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에 관한 생각 - 우리의 행동을 지배하는 생각의 반란!
대니얼 카너먼 지음, 이진원 옮김 / 김영사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일부 심리학자들과 경제학자들은 강화 계획에 관한 연구와 경제학 사이의 유사점을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실험 경제학(experimental economics) 혹은 행동 경제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태동시켰다. (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대부분이 심리와 경제를 먼 학문이라고 생각하는지 모르나, 경제 이론이 인간의 합리성에 대한 믿음으로 시작되기에 심리학에 접근하여 경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세계적인 화두이기도 하다. 최근 선진국에서는 삶의 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데 행동 경제학적 방법들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책을 읽으려고 펼친 순간 대니얼 커너먼의 이력이 펼쳐진다. 사상 최초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천재 심리학자. 이 수식어만으로도 이 책에 대한 생각이 이미 긍정적인 사고로 변환된다 저자 대니얼 카너먼은  시스템1의 ‘빠르게 생각하기(fast thinking)’와 시스템2의 ‘느리게 생각하기(slow thinking)’ 로 비유하여 생각, 즉 사고하는 두 자아를 등장시킨다. 직관적인 시스템 1은 경험이 제공하는 것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며, 우리가 내리는 수많은 선택과 판단을 은밀하게 조종한다. 이 책은 대부분 작동 방식과 그것과 시스템 2 사이의 상호 영향을 다루고 있다.  

 

 

옆의 사진의 여인을 보고 떠오르는 생각은 바로 저자가 말하는 빠르게 생각하기(fast thinking)의 사례이다. 여인을 보자마자 여자가 무언가에 화가 나 있다는 것을 공통적으로 느끼는 것은 그저 직관으로 인한 자연적인 사고이다.  저자는 빠르게 떠올리는 생각을 '빠른 생각'으로 달려드는 자동차를 피하는 동물적 감각의 순발력과 같은 직관이며, 이것과 비슷한 사례는  2+2의 정답, 프랑스의 수도를 떠올리는 것처럼 완전히 자동적인 개념과 기억의 정신활동을 말한다. 반면 전문가의 해결책이나 354 x 687의 정답처럼 머릿속에 즉시 떠오르지 않는 문제의 답을 심사숙고하여 노력하는 사고방식이 ‘느리게 생각하기’이다.   

 

 

위에 말한 두가지 생각을 바탕으로  이 책을 읽으려면 두가지에 익숙해져야 한다. 우선 자신을 두 자아로 분열하여 우리가 살면서 계속 선택하고, 할 소재를 결정하는 활동, 주체, 선택, 집중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을 생각하고, 또 생각해서 가진 자아, 즉 의식적이고 추론하는 자아( 기억 자아) 는 시스템 2 (slow thinking)와 같다. 반면에 감각없이 자동적으로 빠르게 작동하는 생각을 하는 자아(경험 자아) 를 시스템 1(fast thinking)이라 한다. 이 두 자아를 비교하며 우리의 우리의 행동을 결정짓는 것으로 시스템 1은 경험자아로 시스템 2는 기억자아이다.  이것을 토대로 다양한 실험과 은유로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우리의 모든 행동이 생각의 지배를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커너먼은 이 두 자아의 차이점은 우리의 '행복'을 측정하는 데 유용함을 말한다. 또한 한  몸에 있는 서로 다른 두 자아가 행복을 추구하는 방법은 개인뿐 아니라 대중의 행복을 정책 목표로 삼는 사회에게 심오한 질문을 제기하며, 인간의 소망을 무시하는 행복 이론은 지속될 수 없기에, 개인은 기억자아와 동질감을 가지고 경험자아를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며,  삶의 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데 기여하는 행동 경제학을 토대로 하고 있다.

 

 

하루에도 수십 번의 선택을 하고 행동을 한다. 그러나 그것은 내 안의 두 자아 , 경험자아든 기억자아든, 우리의 생각은 두 자아를 축으로 생각한다.  커너먼은 우리의 생각이 합리적인지 비합리적인지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행동의 이면에 존재하는 타당한 이유, 그럴만한 이유가 존재하는 가능성을 떠올리면 많은 문제점을 이해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비이성적인,비합리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분명히 그 사람들에게는 타당한 이유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런 인간의 심리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삶의 질적인 개선에 다가가는 것이 행동 경제학이다.  행동경제학의 대부라 불리우는  커너먼의 『생각에 관한 생각』은 마이클 샌델 『정의의 한계』에서 주장하는 공화주의와 일맥상통하는데  행동경제학이나 공공철학이나 공통적으로 ' 자기를 이해하고, 타자를 이해하고, 인간을 둘러싼 공공 세계를 이해하는'것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기본 심리를 이해하는 것은 결국은 나쁜 선택속에서 좌절하는 개인을 도와주어야 하는 것 또한  우리 사회가 함께 감당해야 할 몫임을 ,  자아에서 타자로 타자에서 공동사회임을 깨달아가는 과정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인간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더불어 사는 사회가 목표가 되어야 하는 이유를 깨우쳐주는 책이다. 그 이유만으로도 읽을 가치가 충분하다. '생각'에 대한 심리에 접근하여 결국은 행동경제학으로 귀결되는 천재 심리학자의 행복한 경제학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