맵헤드 - 잡학의 대가가 만난 괴짜 지도광들의 별난 이야기
켄 제닝스 지음, 류한원 옮김 / 글항아리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콜롬버스의 신대륙 발견, 전염병의 근원을 최초로 밝히게 된 전염병학,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 아폴로호의 달 착륙 등은 인간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성취입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의 성취는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지도' 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저희는 몇 년전만 해도 장거리 여행을 가기 전에 지도와 GPS, 네비게이션을 챙긴 뒤 떠났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장거리 여행시에 스마트폰 하나만 챙기고 떠납니다. 스마트폰 하나로 네비와 GPS,지도 모든 것이 가능하니까요. 게다가 다음뷰 지도나 네어버 뷰, 구글지도는 찾고자 하는 곳의 지명만 치면 세계 어디든 검색이 가능합니다. 특히 구글지도의 3D 입체 항공사진은 놀라운 지도신세계를 경험하게 하죠. 전 가끔 구글의 3D지도를 볼때마다 최첨단 과학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을 실감하곤 하는데요. 이런 과학의 시대에 지도광하니 왠지 보물섬을 찾아 떠나는 꿈과 환상의 나라에만 존재하는 '보물지도 수집광'을 연상하였답니다. 이 책은 지도광이면서 퀴즈 프로그램의 최장기간 우승보유자이기도 한 ‘잡학의 대가’ 켄 제닝스의 신개념 박물지입니다. 저자는 《맵헤드》를 통해서 지도에 대한 인문학적 사고와 지리학의 새지평을 열어주는 독특한 지적탐험의 세계를 펼쳐보입니다.

 

지도에는 분명 선천적인 무언가가 있다. 우리 세계를, 우리가 세계와 맺고 있는 관계를 그려내는 그 방식에는 무언가 특별한 게 있어서 우리를 매혹시키고 소환해내며 벽에 지도가 걸려 있으면 다른 곳으로 시선을 돌리지 못하게 한다. 나는 그게 무엇인지 밝혀내고 싶다. -27p-

 

어렸을 때부터 지도에 대한 별난 애착을 가지고 있던 저자는 우선 자신의 지도집착이 다른 수집과 취미와는 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밝힙니다. 아버지의 직업으로 세계 여러곳을 다녔던 저자는 서울에 잠시 살았던 경험도 있더군요. 저자는 자신이 뿌리를 내리기까지 25년이 걸렸듯이 지도에 대한 자신의 집착도 자신의 뿌리찾기와 연관이 있다는 것을 어렴풋이 느꼈던 것 같습니다. 자신이 가진 지도의 사랑이 지구의 맥락을 읽는 일이라는 것을 자신과 같은 지도광들을 만나면서 깨달아가고 있거든요. 언어보다 더 오래된 역사를 지니고 있는 고지도가 지닌 유물로서의 가치와 역사적 중요성을 말하는 동시에 실재했던 개인의 이름을 달고 있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죠. 현대의 지도는 지역명을 말하고 있지만, 고지도는 누군가의 지도,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 지도이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음은 말할 것도 없죠. 뿐만아니라, 1962년 준 글렌이 인류 역사상 최초로 지구 궤도를 돌았을 때 지도와 보여지는 실물이 같았다는 점에 착안하면서부터 정보만을 담았던 지도의 형태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모든 것'을 지도의 형태(그림)으로 남기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를 들여다보기도 합니다. 연애담을 해도처럼 그리거나, 금주령 시절에는 금주를 위한 철도지도를 만들었고, 담배 마을과 럼 술단지 호수와 같은 지도도 그리고, 인생의 모든 측면을 지도로 그리게 되면서 지도는 기존의 장소를 나타내는 도구로서의 지도개념과는 전혀 다른 '인간의 삶'을 담는 지도로서 변모하게 됩니다. 

모든 지도는 두 가지 종류의 세계를 보여준다., 우리가 가본 곳과, 우리가 가보지 못한 곳. 하나의 틀 안에 가까운 곳과 먼 곳이 공존하며, 우리 세계가 새롭고 예상하지 못한 곳과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 우주에서 우리가 차지하는 공간과, 우리가 새로운 곳에 가서 새로운 것을 볼 수 있는 가능성과, 그뒤 집으로 돌아오는 길까지 한눈에 이해할 수 있다.

  

 

 

 

우리가 그랬듯이 모두 지도와 사랑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들에게는 아직 그럴 만한 기회가 없었을 뿐이다.

 

저자가 만난 맵헤드들 - 고지도를 수집하는 수집광이나,100개국을 여행해본 사람만이 가입할 수 있는 '여행자센추리클럽'의 장소수집광들, 지도로 표시된 온갖 길과 실제 표지판에 열광하는 도로광,GPS를 이용하여 보물찾기를 하는 지오캐셔들,구글어스의 팬들, - 의 공통분모는 '지구사랑'에 있습니다. 인간이 지도에 삶의 맥락을 담기 시작한 의미의 '지도'이야기는 이렇게 '지구 사랑'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러나, 저자는 애석하게도 미국인 중 5분의 1이 세계지도에서 미국을 찾지 못하며, 미국의 공교육이 지리학을 등한시하게 되면서부터 지리적 문맹률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현실 (세상은 이제 토포필리아 topophilia 가 아니라 토포포비아 Topophobia가 되어가고 있다-p80) 과 현재의 지리적 무능력이 미래에도 이어질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을 내놓으면서도 결국 '지도가 이 전투에서 이길 운명'이라고 호언장담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지구에 대한 사랑은 절대 식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기에 무한긍정할 수 있는 것이겠죠. 지구와 지도는 원래부터 한몸이었으니까요. 저자는 지리학을 단일학문으로 인지해서는 안되며 '장소라는 렌즈를 통해 본 모든 다른 학문'으로서 모든 학문의 근간이 바로 지리학이라고 합니다. '맵헤드'는 '지도'라는 렌즈를 통해 보는 지구의 맥락을 읽는 일입니다. 저자가 말하는 '보잘것 없는 삶을 전체로서 존재하는 지구의 맥락에 배치하여, 더 큰 범위의 맥락에서 우리 삶을 시각화하려는 욕구'(p390)로서의 지도는 디지털의 발달과 과학의 시대에도 맵헤드들이 있는 한 지속될 것 같습니다. 지도를 사랑하는 일이 바로 지구를 사랑하는 일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