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우 강의
왕리췬 지음, 홍순도.홍광훈 옮김 / 김영사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항우를 두고 역발산(力拔山)은 기개새(氣蓋世)라고 하듯이, 항우는 기는 패왕의 기였다. 그러나 패왕의 위치까지 간 그가 왜 멸했을까. 천하의 영웅이되 실패한 영웅이라 불리우는 항우. 그의 비참한 죽음으로 인해  불후의 예술적 향취를 물씬 풍기는 전형적인 인물로 회자되고 있는 인물이다. <사기>를 기술한 사마천 또한, 항우의 실패를 아쉬워하는 마음을 담았을 정도로 천하를 재패한 유방보다 항우에게 더한 애정을 갖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저자 왕리췬은 이 책을 통해서 항우가 실패 한 이유를 살펴보고 있다. 그리고 그 실패를 통해서 삶의 지혜와 혜안을  넓혀주고 있다. 저자 왕리췬은 항우가 실패한 첫 번째 이유를 정치적 유치함을 둔다. 병법에는 능했고 기개 또한 대단했던 항우가 지나치게 자신을 믿으면서 문(文)을 경시하였는데 항우는 지나치게 자신을 과신한다. 결국 실패의 요인 '정치적'으로 유치할 수 없었던 것 첫째가  기초를 다지지 못했음을 말한다. 다시 말해 자신을 닦는 공부를 게을리 하였다(수신 修身) 둘째는 자의적 성격 탓으로 보았다. 이렇게 개인에 대한 지나친 독단성은 천하는 그를 영웅으로 태어나게 하였지만, 스스로 화를 자초한 것임을 말한다. 쉽게 예를 들면 항우는 분명 똑똑하고 한눈에 봐도 천하의 재목이었을 것이다. 학생들에게 공부를 가르치다보면 유난히 똑똑한 학생이 눈에 띈다. 하지만, 대부분이 똑똑한 학생은 열심히 하지 않는다. 오히려 조금은 앎에 대해서 늦되더라도 성실하고 조금은 미련한 학생이 나중에 박사가 되는 경우가 많다. 비교하자면 성실하고 미련한 학생이 유방이다. 욕을 입에 달고 살고  여색을 밝히고, 천박한 품성을 가진 유방은 분명  천하의 재목이 아니었지만, 결국 천하를 재패한 것은 유방이었다는 역사가 보여주는 진실은 현실을 사는 우리에게도 무척 큰 교훈을 남긴다.

 

 

사기를 들여다보면 유방을 세가지 신분으로 기록하였는데 패공,한왕,한고조이다. 그러나 유방을 가리켜 공통된 기록은 어느 신분에 있던지 욕을 잘했다는 기록이 있다. 게다가 유방의 인격이 의심되는 기록 또한 많은데 유방이 그다지 인덕이 많거나, 인품이 훌륭한 패자는 아니었다. 심지어 도망갈때 자신이 빨리 도망가기 위해 자신의 아이를 마차 밖으로 버린다거나, 여색을 유난히 밝혔다거나, 잔인한  면모도 많지만 유방이 가장 유능한 점은  권모술수에 능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항우는 유방의 그런 면모를 전혀 모르고 있었다. 초한전쟁 초기에 유방을 없앨 세 번의 기회가 있었음에도 유방을 자신의 라이벌로 생각지 않은 것은 그의 거칠고  직선적인 성품으로서는  죽었다 깨어나도 몰랐을 면모였던 것이다.  이것만 보아도  항우와 유방은 게임이 안되는 승부였는지도 모른다. 

 

여차저차해서 초패왕이라는 최고의 자리까지는 해봤지만, 워낙 제멋대로인 성격에 충신과 간신의 구분도 못하고, 유일한 모사 범증까지 유방의 반간계로 내치기까지 한 항우는 자신의 일생의 가장 중요한 전투 거록과 팽성의 전투로 군사적 천재성을 여지없이 보여주지만,  이 전투 또한 정치적인 미숙함은 그대로 보여주는 전투임을 알게 되는데  저자는  이 전투를 통해서도  항우의 실책을 면밀하게 살펴보는데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항우의 가장 큰 실책은 유방을 진정한 라이벌로 생각하지 못 한데에 있다. 남의 말을 듣기를 싫어했으며 , 자신을 너무 과신하여 사람을 판단할 줄 몰랐으며, 도량이 좁아 관용할 줄 몰랐다. 결국 항우의 실패는 유방이 강해서가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 패한 것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는 것이다.

   

기존의 항우와 유방의 이야기는 항상 민심을 얻는 자가 천하를 얻고 민심을 읽는 자는 천하를 잃는다는 불후의 진리를 떠올리게 하였다. 이제까지 항우가 유방에게 패한 원인을 민심을 얻지 못해 패한 것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저자는 항우의 패한 원인은 바로 '정치적 유치함'일 뿐임을 강조한다.  잔인함과 폭력면에서는 항우는 진시황과 매우 닮은 면을 지니고 있었는데 진시황의 망국의 원인을 살인으로 보지 않는 것과 같다고 한다. 물론 항우의 폭력도  실패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가장 절대적인 실패의 요인은 다시한번 말하지만 정치적 유치함이다만약, 항우가 정치적으로 성숙하였다면, 유방을 견제할 수 있었던 세 번의 기회를 그렇게 어리석게 보내지 않았으며, 초한전쟁의 역사는 새로 쓰게 되었을 것이다.   

 

이 책은 중국 국영방송 CCTV'고급지식의 대중화'를 모토로 기획한 인기 교양 프로그램 백가강단의 강의를 엮은 것으로 이번 편은 <항우강의>이다. 중국 역사학의 거장으로 사마천 연구의 세계적 석학 왕리췬의 강의는 <사기강의>로 만나본 적이 있다. 저자 왕리췬은 '사마천'에 대해서는 중국 사학계에서 독보적 연구가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세계적 석학으로 탁월함을 인정받고 있다. 저자의 역사를 보는 시선은 기존의 역사를 보는 시각과는 차별화 되어 있으며 역사를 통해 현재를  바라보게 하는 교훈을 남겨준다. 역사는 미래의 과거라는  말도 있듯이 초한전쟁의 성패를 통해  배우는 교훈은 두고두고 기억할 만한 소중한 가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