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명진 교수의 소리로 읽는 세상
배명진.김명숙 지음 / 김영사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놀라운 대회 스타킹>에는 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많이 나온다. 아니 이들은 전문가들이라기보다 기인에 가까운 것 같다. 며칠 전 일곱 살짜리 꼬마가 첼로 신동이라고 나와 첼로 켜는 모습을 넋을 놓고 본 적이 있다. 그 꼬마는 두 살부터 첼로를 켰다고 하는데 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두 살에 첼로를 켜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하였다. 세상에서 불가능하다고 하는 것들을 가능하게 만든 이들이 ‘스타킹’에서는 많이 볼 수 있다.  ‘소리공학자’ 배명진 교수도 <스타킹>에서 본 적이 있다. 《배명진 교수의 소리로 읽는 세상》은  소리 연구자로서의 삶과 그간의 소리 연구 이야기들을 실어놓은 책이다. 세상의 모든 소리를 사랑한다는 배명진 교수는 소리를 그저 일반적으로 ‘듣는 것’ 만이 아닌, 세상을 이루고 있는 에너지로서 소리 즉,  ‘과학 이상의 것이며 우리 삶 자체’로서의 폭넓은 소리 스펙트럼을 펼쳐보이고 있다.  먼저 생소한 소리공학에 대하여 저자의 정의를 살펴보면  '우리 주변의 모든 소리를 분석하고 규명해서 실생활에 도움이 될수록 만드는 기술' 을 소리공학이라 한다. 풀어서 설명하면 소리공학은 소리 자체의 물질적인 특성이나 과학적인 분석 방법만 공부한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소리를 과학적으로 (혹은 공학적으로) 접근하여 다른 분야와 융합하여 실생활에서도 도움이 되는 과학기술의 소리 학문을 말한다.  

 

 

 

'소리공학’은 내가 처음 만든 말이다. 1992년 모교인 숭실대학교에 전임교수로 자리를 잡으면서 ‘소리공학연구소’를 만들었다. 소리공학을 영어로 하면 ‘sound engineering’이 되는데, 이 용어는 주로 음악을 녹음할 때 최고의 음질이 나올 수 있도록 기계를 조작하는 기술적인 의미가 더 강한 음향공학을 뜻한다. 소리 자체를 연구하는 소리와 공학의 만남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말 ‘소리’와 과학과 기술을 대표하는 ‘공학’이라는 단어를 합성해서 ‘소리공학’이라는 말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 후 2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열심히 노력한 덕분인지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숭실대학교’하면 맨 먼저 소리공학연구소를, ‘소리’하면 소리공학연구소와 배명진 교수를 떠올릴 정도로 유명해졌다. _p22

 

 저자는 소리의 힘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을 다양한 실험을 통해 증명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데 소리로 라면을 끓이거나 소리로 전력을 생산하여 TV를 켜고 램프의 불을 밝히는 것이 가능한 것은 소리가 진동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진동은 힘을 가지고 있다. 진동으로 와인잔을 깨고 바람의 공명으로 다리를 무너뜨리는 것이 가능한 이유이다. 또한 시각 대신 청각을 활용하는 시각장애인들의 이야기를 통해  뇌 기능을 밝혀주기도 한다. 우리의 모든 감각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통합적으로 기능한다는 것을 청각을 통해 보는  벤 언더우드 라는 소년을 통해 설명해주고 있다. 

 

가장 흥미로운 장은  '소리' 자체에 담긴 무수한 정보력에 대한 이야기들이었다. 실제로 미궁에 빠진 사건들을 단 1,2초의 소리로 해결한 '보성 어부 살인사건' 이라든지, 북한이 쏘아 올린 인공위성의 비밀을 소리를 통해 파헤치고, 육영수 여사 저격 사건의 총격에 관한 전말을 당시 중계방송 녹음소리를 통해 밝히기까지 한다. 호신용기구의 소리는 오히려 상대에게 위험성을 느끼게 하며 세계 3대 바이올린인 스트라바리우스가 21세기에도 여전히 명품악기로 명성을 이어가고 있는 이유 또한 들을 수 있다.  이처럼 소리의 스펙트럼은 장르, 분야를 가리지 않고 무한대로 뻗어나가고 있었다.  또한 저자는 사람의 몸뿐만 아니라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소재는 모두 악기로 만들수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저자가 몸 담고 있는 '소리공학연구소'에서  만든 채소와 과일 악기를 통해서 소리의 새지평을 열어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우리를 늙지 않게 만드는 소리'라는 뜻의 불로톤(never-old-tone)을 개발하여 무병장생의 실현을 꿈꾸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저자가 전립선과 가슴 통증으로 고통을 받고 있을 때 '소리'로서 해결한 사실이 있고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소리를 통해 건강을 찾아 새 삶을 살고 있는 이들의 이야기가 소리공학연구소 홈페이지에 많이 실려있다고 한다. 자연에서 나는 소리(백색소음)는 집중력 향상과 마음의 안정을 찾아줄 뿐만 아니라 치유의 힘이 있다. 소리의 무한 스펙트럼이 실려 있는 《배명진 교수의 소리로 읽는 세상》은 소리로서 건강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는 저자의 주장이 환상만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한다. 오히려  소리를 향한 저자의 아름다운 열정이 더 나아가 건강한 사회를 만들고 아울러 저자의 꿈인 '노벨상' 의 결실을 맺는다면 이보다 더 좋을 순 없으리라. 우리의 미래가 아름다울 수 있는 것은  이렇게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드는 사람들로 인한 것일테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