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의 아이들 1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79
살만 루슈디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47년 8월 15일 인도가 독립하는 순간, 신비로운 능력을 지닌 1,001명의 아이들이 태어났다. 이 이야기는 그중 12시 정각에 태어나 신생 독립국 인도와 운명을 함께하게 된 살림 시나이의 서른 해를 ‘마술적 사실주의’ 기법으로 그린 작품이다.

 

대체적으로 나는 제목에 매료된다. 그것은 오랫동안 습관처럼 이어져 내려와 책을 선택하는 유일무이한 이유가 되었다. ‘한밤의 아이들’ 작가의 서문에서 밝히듯이  나는 아마 제목이 ‘한밤에 태어난 아이들’이었다면 읽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한밤의 아이들’은 제목에서부터 ‘무엇’인가가 풍기는, 마치 굉장한 이야기를 품고 있는 듯한 아우라가 책표지에서부터 느껴졌다고 하면 우스울라나.어쩄든 세 번의 부커상 수상작이라는 부차적인 설명보다 더 눈길이 간 제목이었다. 그리고 내 예상은 맞았다. 이 이야기는 비밀스럽기도 하지만, 살림 시나이의 개인 역정과 함께 깃들어 있는 온갖 신화와 접목된 환상의 밤이 매일 충족되는 이야기들이 조각조각 이어져 하나의 거대한 역사를 완성해 나가고 있었다.  마치 세헤라자데가 살기 위해 매일 밤마다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심정-  생生과 사死라는 간절함의 길목에서 지어내는 이야기-처럼 흥미와 재미와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극적인 이야기여야  살 수 있었듯이 소설 속의 화자 살림 시나이가 지어 내는 끝도 없는 이야기와 살만 류수디의 이 어처구니 없는, 다소 능청스럽고 심한 뻥이 깃든 이 이야기 역시도 그러한 간절함과 극적임을 내포하고 있었다. 하지만,  계속된 이야기의 향연으로 책을 덮을 수 없게 되자 슬슬 짜증이 밀려들기도 하였다. 그것은 알 듯 모를 듯한 세계로 이어져 끊임없이 상상력을 자극하게 하는 작가의 마술적인 감각에 빠져 허우적대는 짜증과도 같다고나 할까.  책을 펼치자마자 구멍 뚫린 침대보 속으로 빨려 들어감과 동시에 조각난 인도의 역사를 짜맞추게 되는 하나의 거대한 퍼즐조각과도 같아서 나도 모르게 그 조각을 완성해야 하는 사명에 빠져들게 되기 때문이다. 

 

구멍 뚫린 희망 같은 천막 

외할아버지, 아담 아지즈의 역사로 시작되는 이야기에 ‘구멍 뚫린 침대보’는 소설에서 많은 것을 의미한다. 넓은 인도의 영토가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어렵사리 독립을 하였지만 힌두권인 인도와 이슬람권인 파키스탄이 서로 싸우며 ‘자기가 사는 골짜기를 두고 옥신각신하는 꼴’ 을 보이고 있는 혼란한 시대에 독일인 의사 아담 아지즈가 구멍 뚫린 침대보로 진찰하게 된 여인 나심을 조각조각이어붙이며 사랑에 빠지게 된 것처럼 인도도 거대한 역사의 소용돌이 앞에 조각조각 나고 있었다. 이후  아담의 조각조각 사랑은 뭄타즈에게 내려와 한밤의 아이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아담과 나심사이에는 여러 자식들을 두었지만, 그 중 너무 새까매서 사랑 받지 못한 뭄타즈가 바로 살림의 어머니이다. 인도 분할에 반대한 자유무슬림파 허밍버드 미안 압둘라가 암살되자, 그의 보좌관이자 무운시를 쓰는 시인 '나디르 칸'이 아담의 지하에 숨어들게 되면서 둘째 뭄타주의 비밀 결혼이야기가 시작된다. 아담의 집에서 열린 첫 번째 결혼식, 이웃의 축하도 연주도 음악도 축제도 없이 온 가족의 비밀리에 시작된 지하 신혼 생활은 3년이 지난 후, 뭄타즈가 처녀라는 사실이 밝혀질 때까지 평온하게 유지된다.  뭄타즈가 처녀인 것이 확인되자 셋째 딸 에메랄드가 허밍버드 암살사건의 배후 인물로 지목된 '나디르 칸'을 애인인 줄피카르 소령에게 폭로하게 되면서 뭄타주의 결혼생활도 파경을 맞고, 에메랄드 결혼식에서 인조가죽 장사꾼 아흐메드를 만나게 된  뭄타즈는 언니 알라이를 제치고 재혼에 성공한다. 아흐메드는 뭄타즈에게 새로운 삶과 새로운 인생을 위한 이름을 선사하고 이후 뭄타즈는 아미나 시나이로 불리게 된다. 아미나는 우여곡절 끝에 메솔드 단지에 정착하게 되고 살림의 탄생 비화가 이어지는데 살림의 장황한 가족의 설명에 대한 배신감이 드는 대목은 메리의 간계로 인해 아이가 뒤바뀌었다는 부분이다. 자정에 태어난 살림과 시바의 뒤바뀐 운명이 마치 인도의 운명을 말하고 있는 것처럼 이 책의 모든 이야기들이 인도의 운명과 개인의 운명과 함께 한다. 인도가 독립하는 순간, 태어난 아이들이 모두 초자연적인 능력을 태어났다는 것은 인도의 희망을 말하는 듯 하였고 결국 온몸이 쩍쩍 갈라지는 병에 걸린 살림 시나이는 과거의  희망이 구멍 뚫린 희망 같은 천막에  불과하였음을 온몸으로 상징하는 것만 같다. 인도는 그렇게 한밤의 아이들과 운명을 함께 하고 있었다.

 

자정을 알리는 종이 울릴 때, 세계는 잠들었지만 인도는 깨어나서 삶과 자유를 만끽합니다.

자정이 되는 순간에 시나이 형제. 자네 부인이 크고 건강한 아이를 출산하셨네. 아들이야!

사실 우리  모두의 꿈이었던 신생 인도 전역에서 나처럼 부분적으로만 자기 부모의 자식인 아이들이 속속 태어나고 있었다. 왜냐하면 한밤의 아이들은 시대의 아이들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역사가 그들의 아버지였다.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특히 그 자체가 하나의 꿈이라고 말할 수 있는 나라에서는 더욱더 그렇다.

 

1권은 살림의 탄생이야기로 마무리 짓는다. 2권에서 할 이야기가 더 무궁무진하기에 약간의 요약과 약간의 설명만으로 한밤의 아이들을 만난 소감을 적어 놓기로 하였다. 여기에 살림과 또 다른 화자, 파드마는 이야기가 지루해지거나, 믿을 수 없는 부분에서 적나라한 지적으로 살림에게 일침을 가해주기도 하는 역할을 도맡고 있다. 독자를 인도의 역사에 스며들게 하여 삶과 인도라는 톱니를 잇따라 맞물리게 하며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는 살만 류수디를 만나 정신이 혼미할 뿐이다.

 <2권에 계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