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막 난 시체의 밤
사쿠라바 카즈키 지음, 박재현 옮김 / 21세기북스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Money Money.............

언젠가 놈의 발아래에 BIG MONEY 를 내던져주마

Money .............

공포영화나 추리소설, 둘 다 좋아하는 장르는 아니지만, 여름에는 꼭 보아주어야 하는 장르라는 인식이 언제부터 든 걸까. 실제로 공포가 체감온도를 내려주는가에 대한 이색적인 실험을 하였는데 공포와 체감온도는 아무 연관성이 없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름 밤의 공포는 그냥 꼭 체험해야하는 의례가 되어가는 듯 하다. 요즘 들어 공포문학이 땡기는 거 보니 ^^;; <토막난 시체의 밤>은 소개글을 보고 <화차>와 비슷하다고 생각하였는데, 전개나 구성은 전혀 다르다. 네명의 등장인물들이 각자의 이야기를 해주고 있는데 이런 구성의 장점은 감정이입이 쉽다는 것이 장점인 것 같다. 그리고 여류작가라 그런지 무척 감각적인 글이라 몰입도도 높지만 심리묘사가 무척 뛰어나다. 화차의 주인공은 본인이 의도하지 않은 채 사채빚을 지어 순식간에 나락으로 떨어지면서 타인의 삶을 흉내내는 삶의 모습이지만 <토막난 시체의 밤>의 주인공은 자본주의 사회에 자신도 모르는 욕망에 충실하게 되면서 나락에 빠진 케이스이다. 한마디로 이 책의 주인공 사바쿠는 현대인이 가지고 있는 모든 욕망의 결집채이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사회를 보편적 매춘의 시대라고 지적하였는데 이것은 성적으로 몸을 팔지 않았을 뿐 , 결국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팔아 돈을 벌 수 있는 자본주의의 현실을 말한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은 그런 자본주의사회의 자화상을 예리하게 반추한다.

 

고독.

이것은 솔로인가.론리인가.

알게 뭐람.

 

<사바쿠>

평범한 한 소녀,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조용하였던 소녀는 부모가 죽고  성장하여 조그마한 회사에 출근하게 된다. 아름다운 여인이 광고에 나와 이뻐질 수 있다는 광고는 아이를 유혹하고 아이는 소비자금융대출을 받을 때마다 이뻐진다. 그러나, 대출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회사도 그만두게 되고 순식간에 세상의 밑바닥으로 추락하게 된다.

 

<사토루>

사랑받지 못한 한 소년, 문학을 사랑하고 영특하였지만, 지독한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작고 더러운 오두막에서 벗어나  탈출하고 싶다. 소년은 오두막을 떠나던 날 자신을 죽이려 했던 엄마에게 받은 충격이 깊은 트라우마로 자리잡게 되고,  오두막을  벗어나 도망친 곳은 더럽고 좁디 좁은 공간인 오래된 고서점 이층 나미다테이 하숙집이었다. 도망가든 안가든 외롭고 고독한 것은 똑같은 처지였던 소년은 돈많은 아내와 결혼하면서 하얗고 투명한 요새같은 집을 얻게 된다. 그러나, 소년을 짓누르던 우울함은 여전히 머리가 희끗희끗해지고 주름이 얼굴의 반을 덮어도 남아있다는 걸... 자신만 모른다.

 

<사바쿠vs사토루 만남>

여전히 우울하고 고독한 그림자를 끼고 다니는 사토루는 고급외투를 입고 명품으로 치장하여 오래 전 기억을 되살려 전문서적을 구하기 위해 고서점 나미다테이에 우연히 발걸음을 하고, 그곳에서 너무나 아름다운 여자 사바쿠를 보고 알수 없는 감정에 빠져든다. 완벽한 바디라인을 가지고 아름다운 얼굴을 하고 있지만, 이상하리만치 젊음이 없는 , 나이에 어울리지 않는 늙은 그림자를 가지고 있다고 해야하나.

 

"사랑할 수 없어."

 

사바쿠와 사토루는 기이한 사랑을 한다.아니 그냥 만난다. 사바쿠는 더이상 떨어질 수 없는 세상의 밑바닥에서 희망없이 하루하루를 그냥 연명하고 있을 뿐이고, 고급으로 치장하였지만, 빚에 쪼들리고 있을 뿐인 허울좋은 대학교수일 뿐이었다. 사바쿠는 자신을 더러운 곳에서 빼내줄 구원자로 사토루를 받아들였지만, 사토루는 사바쿠에게서 그저 오랜 트라우마의 존재 엄마의 냄새를 맡았을 뿐이다. 그저 둘은 서로  고독과 외로움만을 공유하는 사이. (그럼 사랑하는 사이 아닌가?)

 

 인터넷 신문 메인에 누군가가 사체를 유기했다는 글이 올라와있다. 과거 '토막난 시체'라는 말은 가끔 이런 소설이나 영화, 드라마에서나 볼 수 있는 특수한 단어라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제 뉴스나 대중매체를 통해 간간히  접하는  단어가 되었고  원인은  바로 '돈'에 의한 것이다. 토막난 시체 어쩌면  우리 사회의 서글픈 단면을 말해주는 단어가 아닐까 싶다. 이 책은 한편으로는 자본주의에서 자본, '즉' 돈이 인간의 뿌리깊은 본성까지 파고들어 인성을 파괴하는 과정을 그려주고 있어, 돈의 노예가 되어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물질만능주의가 준 폐해까지 자연스레 떠올려보게 된다.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의 저자 마이클 샌델이 말하자고 했던 것도 이제는 사람들이  사고 팔 수 없는 것까지 사고 파려는 사고(시장사회)가 강하게 인식되고 있다고 했듯이 도덕적인 가치는 희미해지고 있는 사회에서 돈이 최고인 사회의 모습을 너무도 잘 표현하고 있는 소설이다. 사쿠라바 가즈키의 소설은 처음 읽었는데 사회를 꿰뚫는 예리한 시선과 감각적인 심리묘사가 무척 인상적으로 남는 작가이다. 무료하고 지루할 때 읽기엔 그만인 소설일 듯 하다.

 

"돈이라는 것에는 폭력성이 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