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구나무
백지연 지음 / 북폴리오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불혹을 넘기고 나서 생각에도 리셋하는 기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전의 삶은 앞만 바라보며 살아온 경주와 같았다면 이후의 삶은 질주해오며 놓쳤던 풍경들을 다시 되짚어보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마치 모래시계처럼, 모래가 다 떨어지고 나면 다시 꺼꾸로 시간을 되돌리는 기분과도 같다. 아니 어쩌면 모래시계보다 더 적확한 표현은 물구나무인지도 모르겠다. 물구나무를 서면 위와 아래가 바뀌고 오른쪽이 왼쪽이 되곤 하듯이 말이다.
이 책 《물구나무》는 고등학교 시절, 유난히 물구나무서기를 못하였던 친구들 여섯명을 이십 칠년만에 다시 만나게 되면서 느끼는 감회이다. 물구나무를 서지 못한다는 것은 세상에 중심이 자기 자신이었던 시절에 대한 은유이다. 그 시절에 만났던 단짝친구들-미연, 하정, 문희, 수경, 승미, 민수-이 이칩 칠년이라는 세월의 풍화앞에서 자신들만의 최적층을 만들며 쌓았던 신산스러운 삶을 하나씩 풀어놓는다.
세상을 크게 보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순수함이 살아있던 시절, 내게도 화장실도 꼭 같이 다니던 친구 네명이 있었다. 그렇게 죽고 못살던 친구들이었는데 고등학교 졸업 후 서로 다른 대학에 진학하게 되면서 자연스레 헤어졌다. 지금 생각해보면 별다른 이유 없이 만나지 않았다는 것이 신기할 정도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당시 형편상 친구들을 만날 여유가 전혀 없었던 것도 사실이다. 지금 생각해보면 아주 사소한 오해가 있었던 것도 같지만 한 친구가 호주로 이민간다고 했을 때를 제외하고는 만난 적이 없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206/pimg_7327071671148761.jpg)
"인생이란 게 사는 동안은 꽤 긴 듯하지만 지구에 이별을 고할 때 뒤돌아보면 찰나 같을 것 아니겠어? 겪는 동안은 모든 어려움과 질곡이 힘들기 그지없지만 그 찰나의 순간을 맞아 세상에 이별을 고할 때, 이왕이면 다채롭게 살았던 인생이 심심하지 않을 것 같아. ‘내가 여기서 별의별 일을 다 겪었다.’ 그렇게 생각하고 미련도 없이, 뒤돌아보지도 않고 떠날 수 있지 않을까 싶어. 과거 어느 순간의 고생이 생각날 때는 ‘내 인생에 다양한 무늬 하나를 또 만들어 넣었구나’ 뭐 그런 생각을 하는 거지. 그러면 신기하게 숨이 쉬어져. 시원하게.”
이 책의 주인공들 나이는 마흔 여섯 살이다. 불혹을 넘어선 나이라는 점에서부터 소설은 이상하게도 무한공감대가 형성 되었다. 중년이라는 삶의 교집합은 순수했던 고교시절에 단짝으로 붙어 다녔던 여섯 명의 친구들을 27년이라는 세월이 흘러 다시 만나게 되었을 때 느끼는 민수의 감회를 읽을 때였다. 산전수전 공중전이라는 세월의 풍화를 겪고 난 후 이들은 물구나무서기를 하지 못했던 시절에 부끄러워하지 못했던 말들을 쏟아놓는다. 다정한 아버지로 인해 늘 부러움을 샀던 문희는 이십 칠년만에 친아버지가 아니라 새아버지였다는 고백을 하고 학교다닐때 가장 똑똑했던 수경이 남편의 외도를 목격하고 이혼위기에 있다는 사실과 키가 작고 왜소하였던 승미는 금융기관 대표가 되어 커리어 우먼으로 변신해 있지만 혼자 아이를 키우는 돌싱맘이 되어 있었고 아버지와의 불화를 털어놓는다. 프랑스 남자와 영화같은 결혼을 한 미연을 통해서 민수는 하정의 갑작스런 죽음에 얽혀 있던 실마리를 풀게 된다. 하정의 삶을 통해 민수는 삶의 의미를 반추하며 남아있는 삶의 방향을 새롭게 정비하게 된다.
"물구나무서기처럼 삶은 위와 아래가 뒤바뀌는 거지. 그래서 재미있기도 하지만 그런 이유로 두렵기도 한 것이 인생이지.”
서재에 올려놓은 <물구나무> 책을 남편이 보더니 어? 그...앵커 백. 지. 연이네 ? 맞아? 하며 물어본다. 남편의 반응에 웃으면서 맞아. 그분. 이번에는 소설이야. 워낙 완벽하고 똑부러진 이미지였던 그녀여서인지 남편은 소설이라는 말에 시큰둥한 반응이다. 하지만, 생각보다 좋았다. 오랜만에 친구를 만나서 인생 수다를 떠는 것처럼 친숙했고 이 시대의 신산한 여성의 삶을 무겁지 않으면서도 감각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웃다가 울다가 나도 모르게 고개를 끄덕거리며 책을 덮었다. 그래 나이든다는 것은 물구나무 서 듯 세상을 보라는 뜻일지도 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