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주석의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1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그림책들을 무척이나 좋아하여 그림과 관련한 서적들은 빠짐없이 읽었던 것 같은데 부끄럽게도 정작 우리의 것인 옛그림에는 별관심을 두지 않았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은 서양화보다 동양화에 더 걸맞는 말 같다. 동양화가 주는 여백의 미나, 색은 전혀 없이 선으로만 그려진 수묵화는 읽으려고 해도 하얀 것은 종이, 검은 것은 먹이라는 생각밖에 할 수 없었다. 허나, 동양화는 이상하게 마음을 움직이며 정화시키는 무엇이 있다. 그 '무엇'을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은 그림을 보는 것과 읽는 것의 차이이리라. 서양화는 그림에 삶을 담았다. 동양화에는 그림에 정신을 담았다. 그림에 담은 재료에 따라 그림을 읽는 이들은 제각기 담겨진 이야기를 읽는다. 그래서 서양화에서는 그림에서 인생의 희로애락을 퍼올리지만, 동양화에서는 사람의 정신을 읽는다. 동양화를 그윽하게 바라보고 있노라면 마음이 고요해지고 색의 파동없이도 자연의 숨결이 전해지는 것 같은 생동감을 느낄 수 있다. 바로 먹선線의 힘이다.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의 저자 오주석은 우리나라에서 박제되었던 옛 그림에 숨결을 불어넣어 대중에게 친숙한 글쓰기와 탁월한 그림 읽기로 고미술대중화 시대를 열었다.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말처럼, 서양화의 화려함과 자극속에서도 고고한 정신세계를 지니고 있는 동양화의 우수성이 저자로 인하여 빛을 발하는가 싶었는데 2권을 집필 하시던 중 백혈병으로 돌아가셨다. 정말 가슴 아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 옛 그림도 그러하다. 옛 그림을 한 점 두 점, 한 획 두 획 그린이의 손길을 따라 보노라면 거기에 담긴 조상들의 마음결도 한 자락, 두 자락 드러난다.
책에는 12점의 그림이 실려 있는데 저자는 12점의 그림을 한 점 한 점 찬찬히 뜯어보며 그림을 보는 것이 아닌 그림을 읽는다. 그림 안에서 그림을 그린 시대와 그림을 그린 이의 삶의 결까지도 어루만지는 솜씨가 막힘이 없어 그림을 읽는 즐거움을 제대로 느끼게 한다. 12점의 그림 중에 김명국의 <달마상>이 첫 그림인데 달마상의 그림이 먹의 선線으로만 이루어겨 있기 때문이며 흑색이 모든 색을 낳을 수 있는 생명의 원점 原點으로서 모든 존재의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옛 그림 읽기는 색色이 없는 달마상이 첫 작품의 시작에서부터 그림에 대한 깊은 학식과 탁견이 빛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색은 언젠가 바래고 없어진다는 관념 또한 전형적인 동양적 사고의 하나다.
<세한도> 세상의 매운 인정과 그로 인한 씁쓸함,고독, 선비의 굳센 의지, 옛사람의 고마운 정, 그리고 끝으로 허망한 바람에 이르기까지 필설 筆舌로 다하기 어려운 많은 것들이 담겨져 있다. '세한도를 문인화文人畵의 정수라고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달마도에서 수묵화의 선이 지닌 의미를 들려주었다면 강희안의
<고사관수도>에서는 그림이 언제나 ‘살아 있다’는 동양화의 가치를, 안견의 <몽유도원도> 에서는 옛 그림의 원근법의 장점을 말한다. 서양화와 극명하게 차이나는 동양화의 원근법은 '자연이라는 대상이 살아 있고, 그 대상에 반응하는 인간도 자연과 함께 존재하는 중용적인 시각, 그것이 옛 그림 속의 삼원법이 재현하고자 하는 경계이다.' 그리하여 옛 그림속의 산수는 보는 이로 하여금 대자연의 정기를 속속들이 추체험하게 하면서 보는 이의 마음에 크나큰 위안을 주는 것이다. 이어 윤두서의 <자화상>에서 옛 시대를 고민하였던 선비의 마음을 투영해보며 윤두서의 얼굴에서 드러나는 삶의 파편들을 읽어낸다.
텅 빈 하늘이 있은 후에야 휘황한 달이 아름답고, 아지랑이 서린 아득한 공간이 있어야만
그 앞에 뻗어난 한 줄기 댓가지가 풍류롭다. 보이는 형상은 빈 여백 공간과 끊을 수 없게
연결되어 있다, 무는 유를 낳고 유는 무에 의지한다. 아니, 유는 드러난 것이고 무는 감추어 진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빈 공간은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 말 그대로의 여백이 아니라,
오히려 무한히 크고 넓어서 그려낼 수 없는 그 무엇을 상징하고 있다.
옛 그림을 읽는다(讀畵) 는 것은 옛 선인들의 마음을 오롯이 헤아리는 일이다. 윤두서의 <초상화>에서 시대를 치열하게 고민하는 선비의 마음을 읽었다면, 자연과 한 몸이 되어 물아일체의 삶을 꿈꾸는 <고사관수도>의 선비의 고매한 정신을 읽게 된다. 한 점 한 점, 서두름 없이 그윽히 그림을 바라보듯 그림 들여다보기를 권하는 저자의 그림 읽기를 통해 옛 그림 읽기의 진수眞髓를 배우게 되는 시간이었다. 저자는 그림을 좋아한다면 가장 먼저 그림을 물끄러미 바라보는 동시에 그것의 생태까지 볼 줄 알아야 한다고 한다고 하며 , 그림을 바라보는 것 자체를 즐거워하다 보면 그 즐거움 가운데 그림이 저절로 전해주는 마음을 느낄 수 있게 된다고 한다. 옛 그림 읽기가 서양화 읽기와 다른 점은 많은 차이가 있었지만, 아무래도 가장 큰 차이는 그림에 담았던 조상의 정신이자 마음을 읽는 일이라 생각된다. 과거 수묵화를 그리는 선비들이 그림에 정신을 담기위해 천 리의 먼 길을 다녀보고 만 권의 책을 읽으려 노력했던 (行千里路 讀萬卷書)것처럼 그림을 읽는사람 역시도 똑같이 해야 한다는 저자의 말을 두고두고 기억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