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과 인간 - 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 왕실 문학동네 우리 시대의 명강의 2
정병설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선 시대 가장 불쌍한 죽음하면 사도세자가 떠오른다. 작년 이덕일의 <사도세자의 고백>을 읽고 나서 사도세자를 더 불쌍히 여겼던 것 같다. 사도세자의 죽음을 그렇게 절절하게 그린 역사소설을 처음 읽었기에 더욱 가슴 절절히 다가왔던 책이었다. 그러나 <권력과 인간>은 사도세자 죽음의 진실에 더 근접하게 쓰여 진 책이라 그런지 전혀 다른 사도세자의 모습이 그려진다. 역사를 보는 관점은 보는 사람에 따라 틀려지지만, 너무나 많은 차이가 나는 것에는 당혹감이 일지 않을 수 없다. 우선 <사도세자의 고백> 에서의 사도세자는 지극히 인간적인 모습이며 지극히 평범한 범인 凡人의 시각이었다는 사실이 기억이 난다. 그리고 철저하게 당쟁의 희생양으로 보여졌지만, <권력과 인간>에서는 사도세자를 범인凡人의 시각으로 보지 않는다. 왕조국가에서 권력의 최고점에 있는 임금의 아들이라는 것만으로도 그의 죽음은 평범하지 않은 것이다. 바로 권력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사도세자의 죽음에는 수많은 백성의 죽음이 연관되어 있으며 사도세자가 죽인 무고한 사람만 백 여명이 있었다. 이것이 어쩌면 그의 직접적인 죽음의 이유일 지도 모르겠다.

 

이 책은 사도세자 죽음의 배경과 전후 경과를 집중적으로 파악하고자 한 첫 연구서와 같다. <승정원일기>, <한중록>, <영조실록>,<현고기>등 사도세자가 언급된 사료들을 바탕으로 하여 시대의 분위기를 읽기 쉽게 하며 궁중 생활의 이해를 돕는다. 저자가 말하는 대로 따라가다 보면 어느 새 그 시대의 그림이 그려질 정도로 이야기에 빨려든다. 사도세자가 태어날 때부터 성장하고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영조, 정조, 혜경궁 홍씨까지 근 일세기의 역사가 이 책 안에 다 있다.

 

사도세자의 직접적인 이유는 아버지 영조이다. 영조의 성격과 사도세자의 성격만 봐도 둘은 정말 맞지 않는다. 영조는 좋은 일과 나쁜 일, 사랑하는 사람과 미워하는 사람을 병적일 정도로 나누어 보았다고 한다. 모든 것을 철저하게 이분법적 논리로 생각하는 것 자체가 병이라고 한다. 심리학 논문에서 편집증을 가진 사람이 자기를 인식하는 방법이 이런 이분법적 사고라고 한다. 영조는 평생을 출신 콤플렉스에 시달렸는데 신혼 첫날밤에 말 한마디 잘못했다가 평생을 소박맞은 채 외롭고 쓸쓸하게 산 정성왕후의 일화만 봐도 영조가 얼마나 편집증이 강한지 잘 알 수 있다. 그런 영조의 성격에 사도세자는 골칫거리중의 골칫거리였을 것이다. 공부하기 싫어하고 먹는 것을 좋아해 굉장히 뚱뚱했던 사도세자는 예술가의 기질이 뛰어났다고 한다. 문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던 아비의 눈에 비친 아들은 놀기만 좋아하는 한심한 아이였던 것이다. 영조가 사도세자에게 본격적으로 실망하기 시작한 것은 열 살 전후라고 하는데 기존역사서는 사도세자가 미쳤다는 <한중록>의 기록을 의심하고 부정하는 분위기였으나, 저자는 <승정원일기>,나 <영조실록>과 같은 일차적인 사료를 제대로 읽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도세자의 광증에 관한 자료는 정조에 의해 대부분이 삭제되었기 때문이기도 한데, 대부분의 사료를 살펴보면 사도세자의 광증을 찾아볼 수 있다.

 

여러 기록에서 사도세자의 광증을 증거하고 있지만 병증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진행 경과를 상세히 기록한 것은 <한중록>밖에 없다. 이것에 대해 저자는 혜경궁의 저술 동기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저술 동기는 사도 세자가 광증에 의해서 영조를 죽이려고 했으니 그것이 온전한 정신에서 행한 것이 아니었기에 문제 삼을 수 없다는 , 누가 억지로 죽인 것이 아니라 죽을 만해서 죽었다는 것이 혜경궁 논리의 핵심이다. <한중록>에서는 사도세자의 광증의 증상을 비교적 세세하게 다루었는데 옷을 입다가 맞지 않다 싶으면 벗어 던지고,입었다 벗었다를 반복하다가 혹시 귀신이 씌었나 해서 태우기도 하는 '의대증'을 심하게 앓았는데 옷을 입다가 마음에 안 들면 사람을 죽이곤 하는 심한 가학증으로 표출되었다. <현고기>에서는 사도세자의 살인에 대한 잔혹감과 살상규모가 짐작할 수조차 없다고 한다. 무섭기 만한 아버지, 계속되는 병에 자살시도도 여러차례 였다고 전한다. 일반불안장애, 강박장애,충동조절장애 등으로 신음하던 세자는 1760년부터는 헛것을 보기 시작했는데 나중에는 아버지를 직접대고 욕을 하고 다니기 시작했다. 임금을 욕하는 것만으로도 대역 죄인이 되는 왕조국가에서 아버지 욕을 하는 것도 모자라 사도세자는 급기야 아버지를 죽이기 위해 칼을 차고 다녔으니 , 스스로 명을 자처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 게다가 이 때 자신이 총해하던 애첩 빙애도 죽이고 아들 은전군도 칼로 친다. 이 시기에 삼정승이 죽는 초유의 사건이 벌어지는데 기록이 삭제되어 사인을 밝힐 순 없지만 , 세자로 인해 죽었음을 비유적으로 전한 이야기가 <대천록>에 있다고 한다.

 

 

사도세자의 죽음을 보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세자가 미쳐서 그리되었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당쟁에 희생되었다는 것이다. 대부분이 아마도 당쟁에 희생되었다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가 사도세자의 기록에 대부분이 삭제되었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사도세자가 광증을 앓고 있어 죽였다고 하면 광증을 가지고 있는 아버지의 아들인 정조 역시 권력의 구도에서 보면 위태로운 자리가 되기 때문이다. 영조가 죽기 전 정조는 상소를 올려 사도세자의 비행과 반역의 혐의에 관한 기사를 모두 삭제케 했다. 그 이유는 단순히 사도세자가 반역죄를 범한 죄인이 되면 정조는 죄인의 아들이 되어 임금으로 신하들 앞에 권력을 가지기 힘들었으리라 짐작할 뿐이다.

 

역사를 말할 때 권력이 어디에 있는가는 무척 중요한 문제인 것 같다. 권력은 마치 마약같아서 권력을 한 번 빠지면 헤어 나오지 못한다. 사도세자의 죽음은 이 권력이라는 힘의 작용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인간에게 권력이란 달콤한 독이다. 권력에 맛을 들이면 헤어나기 힘든 이유가 너무도 달콤하기 때문이다. 권력의 달콤함은 아들도 죽이고 아내도 죽일 수 있는 독을 낳는다. 당쟁도 권력을 지키기 위함이고, 자식을 죽음으로 몰아간 것도 따지고 보면 자신의 권력을 지키기 위함이다. 정조가 친구 홍국영을 죽여야 했던 것도 권력을 지키기 위함이었으니 권력자에게는 친구도 집안도 부모도 자식도 없다. 조지 오웰은 <1984>에서 '과거는 바뀌었을 뿐만 아니라, 계속 바뀌어 갔다,'라고 썼다.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를 위해 ,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 또 자기 자신과 조선 왕실의 정통성과 정당성을 위해 , 사도세자의 이미지를 조금씩 바꾸어나간 것이다. 왕조국가를 이해하기 위해서 권력을 이해하지 않고는 역사를 바로 이해하기 힘든 사실이 여기에 있다. 역사를 깊이 있게 바라볼 수 있게 해주며 사건의 본질에 다가간 <권력과 인간>은 굉장한 가치를 지닌다. 역사 팩션 소설을 읽으면서 늘 느끼던 당혹감과는 다르게 신중하고 사려 깊게 해석한 사도세자의 죽음에 관한 진실은 다름아닌 인간의 욕망이 잠재되어 있는 권력욕이었다. 조선의 르네상스라 칭했던 화려한 문화의 전성기 시대였던 영정조 시대를 이해하려면 사도세자의 죽음을 이해해야 한다. 책을 다 읽고 기존의 풀리지 않았던 의문들이 해소되는 기분이 들었다.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읽었던 역사팩션소설<사도세자의 고백>과는 다르게 이성적이면서도 공정한 시각의 사도세자의 모습은 첫 페이지부터 몰입되어, 밤을 꼬박 새워 읽어야 했다. 마치 역사의 진실 속으로 타임머신 된 기분이었다. <권력과 인간>은 그만큼 생생하고도 살아있는 역사를 밝힌다. 역사의 진실fact에 가장 근접한 역사서라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기존 팩션faction에 익숙한 독자들에게 역사를 바로 보는 안목을 길러줄 진정한 역사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