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종교를 위한 인문학
김경집 지음 / 시공사 / 2013년 6월
평점 :
불과 몇 해전까지만 해도 신앙서적을 미친듯이 탐독하였건만, 최근 들어 성경을 읽은 기억이 없다. 이런 나를 누군가는 냉담자라고 하지만, 나 역시 왜 교회와 멀어졌을까를 생각해보면 딱히 이유를 대지 못한다. 그러나, 내 주위를 둘러싼 모든 사람들이, 하다못해 온라인의 이웃들까지도 다수가 크리스찬인 것을 보면 나는 아무리 발버둥 쳐도 하나님 손바닥 안에 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한다. 시공사에서 새로 나온 신간 《눈먼 종교를 위한 인문학》을 보며 처음부터 너무 기대를 많이 했는지 막상 읽어보고 나서는 조금 허탈한 기분에 사로잡히기도 하였다. (인문학이 아닌 종교인문학이라는 장르의 어색함 탓이다.)
저자는 한국 교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첫째, 뿌리 깊은 근본주의와 교조주의에 대한 지나친 집착.
두번째는 지나치게 성직자 중심적 교회라는 점.
세 번째는 여전한 서구 중심주의적 사고로 요약하였다.
여기서 저자가 말하는 근본주의란 본질적인 것의 절대적 진리를 강요하는 종교운동을 말한다. 성서에 근거한 신앙의 근본적인 측면을 강조하지만 그 경직성과 배타성이 시대의 흐름과 변화에 전혀 반응하지 못하면서 자신들의 권위에만 집착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고 있으며 교조주의는 과학적 해명 없이 신앙 또는 신조에 입각하여 도그마를 고집하는 입장이다. 이렇게 저자가 말하는 교회의 문제점 위의 세 가지는 어쩌면 내가 교회에 나가지 않는 간접적인 이유가 되기도 하지만, 직접적인 이유를 꼽자면 교회신자들이 가지고 있는 특권의식이 아닐까한다.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의 가지고 있는 이상한 자긍심이 때론 지나친 이기주의로 비쳐지곤 하였는데 따지고 보면 자꾸만 교회의 부정적인 면들을 찾아내곤 하는 내 이기심의 발로가 원인이라는 사실을 나는 어쩔 수 없이 인정하고 만다. 사실 나는 다른 사람보다 깊은 신앙심이나 성심이 원래부터 존재하지 않았는지도 모르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년간을 미친듯이 신앙서적에 몰두하고 있었던 것을 보면 나는 단순히 '앎'이라는 것에 천착하는 스타일인 것 같다.
저자는 대학에서 영성 과목을 담당하게 되면서 가톨릭 학생들은 신앙에 매우 냉담한 반응을 하는 반면에 개신교 학생들은 신앙에 매우 열성적이고 아는 것은 많으나 지나치게 근본주의적 태도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보며 학생들의 신앙이 건강하지 않은 근본적인 이유를 복음서 읽기의 문제로 보았다. 이에 저자는 복음서를 조금 더 단순하게 순수한, 매우 인간적인 측면으로서의 복음서 읽기를 새롭게 시도하게 되었는데 이런 복음서 읽기가 학생들의 신앙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고 한다. 성경에서 자주 등장하는 '하나님의 나라'의 비유, ' 오병이어의 기적', '예수를 향한 사탄의 유혹', 예수가 행한 기적의 의미들' 을 인문학적 접근인 '삶에 대한 천착'으로 풀이하여 설명하고 있다.
사람이 어찌 '말씀을 먹고' 살 수 있겠는가? 하지만 내가 빵을 먹는 근본적인 이유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그것을 먹고 나 자신의 삶을 실현하기 위해서, 즉 참된 자아를 실현하기 위해서다. 그것이 없다면 내가 돼지와 무슨 차이가 있겠는가? 그런데 거기에는 '산다'는 게 과연 무엇인지, 어떻게 살아야 제대로 사는 것인지에 대한 성찰이 따를 때에만 그 질문이 의미를 갖게 되지 않을까? 영적 자아의 실현이 물리적 풍요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을 것임은 자명한 일이다. 그렇다면 영적 자아는 무엇에 의해 실현될까? 그것은 말씀이다. 그리고 그 말씀은 '주문'이 아니라 행동이어야 한다.
저자의 인문학적 성찰로 이루어진 복음서 읽기는 사실 여러가지 당혹스러움을 남긴다. 이제까지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읽어야 하고 영적인 눈으로 읽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매우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의 복음서 읽기를 선보이고 있지만, 지나치게 개인적 관점으로서 자의적으로 해석하였다는 점이 목에 가시처럼 걸려 넘어가질 않는다. 하지만, 어쩌면 내가 그렇게 받아들이는 것조차 어렸을 적부터 근본주의적인 교회관을 가지고 자라 온 탓도 있다. 우리나라의 교회 역사가 처음부터 워낙 극적으로 시작되었으며 그런 극적인 배경으로 인해 첫 시작을 그릇된 신학의 터에 집을 지었기 때문에 뿌리 깊은 근본주의 사상을 바로잡는 일이란, 곱절의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은 교회자체가 사회에 열린 사고를 가져야 하며 사회의 역동적인 변화에 대처하여 삶과 종교가 공존할 수 있는 터전을 새롭게 모색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아무쪼록 저자의 인문학적인 복음서 읽기가 교회를 감싸고 있던 틀을 과감히 깨고 참된 그리스도인의 지평을 열어주는 교두보가 되어주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