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드 1 - 가난한 성자들 조드 1
김형수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잿빛의 푸른 늑대족이 사는 나라 !

거룩한 황금 뼈대가 탄생한 이야기는 알랑고아를 사랑한 달빛 사람이 시조가 된다.

 

어느 나라에나 시조가 있듯이 우리나라의 시조가 곰과 호랑이라는 토템을 바탕으로 하는 것처럼 몽골의 시조는 알랑고아라는 여인이 씨를 알 수 없는 잿빛 아이 셋을 낳으면서 시작된다. 알랑고아에게 밤마다 찾아 온 것은 다름 아닌 달빛의 사람이었으니, 몽골의 사람들은 자신의 조상이 알랑고아를 사랑한 달빛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

 

 

 

예수게이 족장이 죽자 부족은 뿔뿔히 흩어지고 부족의 제 2인자였던 키릴툭에게 내쫓긴 테무진의 가족들은 광야에 내동댕이치게 된다. 어떻게든 살아남기 위해 자연과 싸우는 것도 힘든데 테무진을 더욱 괴롭힌 것은 배다른 형제 벡테르를 화살로 쏘아 죽인 일이다. 벡테르를 죽인 이후 생모에게 죄책감의 나날을 보내야 했으며 ,키릴툭의 집요한 추격으로 숲에서 아흐레를 숨어있어야 했으며, 결국엔 잡혀서 목에 나무칼이 채워진 채 부족민들에게 조리돌림을 당하는 일까지 겪으면서도 테무진을 버티게 하는 것은 아버지가 꿈꾸던 더 나은 세상을 향한 갈망때문이다. 매해 불어닥치는 "조드"로 인해 광야의 생활은 척박하기만 한데....

 

고난과 역경의 세월 속에서 우연히 만나게 된 보오르추는 테무진의 세상을 이루어 줄 동반자가 되어주는데 , 보오르추는 말을 잘 다루는 , 메넨 초원에서 유명한 나코 어른의 아들이다. 나코 어른은 민심의 꼭지점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말타기, 씨름, 노래 , 의술 , 못하는 게 없지만 그 중에서도 말 다루는 일에 대해서는 따를 자가 없었다. 유목민에게 말은 가축이란 존재보다 더 한 가족의 개념이다. 한 사람의 생애가 말에 오르면서 시작되고 말에서 내릴 수 없을 때 끝이 난다. 그리고 말에게 지혜를 얻는다. 그런 나코 어른의 기질을 그대로 빼다 박은 아들이 바로 보오루츠이다. 보오르추의 말을 다루는 재주는 천명의 사람을 얻은 것보다 더 값진 것이었으니, 테무진과 보오르추는 첫 만남에서 자신의 핏줄인 흰 뼈들이 오히려 가혹하게 자신을 버렸건만 처음 만난 보오르추에게 피보다 더 진한 형제애를 느낀다. 게다가 보오르추는 광야에서 테무진이 잊고 있던 아버지의 뜻을 상기시켜주고 , 둘의 만남은 우정에서 시작되어 큰 뜻을 이루는 남자들의 의기투합으로 뜻을 펼치게 된다. 보오르추에 의해 잊었던 아버지의 길을 떠올리게 되고 아주 오래 전 부족과의 약혼을 기억해 낸 테무진은 칠년 만에 약혼녀 보르테를 찾아가는데, 다행이도 보르테는 결혼하지 않은 채 아직도 테무진을 기다리고 있었다. 이에 보르테를 데리고 오지만, 아주 오래 전 어머니 후엘른을 과거 아버지 예수게이가 납치하여 간 것에 복수를 하기 위해 칠게르가 쳐들어온다. 테무진과 다른 가족들은 모두 도망가지만, 그만 보르테는 남겨지는데 , 칠게르가 보르테의 아름다움에 반해 그만 아내로 취해버린다. 보르테를 다시 되찾기 위해 테무진은 자무카에게 동맹을 신청하고 테무진과 자무카, 토오릴칸은 메르키드를 치기 위한 전투를 시작한다.

 

조드는 유라시아 대륙과 같은 건조지대에서 일어나는 재앙이다. 피해의 양상은 네 가지로 드러나는 데 하나는 눈이 너무 많이 쌓여서 가축이 초지를 찾을 수 없게 되는 것, 이것이 하얀 조드이다. 둘, 여름이나 가을부터 초지가 말라서 겨울 뿌리까지 고갈되는 재난, 이것을 검은 조드라 한다. 셋, 극심한 눈보라가 몇날 며칠이고 계속되거나 콧구명을 막는 흙바람 때문에 가축이 한 발작도 나다닐 수 없게 되는 재앙이 눈보라 조드이다. 넷, 일찍 내린 눈이 따뜻해지는 바람에 철철 녹아서 흐르다가 갑자기 들이닥친 강추위에 아주 두꺼운 얼음이 되는 것, 그래서 눈에 번히 보이는 풀뿌리에 입도 대지 못한 채 굶어 죽는 것이 거울 조드이다.-p116

 

이 책을 읽고 꿈을 꾸었다. 거친 광야를 말을 타고 달리는 꿈이었던 것 같은데, 홀연히 세상과 마주하고 한 남자의 모습이었다. 대자연과 비교하여 한 낱 작은 존재에 불과한 인간이 현대에와서는 자연을 지배하는 모습으로 보여지지만 그것은 착각에 불과함을, 오히려 반대로 거대한 자연이 인간을 품어주고 있다는 것을 깨우쳐주는 소설이다. 소설에 비춰진 유목민의 삶은 자연의 순리 그 자체이다. 누구든 자연을 거스리는 자는 살아갈 수 없으며 자연을 지배할 수 없다는 것은 "조드"라는 재앙을 통해 증명된다. 불의 머리를 자르지 않으며 말에게 지혜를 배우지 않는다면 거친 광야에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 '남자와 여자가 만나면 인간이 되고, 사람과 말이 만나면 유목민이 된다.' 에서 볼 수 있듯이 유목민이란 자연과 동화되지 않고서는 살아갈 수 없는 존재이다. 초원의 법도는 그래서 신성하다. 유목민들은 몸에 지닐 수 없는 것은 소유하려 하지 않는다. 땅이나 하늘, 바람을 소유하려는 자는 세상을 훔치는 자이니, 마땅히 벌을 받는다는 초원의 법도를 통해 유목민의 세계에서 자연의 위대함을 본다. 한 생명이 끝나면 다른 생명이 시작되고, 한 이야기가 끝나면 다른 이야기가 시작되듯이 생명이 끝나버린 잿더미에서 새로운 사랑이 시작되는 것처럼 ,인간은 너무 작고 자연은 유구하다. 1권에서는 피상적으로 몽골 탄생의 신화로 시작하여 유년의 칭기스칸을 그려 놓은 것이지만 , 작가의 본심은 아마도 척박한 유목민의 삶이 단순히 힘들고 괴로운 생명의 지탱으로서가 아니라 자연의 순수와 아름다움을 알고 더불어 자연의 강력함에 무기력해지는 것 자체에도 묵묵히 순응한다는 것을 피력하려 한 듯 하다.

1권의 끝은 첫 전투에서 승리를 한 테무진이 "싸움이란 죽기 위해서가 아니라 살기 위해서 하는 것 !" 이라는 정복자로서의 자신만의 기준을 갖추게 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치밀한 구성, 짜임새 있는 줄거리, 저마다의 개성을 갖춘 매력적인 등장인물, 마치 한편의 영화가 머리 속에서 흘러가는 듯한 느낌을 떨쳐버릴 수 없다. 특히 늑대와의 전투 장면은 늑대들의 울부짖음이 바로 귓가에서 울리는 느낌을 받을만큼 강렬했고 1권에서의 하이라이트 장면이 아니었나 싶다. 2권에서의 테무진은 어떠한 모습으로 비춰질 것인가? 어설픈 예측으로 아마도 칸으로서의 초기 과정이 스펙터클하게 그려지지 않을까 싶어 내심 큰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