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숭고한 히스테리환자 - 라캉과 함께 한 헤겔
슬라보예 지젝 지음, 주형일 옮김 / 인간사랑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책을 읽으면서 제목의 의미가 가장 궁금하였지만, 책을 다 읽어가도록 그 의미를 알 수가 없었다. 다행이도 책의 마지막에 실려있는 역자 후기에 제목의 의미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놓았다. 《가장 숭고한 히스테리환자》는  지젝이 파리 8대학교에서 쓴 박사학위 논문을 정리 보완한 책이고 첫 출간(1988년) 당시보다 유명세를 타게 된 2011년 인기에 힘입어 다시 재 출판된 책이다.  라캉은 헤겔을 항상 ‘ 가장 숭고한 히스테리환자’라고 불렀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재미있다. 히스테리라는 병은 라캉이 프로이트를 넘어서서 자신만의 독자적인 정신분석학 이론을 만드는데 결정적 자료를 제공한 정신병을 말한다. 라캉은 히스테리 환자의 증후를 분석함으로써 주체 형성 과정에서 '실재'가 하는 역할의 중요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한다.

 

라캉이 말하는 히스테리환자의 특징은 알고자 하는 욕망을 가졌다는 것이다. 여기서 히스테리 환자가 알고자 하는 것은 '자신의 욕망'에 대한 앎이다. 히스테리 환자는 자기 자신의 욕망을 모르기 때문에 결코 욕망을 충족시킬 수 없는 처지에 놓여있게 된다. 그는 단지 욕망의 대체물들을 찾아다니며 절망하는 것밖에 할 수 없다.  히스테리 환자가  자신의 욕망을 알지 못하고 결코 충족할 수 없는 이유는 그의 욕망이 바로 라캉이 말하는 '대타자의 욕망'이기 때문이다. 대타자가 욕망을 갖는다는 것은 대타자가 충만한 것이 아니라 뭔가가 결여되어 있는 욕망을 말한다.  대타자의 욕망을 통해 자신의 욕망을 발견하고자 하는 히스테리환자는 결국 자신도 대타자와 마찬가지로 처음부터 뭔가를 잃어버린 존재라는 것을 깨닫는다. 바로 텅 빔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내가 보기에 라캉이 헤겔을 ‘가장 숭고한 히스테리환자’라고 부른 이유는 철학적 담론 안에서 결코 실현될 수 없는 절대적 앎을 추구하는 헤겔의 모습이 자신의 담론 안에서 결코 충족될 수 없는 자신의 욕망을 찾아가는 히스테리환자의 그것과 닮았다고 느꼈기 때문일 수 있다. 실제로 라캉은 또 다른 철학자인 소크라테스를 ‘완벽한 히스테리 환자’라고 부르기도 했다.

라캉이 헤겔주의자가 아니고 과거에도 절대 아니었다고 하는 비판에 대해 지젝은 이 책을 통하여 라캉이 '완전한 헤겔주의자' 라는 논리를 펼친다. 그러나, 지젝이 말하는 헤겔주의는 일반적인 의미의 헤겔주의자가 아닌 헤겔에 대한 참조를 하였다는 점에서의 전혀 다른 헤겔주의라는 점을 강조한다. 라캉이 ‘인간의 욕망이 타자의 욕망이다’라고 정의한 이 한 문장으로 알 수 있는 것은 욕망의 주체가 타자에 의해 비롯되었다는 점이다. 그렇기에 라캉의 욕망에는  ‘타자’의 결여라는 부분이 존재한다는 것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이 본래적 결여는 ‘주체가 갈망하는 것’으로서 실재의 텅 빔이라는 환상이다. 지젝은 헤겔의 변증법을 살펴봄에 있어 헤겔의 변증법 체계가 바로 라캉의 대타자의 결여라는 실재의 텅 빔을 중심으로 주체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라캉의 체계와 일치한다는 점에서 헤겔주의자라는 것이다.

 

 

책에는 칸트와 헤겔, 맑스의 자본론과 같은 철학전문 용어가 사정없이 등장하고 있는데 칸트철학을 기반으로 하여 진리를 탐험하는 과정을 조금 흥미롭게 읽었다. 칸트의 숭고론에서는  숭고는 대상이 아니라 그것을 느끼는 주체의 내면에 있음을 강조한다.  가장 숭고한 히스테리환자였던 헤겔은 내면 주체안에 결여 되어 있는 텅빔, 라캉의 타자를 향한 욕망 한 가운데에 있다는 사실을 처음부터 이해했던 것일까. 칸트의 숭고가 인간의 감각을 거스르는, 고통스럽고 불편하며 경이로운 쾌감으로서의 한계치를 말한다면,  라캉의 빛으로 읽는 숭고한 히스테리환자 헤겔은 온 감각을 열어두어도 다다르기 힘든 미지의 영역이었다.  

 

이 책을 보면서 ‘가장 숭고한 히스테리환자’ 라는 표현이 참 재미있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궁금하기도 하였고....  그동안 인간사랑에서 나온 철학서들을 무척 좋아하였는데 그 이유가 우프게도 너무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독서 지도사 이지성님이 자신의 수준보다 한 단계 높은 책을 읽어야 독해력이 는다는 권고대로 어려운 책과 씨름하고 난후의 뿌듯함으로  부러  어려운 책을 찾아 읽곤 하였는데 ,  이 책은 고백하건데 어렵기도 하지만, 읽는 동안 머리가 지근거렸다. 정말 힘들게 읽은 책이다.  중간 정도까지 읽다가 도저히 무슨 소린지 알 수가 없어 다시 앞장으로 가기도 여러 번 , 다시 마음을 가다듬고 필사하기도 하였지만, 머리가 녹이 슬었는지 이해불가능이었다. 여기까지가 나의 한계인가 싶어 조금은 낭패감에 젖어 리뷰를 쓰지만, 조금 독해력을 길러 다시한번 도전해 보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