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의 서재 - 나만의 도서관을 향한 인문학 프로젝트
정여울 지음 / 천년의상상 / 201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한 번도 책을 많이 읽는다고 생각한 적이 없다. 그런데 사람들이 나보고 책을 많이 읽는다고 한다. 한달에 평균 스무 권 정도의 책을 읽는데 그럼에도 책을 읽기에 턱없이 모자란 시간을 원망하곤 한다. 세상에 좋은 책들을 조금이라도 더 읽어야 한다는 일종의 허영된 사명감이라고나 할까. 가끔 독서 전문가들이라 하는 사람들이 다독을 기준으로 독서의 진정성을 따지려고 할 때마다 나는 의아함이 들곤 한다. 나는 적어도 책을 많이 읽고 적게 읽고가 독서의 깊이를 재는 잣대가 될 수 없다고 본다. 다독이 독서의 깊이를 말할 수 없다면, 다산 정약용이나 정조와도 같은 위인들이 수천권의 책을 읽고 수만권의 책을 썼다고 진정성이 없다 할 수 없는 것처럼 다독은 독서의 진정성과는 아무 상관 없다. 또한, 책을 많이 읽지 않는다고 해서 그 사람의 독서의 깊이가 얕다고도 할 수 없는 일이다. 분명 내 주위에는 일년 내내 책 한 권 읽지 않아도 삶의 깊이가 묻어나는 진한 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다. 내가 생각하는 독서의 가장 큰 의미는 '자신만의 서재'가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이다.
누군가 인문학이 도대체 뭐냐고 묻는다면, 나는 이렇게 대답하고 싶다.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우리들이, 끝내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려주는 모든 지식이 인문학이라고. 지구 반대편에 있는 낯선 사람과도, 아프리카 초원을 달리고 있는 야생동물과도,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각종 미생물과도, 우리가 어떤 방식으로든 ‘연결’되어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 인문학이라고. 우리가 굳이 애를 써서 찾아다니지 않으면 알 수 없는 타인의 고통과 만나는 것. 그 고통에 우리가 ‘가해자’나 ‘공모자’가 되지 않도록 온 힘을 다하는 것. 그리하여 그들의 고통과 우리의 고통이 한곳에서 만날 수 밖에 없음을 깨닫는 것이 인문학이라고 믿는다. 당신의 존엄과 나의 존엄이 결코 다르지 않음을 깨닫는 순간, 그 순간이 ‘번쩍, 하는 인문학적 교감’의 순간이다.
정여울의 《마음의 서재》에서는 '자신만의 서재'를 만드는 팁을 알려주고 있다. 프롤로그에서 저자는 자신에게 맞는 책을 찾게 된다면, 책이 어느 순간 마음에 들어오게 되며 자신만의 서재가 만들어지면 내게 안 맞는 책조차 커다란 스승이 된다고 한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나 역시도 이런 경험을 통해 '독서'의 중심을 잡은 기억이 있다. 처음에 어떤 책을 읽을지 몰라 베스트셀러 목록에서 책을 고르거나 신간에서 책을 고르던 경험이, 그러나, '나만의 서재'가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독서는 수박 겉핥기식의 독서를 벗어나지 못했다. 그 당시에는 내게 어떤 책이 맞는지도 모른 채 ‘그저 읽는 ’ 맹목적인 독서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러던 중 인문학과의 만난 순간의 ‘번쩍’ 은 잊지 못하는 경험이다. 그렇게 경험한 인문학과의 만남으로 밤새는 줄 모른 채 읽은 적도 많았고 지금도 밤을 종종 새우곤 한다. 주위에서 아무리 인문학이 좋다고 해도 자신이 경험하지 못하면 소귀에 경읽기이다. 경험한다는 것은 그래서 중요하다. 인문학과 교감하는 순간을 경험한 독자라면, 누구라도 이런 마음을 이해할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뒤늦은 애도가 아니라 바로 지금 이 순간의 애정이다.
“나는 인생을 깊게 살기를, 인생의 모든 골수를 빼먹기를 원했으며, 강인하게 스파르타인처럼 살아, 삶이 아닌 것은 모두 때려 엎기를 원했다.”
자신의 뿌리를 자신의 '바깥'에 두는 한 인간은 결코 행복해질 수 없다.
《마음의 서재》는 우리 시대를 관통하는 유행 키워드들 '지못미', ‘세대교체’, ‘엄친아’,‘성형중독’,‘쇼핑중독’, ‘각종 SNS매체;,’소비‘,’정보‘, ’교육‘,’소시오패스‘,’헬리콥터맘‘,’우울증‘,’허영‘,’콤플렉스‘가 넘쳐나는 사회의 본질을 꿰뚫기 위해서 푸코,다윈,헤밍웨이,도스토옙스키,프로이트, 토머스모어,벤야민, 캠밸, 소로의 삶과 문학을 통해 '자신'이라는 뿌리를 찾는 치유라는 개념의 인문학 서재를 완성하고 있다. 이러한 서재의 완성은 '자아 찾기' 로 시작하여 '타인'과 공감하며 '우리'로 완성되는 인문학의 교감을 얻게 되는 순간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전까지만 해도 나는 '인문학은 감동이다' 라는 공식에만 머물러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인문학은 나로 시작하여 우리로 맺어지는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게 한다. 어쩌면 이것이 독서의 진정성이 아닐까 한다. 독서의 세계는 '나'라는 뿌리를 찾지 않고서는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인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