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후 현암사 나쓰메 소세키 소설 전집 8
나쓰메 소세키 지음, 노재명 옮김 / 현암사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에서 그 후라는 말은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산시로>에서는 도쿄의 대학 생활을 그렸지만 이 소설에서는 그 후의 일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그 후이다, <산시로>의 주인공은 단순했지만 이 소설의 주인공은 <산시로> 이후 성숙한 남자가 되었다는 점에서도 그 후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소설의 주인공은 마지막에 예측할 수 없는 운명에 빠져든다. 그러나 그 후 어떻게 되는지는 이야기하지 않았다. 그런 점에서도 그 후인 것이다.

                                                                                         -오사카<아사히 신문>

 

촌놈 산시로가 도쿄에 상경하여 어설픔과 서툰 방황하는 청춘을 그리고 있다면, <그 후>는 위의 글에서 밝히듯이 <산시로> 이야기의 연장선처럼 보여진다. 대학을 졸업하고도 하는 일 없이 빈둥거리는 지식인 다이스케는 일본 사회를 뒤덮고 있던 성실과 열의’와는 다른 세계를 구축하는 캐릭터이다.  서른도 되지 않은 나이에 이미 닐 아드리미라리 (어떤 일에도 마음이 움직이지 않는) 경지에 이른 다이스케는 스스로를 밥벌이 문제로 더럽히지 않는 고귀한 인간 이라 규정하고 있었고 자신의 에고이즘과 더불어 자유와 예술을 사랑하는 탐미주의자임을 강조한다. 주변의 강요와 힐난에도 자신의 자유를 굽히지 않고 기계 같은 사회에 흡수되지 않으려는 일종의 고집은 다이스케를 나르시시즘이 지나친 에고이즘으로 보이게 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자기만의 신념과 이상을 가지고 살아가는 신지식인이라는 점에서 나쓰메 소세키 문학에 등장인물들과 연결성을 지니고 있다.

 

다이스케는 결혼과 일을 강요하는 아버지와 형과 대립하며 자신의 세계를 포기하지 않지만, 그 세계는 친구의 아내 미치요가 나타남으로 인해서 흔들리게 된다.  옛 친구 히라오카는 다이스케와 대학을 같이 다녔지만 졸업하자마자 결혼하게 되면서 소식이 뜸했던 친구이다. 물론 히라오카가 졸업하자마자 결혼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미치요와의 사이에 다리를 놓아준 다이스케 덕분이었는데 오랜 만에 조우한 히라오카는 방탕한 생활로 빚더미에 앉아 여관을 전전하는 신세가 되었다.  초췌한 얼굴을 한 히라오카의 아내 미치요를 본 순간 다이스케에게 낯선 감정이 찾아들고 집안에서 강요하는 혼처와 고민하던 중 다이스케는 집안에 폭탄 선언을 한다.

   

다이스케는 인류의 일원으로서 마음속으로 서로를 모욕하지 않고서는 서로 접촉할 수 없는 현대사회를 20세기의 타락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이는 근래 급격히 팽창된 물질에 대한 욕심의 큰 압력이 도덕의 붕괴를 초래한 결과라고 해석했다. 또한 그것을 신구 세대의 가치관의 충돌로 간주했다. 결국 눈에 띄게 심해진 물질욕의 발전은 유럽에서 밀어닥친 해일이라고 결론 내렸다. -p142

 

 전쟁 이후 자본주의 물결에 흡수되면서 팽창된 물질욕은 아버지와 형을 통해 여실히 보여지고 있고, 그와 반하여 다이스케는 무능한 인간의 극치를 보여주는 듯, 끊임없이 아버지와 형과 상충되는 모습을 보인다. 아버지와 형을 바보라고 조롱하면서도 그 바보들의 돈으로 생활을 영위하는 이율배반적인 행동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다이스케의 행동에서는 무능한 현실성이 더욱 도드라진다. 신자유주의 물결로 출렁이고 있을 때 혼자만 고귀한 정신세계를 포기하지 않는 모습은 마치 <태풍>의 주인공이었던 백면서생이었던 도야 선생과 오버랩 되는 캐릭터이기도 하다. 돈에는 관심없고 문학사로서의 신념과 이상만을 강조하다 학교에서 퇴학과 전학을 번복하며 비록 삶에서의 궁색함은 면치 못하지만, 신념과 이상을 굽히지 않으며 자신의 세계를 구축해 가는 지성인의 모습과도 같다. 이처럼 신구파간의 갈등과 충돌로 인한 사회 분위기에서 자신의 신념과 이상을 굽히지 않은 신지식인은 나쓰메 소세키의 문학 전반에 드러나는 공통분모이다. 이처럼 정신적인 부분과 물질적인 부분은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는다. 문학에서의 이상과 신념과 물질적 가치는 백년이 지난 지금에도 여전한 현재성으로 남겨져 독자들에게 선택이라는 물음을 남긴다. 신념과 이상을 지키며 가난하게 살 것인가, 아니면 물질적인 풍요를 선택할 것인가. 그것은 여전한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주어지는 물음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