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6인의 반란자들 - 노벨문학상 작가들과의 대화
사비 아옌 지음, 정창 옮김, 킴 만레사 사진 / 스테이지팩토리(테이스트팩토리)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작가, 너무도 매력적인 직업이 아닐 수 없다. 작가는 내게 또 하나의 창조자로 숭배의 대상이다. 오늘 유난히 바람이 불고 햇살이 따스하게
느껴진다. 잠시 멈춘채 바라본 유리창 너머의 세계, 그곳에서 나의 세계가 펼쳐진다. 책은 나에게 그리움을 달래주는 동시에 나에게 가보지 못한
곳을 느끼게 해 주는 제 2의 세계이다. 치열하게 시대의 아픔을 간직하고 있는 주인공들이자 생명을 가진 또다른 육체없는 영혼들이 살아있는 생명이
되어 내 안으로 들어와 나에게 친구이자 애인이 되어주는 그 위대한 상상속에서 소설가는 내게 창조자와 동의어로 인식되곤 했다. 더군다나 노벨문학상
수상자라니 !!!!!!!!! 개인의 영광뿐만아니라 한 국가의 영광이자 인류의 영광 아닌가 . 해마다 노벨상 수상자에게 전 세계가 이목을 집중하는
이유 또한 그런 이유가 아닐까 한다. 노벨문학상 수상작가들의 대화로 엮어진 <16인의 반란자>라는 이 책을 보았을 때 호기심이
느껴졌던 가장 큰 이유가 노벨문학상 수상자들의 뇌구조였다. 그리고 역시나 그들의 뇌구조는 인류사에 대한 경이로움으로 가득차 있었다.
누구에게나 글을 쓰는 목적이 있지만, 내가 처음 리뷰어를 시작한 이유는 단순히 책을 읽은 후의 기록이라는 목적이었다. 그래서 나의 리뷰에는
개인적인 내용을 배제한 책 이야기 중심으로 서평을 써왔다. 그러나 이런 단순함을 지나 이제는 글쓰기라는 분야에 나 스스로 진화해야 되지 않겠나
하는 치열한 고민을 하고 있던 와중, 이 책을 만나게 되어 더욱 뜻 깊게 다가온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들에게 몇가지 공통점을 발견하게 되는데
그들의 공통점은 다름아닌 휴머니즘이었다. 글을 쓴다는 것은 어쩌면 휴머니즘이 바탕이 되지 않고는 불가한 것인지도 모른다. 주제 사라마구는 책이
숲을 죽여서는 안된다며 지구의 숲을 지키기 위해 종이의 제작도 환경과 대기의 오염을 시키지 않는 재생지 사용을 권장하고 있고 오에 겐자부로는
장애인을 어루만져 주며 보듬어주는 세상을, 토니 모리슨은 인종차별주의와 남성우월주의속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찾을 수 있는 용기를 , 월레 소잉카는
나이지리아의 독립을 위해서 투쟁하는 인권주의자로서, 나치에 대항하여 평화와 싸워온 유대인 임레 케르테스까지 이들은 우리를 억압하는 모든 것들과
치열하게 글로써 투쟁하고 있었다.
"나한테는 다른 삶이 있어요. 그건 손에 든 책이오. 내가 읽는 이야기들이 지니고 있는 깊이는 나한테
평범한 것을 안고 가도록 허용해주었어요." -오르한 파묵
내가 절도범이나 창녀 같은 평범한 이들에 대해 관심이 많은 건, 그들이 역사책에 나오지 않기
때문이에요.마치 한번도 존재하지 않았던 사람들처럼 말이에요. 나는 그들에게 그들의 삶을 되돌려주고 싶었어요.-토니 모리슨-
그리고 또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 이들에게는 고통이 개인의 고통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주제 사라마구는 이 세상에 엄청난 고통이 존재한다는
것을, 무수한 고통을 겪으면서도 어디 하나 하소연할 데가 없는 이들이 상처받고 있다는 것을 [카인]을 통해 웅변해주며 지적 장애를 앓고 있는
아들을 보며 히로시마 원자폭탄 희생자들의 고통을 비로소 이해하게 되었다며 세상의 모든 만물들이 당하는 고통에 동참하길 원했다는 고백과 노예
제도로 인해 오랜 편견과 차별과 싸워야 했던 여성이자 흑인인 토니 모리슨 또한 억압을 받아왔다. 아프리카에 창궐하고 있는 에이즈와 가난과
불법 이주의 고통을 느끼고 있는 나딘 고디머, [양철북]으로 잘 알려진 귄터 그라스는 자신이 과거 나치 친위대에 있던 사실이 수치스러운
과거라 말하지만 그가 정작 괴로웠던 것은 나치 친위대에 있었다는 사실이 아니라 한다. 40년을 따라다니던 괴로움과 고통의 실체는
다름아닌 과거 총알받이가 되어 끌려가는 급우와 교사들을 위해 자신이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는 것이라며 " 그게 바로 내가 안고 있는
가장 큰 고통이자 내가 결코 떼어낼 수 없는 고통이오." 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라스와 반대로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살아남았던
케르테스는 " 독일은 끝났다."는 말을 통해 분노와 파괴의 탄식을 한다. 이들 모두는 그렇게 자신의 고통을 치열하게 신음하며 인류의 고통으로서
문학을 표출하는 것이다. 문학을 통해 세상은 평화와 사랑을 노래하고 인종차별을 이겨내고 이슬람 국가에서는 여성을 자율케 하고 독립을 위해
투쟁하며 정치권력에 맞서고 있는 것이다.

노벨문학상 수상자들의 뇌구조는 이렇게 인류의 문제와 고통으로 가득 차 있었다. 세상의 고통속으로 들어가 처절하게 고통을 신음하게 될 때 ,
문학이 탄생한다. 나는 가끔 생각한다. 나는 이기적이라고, 그것은 내가 인류의 문제에 대한 치열한 고민을 하지도 않을 뿐더러, 사회의 문제에
대해서도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인데, 이 책을 읽으면서 이들이 말하는 기도에 눈물을 흘리지 않을 수 없었다. 나는 한 번이라도 인류사에
고통을 느껴보았는가? 하는 것이었다. 스테판 에셀은 [분노하라]에서 현대사회는 분노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슬픔이라고 했다. 소설가들이 창조해
내는 주인공들을 허구의 인물로만 치부할 것이 아니라 소설속의 주인공들이 대변해주는 시대의 아픔과 고통을 한번이라도 느껴보지 못한다면 책을 읽고
쓰는 행위는 무의미한 것이 아닐까 한다. 이렇게 내적으로 성숙되고 인류의 고통에 신음하는 노벨문학상 수상자들, 나는 이들을 숭배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아 ...이들 가난한 휴머니스트들의 기도에 동참하지 않으시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