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세 백년 중국문물유실사 인간사랑 중국사 2
장자성 엮음, 박종일 옮김 / 인간사랑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 삼국이 동시다발로 서구 열강의 침입에 몸살을 앓던 시대를 서양에서는 중세와 근대사이, 동양에서는 서구열강의 침략기의 시점을 근세라 한다. 폐쇄적인 아시아 국가에 닥친 제국주의에 속수무책이었던 동아시아 삼국은 약탈과 침략으로 시퍼렇게 멍이 들었다. 이때 중국과 한국은 거의 무방비 상태였으나 일본은 서양에 침략의 빌미를 주지 않은 채 화이질서를 유지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면 일본이 결코 녹녹치 않음을 알 수 있다. 2014년, 6월의 아침 현재에도 다케시마가 자기네 땅이라고 우겨대는 어처구니 없는 뉴스를 보고 출근했으니 일본에 없던 감정도 생길 것만 같다. 이 책 근세 백년 중국문물유실사를 읽으면서 새삼스레 중국역시도 피해자란 사실을 떠올리게 되었지만, 어찌 우리나라만 하겠냐하는 감정이 더 앞서는 바람에 대책 없는 현실에 더 울화통 터지는 날이다.

 

책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자면, 이 책의 저자 장자성은 한 문명의 역사를 훼손하는 비극을 멈추기 위해서 중국문물 유실이라는 굴욕의 역사를 드러내고자 하였다고 밝힌다. 근세에 중국에 행해진 고분 도굴과 문물 절도, 문화재 밀수라는 것이 인류 문명의 존엄에 얼마나 큰 상처이며, 해외에 흩어진 귀한 문물에 대해 독자들의 관심과 문물을 불법적으로 취득하고 판매하는 행위가 얼마나 커다란 범죄행위인지를 인식하게 하고자 하여 이 책을 집필하였다고 한다. 저자는 문물은 역사와 문화의 담체(擔體)이며, 한 국가의 흥망성쇠와 영욕을 진실하게 기록하고 있으며, 한 민족의 문화적 축적의 결정체이자 대중의 정신적 추구의 집합으로 문물은 물질로 표현된 역사이며 문명의 증빙이라 한다. 중국은 세계에 널리 알려진 오래된 문명국가로 대량의 중국문물은 중화민족을 구성하는 56개 민족의 지혜의 결정체로서 다양한 지역의 문명 정수를 흡수하고 중화민족의 응집력, 구심력, 기개를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아편전쟁 이후, 특히 20세기 전반기에 중국이 반()식민지 반()봉건사회로 전락하자 국가주권과 민족의 존엄은 남김없이 상실되었고 제국주의 열강과 대소 군벌이 중국의 대지를 무력으로 짓밟았다. 이 과정에서 중국 문물은 대부분이 유실되었고 도굴과 약탈로 중국의 문물들은 훼손되었다. 중국 역대의 통치자들이 쌓아온 보물창고는 영국과 프랑스를 선두로 1900년의 "8국연합군"이 북경을 점령한 동안에 파괴되고 약탈당하여 수 백 년을 내려오며 황실 궁정에 쌓여있던 귀한 문물들이 깨끗이 사라졌다. 신해혁명이후 청 왕조의 멸망과 동시에 중화민국이 수립되고 난 후의 중국은 외부로는 서구열강의 침입과 일제의 침략과 내부로는 군벌들의 혼전으로 인해 나라의 보물이나 진배없던 문물을 보호할 여력이 없었다. 결국 중국은 수많은 문화유산들을 눈뜨고 코베인 것과 진배없이 유실당한 것이다.

 

 

비단길의 시발지였으며, 과거 낙타에 짐을 가득 싣고 험난한 천산산맥을 넘어온 중앙아시아의 상인들에게 이제 안도의 숨을 내쉴 수 있는 비단길의 마지막 기착지 역할을 하였던 유명한 석굴 돈황은 세계 최고의 문화유산이지만 서양인들의 침략에 가장 커다란 목표물이 되었다. 영국인 스타인과 프랑스인 펠리오에 의해서 쪼개지던 돈황석굴의 유물들은 뿔뿔히 흩어져 대영도서관과 프랑스 국립도서관으로 , 일본으로 수많은 고문서들이 흘러들어 갔다. 돈황에서 유실되어 일본으로 건너간 문물과 불경은 아직도 드러나지 않은 수량이 상당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일본인에 의해 쓰여진 [둔황-세계문학전집 49]을 읽으면 둔황의 가치를 문학적으로 역사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렇게 둔황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가장 중요한 문화유산 중의 하나인 서화명품이나 빅토르 위고가 여름궁전이라 칭했던 연명원 역시도 서양 열강의 침략과 약탈에 예외대상은 아니었다.

 

 

유홍준의 [국토순례]를 보면 우리나라의 문화유산 역시도 중국과 다름없는 약탈과 침략을 받은 작품들의 상당수가 유명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중국의 문물유실사는 우리나라 문물유실사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 근세에 빼앗긴 우리의 문물들은 민족과 문화를 대변해주는 아이덴티티이다. 응달에 멍들어 있는 문화유산들의 현주소를 돌아볼 수 있는 책일 뿐만 아니라, 인디아나존스와 같이 과장된 서구화 프리즘이 아닌 아시아의 주체성 회복을 위해서라도 문물유실사는 우리들 모두가 숙고해야할 사명으로 읽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