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혁명 - 리딩멘토 이지성과 인문학자 황광우의 생각경영 프로젝트
이지성.황광우 지음 / 생각정원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조금 전 최재천 교수의 인터뷰 기사를 보고 왔는데 교수님은 독서를 취미로 가지는 사람치고 제대로 된 독서를 하는 사람을 못봤다면서 취미독서는 문제가 많다고 한다. 문득 취미란에 늘 독서를 써 놓곤 했는데 순간 뜨끔한 마음이 들었다. 그럼 최재천 교수가 말하고자 하는 독서방법은 무엇일까? 바로 독서는 취미와 같은 심심풀이의 독서가 아닌, 일상이자 생활이어야 한다는 것을 말함이다. 책은 무조건, 당연히 읽어야하는 것이므로... 여기서 이어진 생각이 바로 <<고전혁명>>과 연결되어진다. 인문학 예찬론자(?)로서 인문학을 사랑하고 인문학의 중요성을 늘 말하는 이지성과 고전이 삶의 8할이라는 황광우의 만남에서도 강조하는 것이 바로 인문독서의 중요성이다.

 

두 저자의 공통된 이야기는 현재의 삶 속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한다. 바야흐로 무한경쟁시대의 생존하는 방법, 살아남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저자들이 말하는 생존법은 휘둘리지 않고 이끄는 삶의 주체로서, 남에게 좌우되지 않고 "나"의 의지로 사는 삶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주체성을 갖춘 "나"를 만드는 방법은 고전인문독서를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말한다.바로 고전은 살아 있는 현실이자 미래이기 때문이다. 세계적인 물리학자 프리초프 카프라는 "인간에게 희망이 있다면 역사에서 배울 수 있다는 것"이라고 했지만, 위렌 버핏은 " 역사를 통해 배울 수 있는 사실이 아이러니하게도 역사에서 배우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저자들은 고전에는 두 가지 혁명이 있으며 , 두 혁명의 지향점은 사회를 바꾸고 시대를 바꾸는 것이 나를 둘러싼 외부, 관계에 대한 혁명이라며 자신을 바꾸는 것은 자아혁명으로, 사회를 바꾸는 것은 관계혁명이라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고 한다. 하여 1장은 자아혁명을 이루는 단계로서, 2장은 관계혁명의 단계를 설명한다. 이런 단계를 거치게 되는 고전의 힘은 글자 그대로 해석되지 않으며 시대에 맞게 새로운 정신을 재편 돼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주며 뿌리 깊은 나무로서 바람에 흔들리지 않게 자아를 갖추게 되며, 샘이 깊은 물로서 가뭄에 마르지 않는 사회적 관계로서의 인격형성을 완성시킨다.

 

먼저 자아혁명에서는 인간의 타고난 본능으로서 살고자 하는 본능,즉 생존본능으로서 이미 주어진 본능을 깨우쳐 퇴화되고 죽어가는 생존본능을 다시 살려야 한다고 말하는데 그 시작은 스스로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없으면 움츠러들고 흔들리는 것은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뿌리 깊은 나무가 바람에 흔들리지 않듯이, 샘이 깊은 물이 가뭄에 마르지 않는다고 하듯이 스스로의 가치를 찾아 맹자처럼 "자신을 버리고 사느니 자신을 잃지 않는 죽음을 택하겠다"라는 용기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따라서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형성되면 용기는 자연적으로 주어지게 되는 이치인 것같다.

 

"세상을 이해한다는 것은 단지 세상에 끌려다니는 것이 아니라 세상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를 통찰하는 일이다."

 

 

인문학의 시각은 나를 돌아보고 또 나를 주위 세계 속에 집어넣는 과정속에서 나를 변하게 한다. 그것은 내가 인격적으로 성숙되는 것 뿐만이 아니라 나와 세계를 관련짓고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지게 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이전에 나의 세계에 없던 이웃의 문제가 나의 문제이자 이웃의 문제, 우리 모두의 문제로 다가오는 것을 관계혁명을 거친 단계로 보면 될 것 같다. 이것은 세상의 '수많은 나'로 이루어져 있음을 깨닫고 난 후의 세상은 이전까지의 세상과는 다르며 더 많은 것이 보이고 더 많은 것이 들리게 될 것이라고 저자들은 말한다 . 그렇게 나와 상대, 나와 세상과의 관계를 깊고 넓어지게 하는 것이 바로 인문고전의 힘이다.

 

우리는 늘 좋은 삶을 꿈꾸고 좋은 인생을 꿈꾼다. 보다 나은 삶의 갈구는 오래전부터 내려온 인간의 기본욕구이다. 그런 세상을 꿈꾸면서 발 딛는 곳은 현실이라는 곳이다. 보이지 않는 곳은 보려고 기를 쓰면서 현실에는 무관심하게 살아가는 것처럼 우매한 것은 없다. 나밖에 모르는 사회, 공자가 말했듯이 이 이利를 쫓아 행동하면 원망을 많이 받으며, 사마천의 말대로 "이利를 쫓아 행하면 진실로 난亂의 시작이며, 모든 사회악의 근원이다"라고 했으며, 맹자도 "온 나라가 이를 추구하면 그 이 때문에 나라가 산산조각날 것이요, 온 집안이 이를 추구하면 그 이 때문에 부모와 자식이 서로를 내팽개칠 것이다."라고 했다. 자본주의의 한계에 들어선 지금 이 시대에 우리가 살아남아야 하는 생존 방법은 "나"를 깨우치고 "관계"를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고전을 읽어야 할 필요성을 느끼는 것이다. 과거 내가 부르조아였지만, 어느 날, 인문의 세계에 들어서면서부터 자연적으로 부르조아를 탈피하게 되었듯이 고전인문의 세계는 또 다른 세계를 선사해 준다고 믿는다. 고전이나 독서를 취미로 밖에 생각하지 않는다면 고전을 왜 강조하는지 그 이유조차 모를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가 알지 못하는 세계가 있으며 고전을 통해 세상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통찰할 수 있게 된다면 더 나은 세계, 우리가 갈구했던 좋은 인생, 좋은 삶이 기다리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대한민국 모든 국민이 고전을 읽는다면 그보다 더 좋을 수는 없겠지만, 두 저자의 목소리에 귀라도 기울여주는 이들이 많았으면 하는 바램으로 책을 덮었다. <<철학하라>>는 심오하고 다소 어려울 수 있지만 <<고전혁명>>은 훌륭한 자계계발서이자 고전안내서로 삼아도 무난할 정도로 쉽고 간결하여 고전을 어렵게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아주 좋은 지침서가 되어 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