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로 먹고살기 - 경제학자 우석훈의 한국 문화산업 대해부
우석훈 지음, 김태권 그림 / 반비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에게도 꿈이 있다. 하지만 내 꿈은 언제나 먹고 사는 문제로 인해 꿈으로 존재만 할 뿐이다. 그러나 그것이 어디 나만 그럴 것 인가 ! 가수가 꿈인 내 친구는 먹고 사는 문제에 부딪혀 편의점아르바이트를 하기도 했고 과학자가 꿈이었던 내 친구는 먹고 살기 힘들어 일반 회사에 취직하였다. 미술을 하던 내 친구는 그래도 저가 하고 싶었던 것은 다른 것일 테지만 그래도 미술학원을 차려 입에 풀칠을 하고는 산다. 뭐든 것이 이 먹고 사는 것 위에 있다. 삶도 사랑도 문화도 정치도 경제도 모두가 따지고 보면 먹고 살자는 것 아닌가.



문화로 먹고 살기 이 책은 문화로도 먹고 살수 있다는 경제학자의 말이다. 그럼 문화로 먹고 사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이 문화라는 것에는 우리가 보고 듣고 생활하는 모든 것이 다 들어가 있다. 아시아에 분 한류열풍을 예로 들면, 드라마, 영화, 음악의 열풍을 가져와 경제적으로나 국가 경쟁력이나 여러 가지 다방면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 책은 그런 한류라는 문화 안으로 들어가 영화, 드라마, 음악, 책이라는 문화의 내적인 부분을 살펴보는 것이다. 그럼 이 한류를 형성한 문화 속은 어떻게 되어있느냐를 두고 문제점과 개선책을 제안하고 있는 것이 이 책이다.



이제 우리나라에는 존재하지 않을 것 같은 굶어죽는 사람이 이 문화의 내면이다. 젊은 소설가가 배가 고파 죽고 생활고로 인하여 비관자살한 감독이 있으며 힘들다며 투신자살한 막내방송작가가 있는 현실이 곧 문화의 내면이란 사실이다. 그럼 개선책은 있는 것일까?



영화와 드라마의 제작환경에 대한 이야기들 중에서 다소 공감했던 부분은 스타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는 출연료에 대한 생각이다. 열악한 제작환경 탓으로 여배우가 촬영을 포기하고 미국으로 도피한 후 다시 복귀 한 일을 본 적이 있다. 편당 수 천 만원을 받는 여배우가 고작 몇 십 만원을 받는 제작진들을 무시한 처사라고 생각한다. 제작진들은 여배우의 처우에 관한 성명서까지 발표했고 이어 다른 배우들도 여배우의 태도의 문제점을 이야기했지만 kbs는 없던 일처럼 사건을 무마시켰다. 이것은 방송문화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수 십 명의 의견보다도 단 한사람의 스타가 더 중요한 것이다. 열악한 제작환경을 탓해야 하는 건 편당 수 천 만원의 스타가 아니라 배가 고픈 제작진이라는 것을 그 배우는 몰랐던 것이다. 그러나 한 사람에게만 편중되는 출현료처럼 우리나라는 모든 것이 편중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 불거져 있는 영화 ‘디워’감독의 파행 또한 우리나라의 방송문화가 속으로는 얼마나 곪아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예라고 본다.



그리고 책에 관한 이야기, 책을 보면 최근 출판업계의 동향과 함께 우리나라의 독서 실태를 새삼 떠올려보게 된다. 우리나라 사람들 정말 책 안 읽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한 권도 읽지 않은 사람이 성인기준으로 28퍼센트라는 통계이다. 우리 모두 부끄러워해야할 문제이다. 책을 읽는 것이 미덕이었던 시대가 있었는데....내가 살고 있는 곳도 서점이 두곳밖에 되질 않는다. 서점이 주로 먹고 사는 장르는 오로지 참고서이다. 책을 읽지 않는 미래, 결코 희망이 될 수 없다. 최근 한 조그마한 출판사가 부도를 맞았다. 책이라는 것은 이상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때문인지 왠지 모르게 가슴이 아팠다. 나는 책을 읽는 사람으로서 책은 사서 읽어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서평이라는 좋은 제도로 인하여 가끔 읽고 싶은 책을 무료로 제공받을 때도 있지만 될 수 있는 한 사서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무료로 제공받다 보면 마음이 받는 것에 익숙해져서 모든 책을 당연히 돈 없이 읽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기 때문이다. 나는 책을 사서 읽는 것도 문화로 먹고 사는 일에 일조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문화라는 것은 참 이상한 것이 한번 문화라는 것이 형성되면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오지만 문화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기도 하거니와 그 전에는 먹고 살기가 정말 힘들다는 것이다. 저자가 책에서도 강조하듯이 이십대들이 먹고 살 길이 없다는 현실은 실로 큰 문제이다. 기술적으로나 과학적으로나 문명이라는 것은 엄청난 발전을 이루었으나 대신 우리가 먹고 사는 생활문화는 점점 축소되어 가고 있다. 우리는 그 가운데에서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고 서 있는 상황인 것이다. IT업계에서는 제 4의 물결 “융합”이라는 키워드로 세계가 디지털시대에 접어들었음을 선언했다. 나도 최근 스마트폰으로 바꾸었지만 이런 모든 변화 속에서 우리가 먹고 사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디지털시대를 맞이하였지만 그것은 그만큼 일자리가 줄어들었다는 뜻도 된다. 영화, 드라마, 음악 모든 분야에서 젊은 일꾼들의 일자리가 보장되어야 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이다. 어쩌면 먼 미래에는 공부만 죽어라한 우리 아이들이 로봇의 명령에 따라 배달을 다니는 상황이 될지도 모른다.



저자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하여 구체적인 제안을 하고 있다. 문화로 먹고 살기는 과도기인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꼭 필요한 대안이라 생각된다. 정치인들이나 문화인들이 이 책을 꼭 읽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진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