 제가 , 치국, 평천하가 달린 것처럼 건강한 몸을 위해서는 마음과 몸을 같이 닦아야 함을 배우게 되었다. 몸을 건강하게 하기 위해 운동을 하지만 그 이전에 자신의 체질과 음양오행을 먼저 알고 나서 체질에 따른 운동법을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은 자명한 일이다. 병이 있다면 마찬가지로 자신의 체질과 음양오행에 따른 치유를 해야 한다. 내 몸에 병이 될 만한 요인들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독해야 할 건강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