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지만 큰 한국사, 소금 - 짜게 본 역사, 간을 친 문화
유승훈 지음 / 푸른역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캠핑을 다니다보면 꼭 빠뜨리는 물건이 있다. 이상하게 소금이 없으면 불편한 줄 알지만, 막상 챙겨지지 않는 조미료 중의 하나가 소금이다. 너무도 친숙해서 중요성을 가끔 잊게 되는 소금. 우리 집은 소금 한 포대를 사서 2년 정도 간수를 뺀 소금을 사용하는데, 다른 화학조미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좋은 소금을 사용하려고 애쓰는 편이다. 실제로 간수를 뺀 소금으로 찌개나 국을 끓이면 국물 맛이 정말 깔끔하다. 며칠 전 소금이 떨어져서 궁여지책으로 마트에서 천일염을 사려고 갔더니 소금가격에 놀라서 그냥 빈손으로 돌아왔다. 물가가 어디 소금 값만 올랐을까, 태풍으로 인해 상추 값이 고기 값보다 비싸니 가정경제에 엄청난 타격이 아닐 수 없다. 재작년인가, 천일염을 주제로 다큐 방송을 한 적이 있는데 내용인즉슨 환경오염으로 인해 이제 소금도 안전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래저래 간수를 뺀 소금을 알아보다가 눈에 띈 책 작지만 큰 한국사, 소금은 책 소개 글에 소금의 눈으로 바라본 우리나라 최초의 소금 문화사라는 글이 무척 인상적으로 다가왔다.

 

 

 

 

1짜게 본 역사에서는 소금을 둘러싼 역사이야기를 들려주는데 과거 소금은 유일한 생계수단이자, 금과 같은 부의 척도이며, 서민생활의 중심이었다. 그런 소금 최고의 소금 교통로는 바로 강이었는데 조선시대 풍경화속에 자주 등장하는 소금배를 보면 왠지 목가적이고 친숙하게 느껴지곤 하였는데 그 모습이 바로 서민들의 생활의 중심이었던 것이다.  이렇게 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교역은 주로 소금과 곡물을 교환하거나, 소금과 어류 따위를 거래하였는데 당시 낙동강에서는 경상도 해안가의 소금이나 어물, 내륙의 곡물이 서로 물물 교환되는 시스템이 형성되어 있었다고 한다.

 

중국 최초의 소금 전매론자인 관중의 역사와 , 이어 한나라의 염철회의로 유래된 염장법, 충선왕이 시행한 각염법까지 소금의 역사를 살펴보는데 충선왕의 각염법의 특징은 모든 소금가마를 국고로 귀속한 점이다. 이 법으로 인해 10년 동안 백성들은 소금을 받지 못하는 사태에 이르게 되는데 충선왕이 세자로 원나라에 머무르면서 원나라가 염세수익으로 대제국을 형성시키는 디딤돌이 된 것을 보게 되자, 충선왕이 소금 전매제의 중요성을 깨닫고 고려에서 시행하게 된 것이 화근이었다. 결국 각염법으로 인해 백성들은 나라에서 소금을 얻지 못하자 사사 매매가 성행하게 되며 백성들의 원한이 높아지게 되자,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내놓을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리고 이런 고려백성들의 바람은 이성계의 역성혁명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렇듯 저자는 작은 소금이 역사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데 소금으로 살펴보는 역사는 기존의 역사와는 다른 시각을 제안해준다. 조금 더 경제적 시각이라고 할까(소금이니까).

 

 

 

이에 고려왕조가 소금을 전매 했던 각염법을 폐지하고 소금 개혁을 시도하는 조선 왕조. 새로 개국한 조선 태조는 염장을 설치해 소금을 구워 부족한 소금의 물량을 높이고 쌀과 베의 질을 묻지 않고 소금과 바꿔주는 방책을 내세운다. 소금을 먼저 공급하고 대가로 쌀과 베를 받았은 이유는 민심을 얻기 위해 가장 먼저 한 개혁이다. 조선 왕조에서 가장 큰 폐단을 남겼던 염철사제도는 류성룡이 주장한 것으로 조선의 역사에 가장 많은 폐단을 남겼던 세 가지 -전쟁과 재정부담, 염철사-는  서로 떼어낼 수 없는 불행한 관계였다고 한다. 이에 다산 정약용이 백성을 위한 염법, 즉 평미레 개혁안과 소금세를 줄여서 소금세를 늘이는 역발상을 내놓았다. 그러나, 다산의 염법은 국가와 백성 모두에게 좋은 최고의 실천방법이었지만, 실행되지 못한 채 조선은 일본의 침략을 받게 된다. 이렇듯 우리의 역사와 소금은 굉장히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2부에서는 우리나라의 전통적 소금에 대한 자염의 생산비법을 소개하고 있는데 지금은 천일염이 가장 좋은 소금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원래 가장 좋은 소금은 '자염'이라고 한다. 그러나,  바닷물을 끓여서 만드는 자염은 연료비의 문제로 근대이후 천일염으로 대체하게 된 것이다. 자염이 천일염보다 더 좋은 이유는 자염 생산 시 갯벌에서 하는 써레질을 통해 갯벌 속의 유기물이 염분과 화학반을 일으키며 합성이 되면서  우리 신체에 필요한 다양한 유기물이 포함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자염은 덜 짜고 밋밋하면서 약간 단맛이 느껴진다고 한다. 갯벌에서 생성된 다양한 미네랄 성분이 자염에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자염이 위축될 수 밖에 없는 것은 바닷물을 끓여서 만드는 자염에 드는 연료비를 감당하지 못하기에 바람과 햇볕에 의하여 말리는 천일염이 자염의 자리를 대신하게 될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인체의 혈액이 바닷물과 비슷한 성분을 지니고 있는 것은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가 바다에서 생겨났기 때문이다. 소금은 인간의 신체 속에서 근원적 바다를 지탱해 주고 있다. 인간이 짠맛을 추구하는 이유는 이렇게 내부의 세포가 품고 있는 바다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였다 

2부에는 자염의 생산비법뿐아니라 소금장수와 얽혀있는 민담이나 설화를 소개하고 있는데, 이상하게 소금장수들을 엽기적인 성적 변태나 대단한 정력가 이야기들이 대부분이다. 그러고보니 변강쇠도 소금장수? 

저자는 설화나 민담에서 정력가로 그려지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성적으로 소외된 취약계층이었으며 늘 무거운 소금을 지니고 다니면서도 성적 욕망을 해소 할 수 없는 상황에서 다양한 이야기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삶을 경험할 수 있는 직업이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저자의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게다가 소금과 연관된 다양한 이야기, 오줌 싼 아이에게 소금을 주거나, 상가집에 갔다오면 소금을 뿌리는 이유등이 아주 흥미롭게 펼쳐진다.

소금으로 보는 한국사라는 독특한 설정과 더불어 소금의 전래와 소금생산지에 직접 찾아가 담아있는 답사기까지 소금에 대한 역사와 문화 등 아주 색다르고 재밌는 소금 문화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