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녀 - 궁궐에 핀 비밀의 꽃, 개정증보판
신명호 지음 / 시공사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궁녀하면, 내가 음흉한지 몰라도 왜 그녀들의 성이 더 궁금한 걸까? 왕하나만 바라보며 독수공방, 절해고도의 섬에 외롭게 늙다간 궁녀를 떠올려보면 , 그네들의 삶이 참 가엽다는 생각을 하곤 하였다. 나는 페미니스트는 아니지만, 그래도 아무리 권력의 정점이라 해도 왕(남자)하나에 여자 수백명은 늘 억울하다는 생각이 들곤했다. 남자면 다야? 하는, 하지만 궁녀에 대한 책을 읽으면서 기존에 내가 상상하고 있던 궁녀가 아니라는 사실에 조금은 안도한다. ( 좀 덜 억울하다는 ㅋ~)...  기존에 드라마나 영화에서는 임금의 애정을 얻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악랄하고 표독스러운 궁녀의 이미지였다면, 이 책의 《궁녀》에서는 역사의 한 부분으로서 당당하게 조선왕조라는 문화를 형성한 일등공신으로서의 궁녀를 재조명한다. 저자는 조선의 궁녀에 대한 역사적 인식이 부족함을 학문적 탐구로서 사료를 바탕으로 저술하였다. 기존의 흥미와 상상력을 자극하는 이미지의 궁녀로서 조선의 역사를 보려 하는 것은 조선의 역사를 상상의 영역에 편입시켜 제대로 된 역사인식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우려에 의한 연구이다.

 

책의 구성은 총 6개의 장이며 1장- '역사의 파편에서 찾아내는 궁녀의 진실'에서는 삼천궁녀라는 표현이 주는 문학적 표현으로 인해 부정적 의미가 중첩되어진 궁녀의 이미지를 말하며, 2장- '파란만장한 삶을 살다 간 그녀들'에서는 조선시대 궁녀중 신데렐라와 같은 삶은 산 신빈김씨와 광해군을 쥐락펴락하며 권력의 중심속에서 악녀를 자처한 장녹수의 삶을, 김옥균을 도와 갑신정변의 중심에 있었던 최초의 혁명가로 불리워지는 여인 궁녀 고대수, 게다가 명나라에 공녀로 갔다가 궁녀가 되어 황제 영락제의 사랑을 한몸에 받았으나 순장당한  청주 한씨, 임진왜란때 일본으로 넘어가  도구카와 이에야스의 궁녀가 된 오따 줄리에, 소현세자를 따라 온 명나라출신의 궁녀 굴씨의 생애를 통해서 그녀들의 파란만장하고도 녹록치 않았던 삶을 말한다.

 

이어 궁녀가 되기 위해 갖춰야 했던 자격요건과 출신성분, 궁녀라는 조직체계까지 기존의 역사서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비밀스러운 면모까지 살펴본다. 또한  대부분이 궁녀를 왕의 여자라는 이미지를 떠올리기에 왕이 모든 궁녀를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착각을 하곤 했는데 저자는 왕이라 해도 실제로는 자신에게 소속된 궁녀들만 관할할 뿐 관할을 벗어나는 왕비, 대비, 후궁, 세자궁에 소속된 궁녀에 대해서는 선발권조차 없었다고 말한다. 여기서 흥미로왔던 것은 궁녀의 입궁나이인데 빠르면 네살에서 여섯 살,  늦어도 열두 살 안팎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진에 나와있는 어린 궁녀의 사진에 실소가 터진다. ( 울 막둥이보다 더 어려보여서^^;;;)


5장의 '궁녀의 일과 삶' 에서는 궁녀의 월급, 재산, 심지어 부동산 투기로 부동산 재벌로 불리우던 상궁 박씨의 존재를 보며 대체적으로 궁녀들이 그다지 가난하게 살지 않았음을 알수 있다. 어떤 궁녀는 궁궐내에 있는 식재료(후추같은..)를 되팔기도 하며 재산을 일구기도 하였다.  


6장 '궁녀의 성과 사랑'은 가장 흥미롭게 (^^;관심분야인지라 ㅋㅋ) 읽었는데 식욕과 성욕 , 두가지는 모두 인간의 지극히 자연스러운 욕구이지만, 구중궁궐에서는 당연히 성욕은 절대금지였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간통 사건도 있었고 동성애도 있었고 내시와의 사랑도 있었다. 세조의 후궁이었다가 평생 짝사랑만 하다가 능지처참된 덕중의 이야기는 한편으로는 애처로움을 넘어 안쓰럽기까지 하다.

 

이렇게 궁녀를 통해 보는 조선의 궁중문화는 무척 색다른 역사의 이면을 보여주는데, 모름지기 역사는 단면만을 보아서는 안된다는 사실이다. 엄연히 조선은 궁중문화를 형성한 왕조이다. 그런 왕조를 지탱해주며 오백년의 유구한 역사를 이어올 수 있었던 것은 임금을 위시한 궁궐이라는 하나의 잘 짜여진 조직이 있었기에 가능하였으리라 본다. 조선시대의 궁중은 그만큼 사적인 동시에 공적인 공간이었기 때문에 공과사를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다스리기 위해서는 중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좌나 우에 집착하지 않고 위아래의 편견에서 벗어나야하는 중심에는 왕의 침전이 있었으며 그 내면에 궁녀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궁녀의 진면목을 살피는 책은 거의 전무하다. 그것은 궁녀가 비밀스럽고도 임금의 역린과 같은 지극히 사적인 이유도 없지 않아 있었기 때문이다. 모든 것에 중용이 필요하듯이 역사 또한 중용이 필요하다. 사회,경제,문화가 서로 어우러진 상호작용을 통해 하나의 역사를 형성하듯이 우리의 역사를 보는 시각은 한 쪽에 치우치거나, 편견으로  역사를 바라보게 되면 역사의 진정성과는 멀어진다. 따라서 궁녀를 기존의 만들어진 이미지가 아닌 생생한 민낯으로서의  궁녀이야기는 조선 역사의 진정성에 한발  더 다가간 느낌이다. 이제껏 단편적으로 궁녀를 '왕의 여자'로만 인식해왔으나, 조선 '궁중문화를 이끈 주인공'으로서의 궁녀는 흥미로울 뿐아니라 역사를 총체적이고도 거시적인 안목을 선사해주는데 의의가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