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 이재익, 크리에이터 - 소설.영화.방송 삼단합체 크리에이터 이재익의 거의 모든 크리에이티브 이야기
이재익 지음 / 시공사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이재익 작가의 아버지의 길을 읽은 적이 있다. 그때 받은 신선한 충격은 우리나라 작가도 이런 대하드라마를 쓰면서 간결할 수 있다는 것이 마음에 들었던 작가였다. 국내소설을 잘 읽지 않는 이유가 지나치게 화려한 문체 때문이다. 과한 수식어, 지나치게 미화시킨 표현들, 오히려 외국문학들이 더 간결하고 깊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근데 의외로 이 작가스타일 마음에 들었다. 이후 몇 권의 책을 더 찾아 읽어보았는데, 감동과 간결함, 두가지 만으로도 이재익작가에 매료되었다. 최근에 영화 《원더풀라디오》를 보았는데 이 영화 시나리오도 이재익작가가 쓴 거라고 한다. 도대체 이 남자 정체가 뭐야?
라디오 작가, 소설가,시나리오 작가,라디오 PD. 참 화려하다.
책을 본 순간, 이재익이라는 이름이 먼저 눈에 띄었다. 한 사람이 자신의 이름으로 책을, 그것도 제목에 이름이 들어가 있다는 것은 그만큼 자신의 삶에 자신이 있다는 말이렸다. ~완전 기대되는 심정으로 책을 펼치자, 역시나 술술~ 읽힌다. 이재익 작가의 화려한 경력이 궁금한 사람이라면 , 그리고 그의 크레이티브한 창조능력이 궁금하다면, 호기심 무한 충족이 될 것을 장담한다. 왜냐, 이 책은 이재익만의 방식으로 여전히 현업에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실질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1, 크리에이터 되기
영어로 크리에이티브 creative 의 사전적의미는 '창조적'이라는 뜻이다.크리에이터는 이런 행위를 하는 사람을 말한다. 한마디로 창조자. 작가는 구체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모든 행위에 크리에이티브하는 표현을 한다. 단,여기에서는 상업적인 결과물 위주로 범위를 좁힌 의미이다. 그럼, 크리에이터를 꿈꾸는 이들에게 조언해 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근성과 노력이 아이디어 그 자체보다 더 중요하다고 나는 감히 말한다.
2,나는 크리에이터다
실패, 또는 부족한 결과물은 크리에이터의 자부심에 상처를 준다. 아쉬움 정도의 가벼운 상처일 때도 있고 모욕감 수준의 깊은 상처일 때도 있다. 크고 작은 상처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크리에이터는 더 강하게 자란다. 그러므로 최선을 다하되 실패를 두려워하지는 말라.
1장에서는 노력이 크리에이터를 만든다고 하였지만, 2장에서는 '습관의 힘'만큼은 아니라고 한다.노력보다 더 중요한 것이 '크리에이티브 중심적 습관'을 지니는 것이라고 한다. 노력은 의지가 있어야 가능하지만 습관이 몸에 배면 노력없이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말이다. 누구나 여러가지 황성한 활동을 하기에 바쁘다고 생각하고 시간에 늘 쫓긴다고 생각하지만, 이재익작가는 소설쓰고 PD일을 하고, 영화도 만들고 가정까지 있고, 놀러도 자주 다니고 하지만, 본인은 항상 시간이 많고 남아돈다는 말을 한다. 여기서 개인적인 말을 하자면,이 말이 십분 이해가 간다. 뭐, 감히 이재익작가와 나를 비교하고 싶진 않지만, 나는 회사도 다니면서 가게를 운영하고 , 책도 매일 읽는 편이고 리뷰도 읽은 책은 언제나 기록으로 남기는 원칙이자 오랜 습관이다. 엄마로서(우리 딸들은 공부도 잘한다) . 아내역할도 충실하다. 사람들이 가끔 내게 어떻게 그럴수 있냐고 물어보지만, 사실 그러고도 시간이 남는다. 무엇이든 관리하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듯이 시간 역시 관리하기 나름이다.
나만의 시간 관리 원칙 첫번째는 할 일의 리스트보다 안 해도 될 일의 리스트를 먼저 만드는 것이다.
3장과 4장은 앞에서 크리에이터가 되어야 하는 이유, 크리에이터가 되려면, 크리에이터가 좋은 점들, 크리에이터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나열을 하였고 이제 본격적으로 자신의 작품을 통해 크리에이티브 결과물이 어떻게 탄생되는지를 살펴보는 장이다. 지루하지 않게 자신의 일에 대한 열정과 노하우를 전수해주기 때문에 시종일관 유쾌하고 가벼운 듯 하지만, 통속적이지 않은, 작가 말대로 돈 아깝지 않은 크리에이터 이야기이다. 방송과 작가의 꿈을 꾸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무척 유익한 책이지 싶다. 일반인인 나 같은 사람으로 배울 점은 이재익 작가의 소신 같은 거? 자신이 무엇을 할 줄 알고 자신의 일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은 분명 축복이다. 하지만, 그에게 이런 축복이 있게 된 이유는 위에 말한 두가지, 노력과 크리에이티브 중심적 습관이라는 점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남의 떡을 크게 보고 그 사람의 노력은 보지 않는다. 하지만, 자신의 이름을 걸고 성공한 사람들은 그만큼의 피나는 노력과 습관이 배어 있는 사람들이라는 것. 이재익 작가를 통해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