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경호 교수의 동양 고전 강의 : 논어 1 - 옛글을 읽으며 새로이 태어난다 심경호 교수의 동양 고전 강의 1
심경호 지음 / 민음사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말이라서 그런지 새해가 다가오고 있어서인지 모르지만, 마음이 소란스럽다. 새해에는 그래도 새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나도 모르게 있었는지, 마음을 차분하게 다잡아주는 책이 필요했다. 《심경호 교수의 동양 고전 강의: 논어》(전 3권)가 민음사에서 새롭게 출간되자, 딱 새마음 새출발하는 기분으로 읽기 시작했다. 이 책은 논어의 학이, 위정, 팔일, 이인, 공야장 ,옹야, 술이, 태백편으로 동양고전을 어렵게 생각하는 독자들에 대한 배려로 『논어』의 한 구절마다 한 장씩 설명하는 형식으로 보다 쉬운 논어 읽기의 길라잡이 역할을 해준다. 한 강에 번역 및 해설 부분과 원문 및 주석 부분으로 한자와 제목에 대한 풀이까지 세세한 설명으로 원문에 대한 이해에도 독자들을 배려한 흔적이 보인다.

 

[학이] 편은 학문의 필요성과 [팔일]은 예(禮(예), [이인]편은 仁(인), [공야장] 편과 [옹야] 편은 제자들의 사람됨과 [향당]편은 역대 성인의 정치적 이상을 설명했다. 논어에는 사람이 지켜야할 도리로서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이 실려있다. 주희의 [논어집주]에 따를 경우 《논어》전체는 498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공자는 이 중에서 禮(예)와 仁(인)를 가장 중요시 하였는데 교양과 지식을 쌓아 나가되 인간관계의 도덕률인 예법을 가장 잘 지켜야 한다고 하였다. 즉 박문과 약례를 통합적으로 추구해야 온전한 인격을 이룰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군자가 글을 널리 배우고 예로써 요약한다면 역시 도에서 어긋나지 않을 것이다. -博文約禮(박문약례)

 

夫仁者(부인자)는 己欲立而立人(기욕립이립인)하며

己欲達而達人(기욕달이달인)이니라.

能近取譬(능근취비)면 可謂仁之方也已(가위인지방야이) 니라.

- 논어 옹야편 28장 박시제중(博施濟衆 )- 

 

어진 사람은 자신이 서고자 하면 남도 서게 하고

자신이 통달하고자 하면 남도 통달하게 한다. 가까운데서 미루어 빗대 볼 수 있다면 인을 추구하는 방법이라 이를 만하다.

 

사대 경전중의 하나인 논어는 2500년이라는 시공간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삶의 지혜가 담긴 책이다. 생전의 공자의 삶을 녹록치 않았지만, 사후에도 문혁의 탄압대상이 되어 수많은 저서를 불태웠고 공자는 입에 담지 못할 정도의 탄압의 대상이었다. 중국인들의 통일을 위해서 다시 부활시켜야 했을 정도로 중국에서 공자의 입지와 파급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무한 경쟁시대에 남을 세워주는 일이 내가 서게 되는 일이라는 것이 삶의 지혜라는 것을 알았던 공자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성(도덕성) 회복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는데 이는 서양의  공리주의자 벤담의 ‘공공의 선’이라는 철학을 훨씬 앞서는 사상이다. 그런 점에서 [논어]는 동서양을 막론하는 위대한 철학서임은 틀림없다.  

 

내가 가장 의아했던 부분은 논어 원문에 眞(진)이라는 글자가 없다는 점이었다. 인간의 참된 본성을 가르키는 한자로서 眞(진)이 아니라 直(직)이라는 한자가 쓰였다는 것에 무척 의아해 했는데,  며칠 전 읽었던 나쓰메 소세키의 <풀베개>에서 인정세계(사회)이 가치를 正(정)이고 義(의), 直(직)으로 정의하였기 때문이다. 이때 直(직)이라는 단어가 무척 생소하였기에 기억해 두었었는데 뒷면의 설명을 보고 조금 이해가 가는 듯했다. ‘직’자의 기원은 시라카와 시즈카의 설에 따르면 ‘直(직)은 省(성)과 은으로 이루어져 있다. ’省(성)‘은 눈이 지닌 주술의 힘을 더 크게 하려고 눈썹에 칠을 한 모습이다. 후에 지역을 순찰하며 부정을 단속하는 일을 가리키게 되었다. ’은‘은 담으로 둘러싸인 은신처를 뜻한다. 곧 直(직)은 몰래 조사해서 부정을 바로잡는다는 뜻이다. 주로 正直(정직)이라는 복합어로 쓰인다. 인간의 참본성이 정직이라고 주장한 것이 [논어]이다. 인간이 인을 실천하는 이유는 누구나 정직한 마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정직은 곧 개인의 도덕적 주체성과 관계가 있다. 인은 바로 예,  박문과 약례를 통합적으로 추구해야 온전한 인격을 이룰 수 있다는 공자의 말씀으로 인의예지신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게 된다.

 

 

한자를 무척이나 싫어했었는데 아이들 공부를 가르치면서 한자를 접하는 횟수가 많아지다보니 본의아니게 한자공부를 하게 되었다. 아이들과 함께 한자공부를 하다보니 한자의  한음 한음에 생각외로 심오한 뜻이 담겨 있음을 보고는 그 싫어했던 한자공부를 다시 시작하였다. 사람은 자신이 관심있어 하는 부분만 보게 된다는 말처럼, 신기하게 한자에 관심을 갖게 되자 , 한자에 관한 책만 눈에 띄곤 한다. 이 책은 논어에 대한 뜻풀이를 쉽게 하였고 구절의 의미 또한 반추할 수 있도록 해놓아 동양고전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는 매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자의 뜻풀이와 함께 논어 원문에 관한 해석까지 곁들여 두루두루 유익한 책이다. 무엇보다 한자에 대한 뜻풀이가 가장 잘 되어있다.(그러고보니 한문학과 교수님 ^^) 논어를 읽고 나니 소란스러운 마음도 한결 차분해지는 것 같다.  마지막 가장 좋아하는 문장으로 마무리.. ^^ 

                               

    지지자(知之者) 가 불여호지자(不如好之者)요.

 호지자(好之者)가 불여낙지자(不如樂之者)니라.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거워하는 것만 못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