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열린책들 세계문학 9
막심 고리키 지음, 최윤락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은 시대를 반영한다. 막심 고리끼의 <어머니>는 소련의 사회주의시대를 반영하고 있다. 볼셰비키의 혁명을 주도한 레닌과 막역한 사이였던 고리끼는 레닌의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 혁명이라는 소설을 창조를 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어머니>는 러시아 문학에서 노동 계급에 관한 진정한 의미에서의 최초의 소설이었고, 노동계급을 다룬 최초의 소설 이다. 20세기에 접어들면서 노동자는 역사의 전면에 나서게 된다. 그리고 그 노동자들의 지독히도 비참하고 암담한 현실속에서 인간으로서 가지는 기본적인 생존욕구를 혁명의 과정으로 표현함으로써 가장 평범하고 보통의 인물인 어머니 닐로브나를 통하여 혁명의 완성을 이루어 나가는 과정을 세밀한 심리묘사를 통하여 보여주고 있다.



혹독한 노동에 시달리며 술판과 도박 때로는 주먹질을 하는 것이 삶의 전부로 보여지는 공장촌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 이들은 만성적으로 자리잡은 이 삶의 모습을 버리지 못한 채 이유없는 잔인함과 혐오를 품고 살아간다. 그리고 그 공장촌 사람들 중의 하나인 열쇠공 미하일 블라소프에게 매일 맞고 사는 닐로브나, 아들 빠벨이 이 책의 주인공이다. 아버지가 죽자 아들 빠벨은 점점 말이 없는 아이로 변해간다. 그러던 중 아들의 부탁으로 아들의 친구들이 집에 오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사회주의운동을 하는 모임의 사람들이다. 어머니는 아들의 친구들을 불안하게 바라보지만 따뜻하게 대해준다. 무엇보다 아들의 친구들은 모두가 선한 느낌을 가지고 있었고 남편처럼 잔인함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인데 아들의 친구들에게 듣는 사회는 어머니의 내면에 잠자고 있던 이성을 일깨운다. 글씨를 쓸줄도 모르고 읽을 줄도 모르는 어머니에게 글을 가르쳐주고 진리를 위해 싸우는 아들을 위해 자신이 할 일이 있다는 깨달음은 어머니에게 새로운 세상을 꿈꾸게 한다. 마치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인하여 인류가 구원받았듯이 아들의 고난이 노동자들의 처참한 삶에서 구원해줄 거라는 믿음처럼 말이다...



너희들의 진리라는 걸 나도 이해해. 배부른 자들이 있는 한 민중은 아무것도 얻지 못할 것이라는 것, 진리도 없고 기쁨도 없고 도대체가 아무것도 있을 수 없다는 걸 말야.죽도록 매질 당한 젊은 열정 내 자신이 그렇듯 가엾을 수가 없어.가슴이 저미도록 ! 하지만 내 삶은 나아지기 시작했어. 차차로 내 자신을, 진짜 나의 모습을 보게 되었지. -p115



그렇게 어머니의 내면에서는 지독히도 비참하고 암담했던 자신의 삶에도 햇빛이 들어오고 있다는 희망으로 가득차오르고 메이데이 시위에 참여한 어머니를 제외하고 안드레이, 빠벨,페쟈는 시위에 가담한 죄로 감옥에 가게 된다. 이후 어머니는 아들이 동지라고 불리우는 사람들과 생활을 같이한다.



막심고리끼는 소설을 통하여 노동자들의 삶을 대변하여 정부와 권력과 교회에 관한 이야기들을 사회운동가인 리빈을 통하여 적나라하게 비판을 하고 당시 노동계급들이 가난에 허덕일 수 밖에 없음을, 노동자는 사는 게 아니라 헤어날 수 없는 가난의 질곡에서 썩어가고 있다는 말을 통하여 당시 노동자들에게 혁명이란 피할 수 없는 진리였음을 보여준다.



아들 빠벨은 당시 노동계급의 정신적 지주이자 시대를 구원할 수 있는 인물로 묘사되었는데 빠벨은 정의롭고 사리판단이 분명한 인물로 당시 사회에 꼭 필요한 영웅적인 인물로 묘사된다. 아마도 그것은 레닌을 빠벨이라는 인물로 형상화시킴으로서 고리끼는 혁명의 필요성을 각인시키려 했던 것 같다.



군중은 검은 새의 모양 바로 그것이었다. 양 날개를 한껏 벌리고 비상해서 하늘을 날 채비에 온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새였다. 빠벨이 그 새의 부리였음을.......p205



어머니 닐로브나를 통하여서는 지극히 평범하고 순박하며 어둡고 비참한 삶을 살아가지만 변화를 두려워하는 인물로 노동자들을 대표하는 캐릭터로 그려진다. 죽도록 얻어터지는 것만이 삶인줄 알았는데 자신도 진리라는 것을 꿈꾸고 이제야 사회를 이해하고 비교하는 법을 터득하게 되었다는 고백을 통하여 비록 노동자이라 하더라도 인간의 삶은 더 풍요롭게 살아갈 권리가 있다는 것으로 혁명의 완성을 이루는 것이다. <어머니>는 실제 사건 속에서 문학의 리얼리즘을 추구하는 동시에 고리끼의 사회의식을 엿볼수 있는 소설이다. 어머니를 읽다보면 마음속에 혁명의 불꽃이 일렁이는 기분이 드는데 그것은 비록 어머니가 사회주의사상을 가지고 있으나 우리가 살고 있는 민주주의에서도 똑같은 사회부조리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단지 노동자와 시민의 차이일 뿐이다. 우리시대 ! 어쩌면 혁명이 필요한 시대인지도 모르겠다.

<어머니>가 고전으로 읽혀진지 한세기가 지났다. 19세기에는 자본주의의 물결로 많은 지식인들이 몰락하였다. 그리고 이 몰락한 지식인들은 가난한 삶으로 내몰렸다. 이어 20세기에는 노동자가 사회전반에 퍼져나갔다. 19세기 러시아문학을 대표하는 도스트예프스키를 통하여 시대의 대표적인 인물상을 볼수 있듯이 20세기에는 고리끼를 통하여 러시아 전체에 퍼져있는 사회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고전은 시대와 함께 한다. 막심 고리끼의 문학혁명을 통하여 사회주의혁명에는 성공하였지만 한세기가 지난 21세기에는 사회주의를 포기하게 된다. 그것은 사회주의로도 벗어날수 없었던 지독히도 가난한 삶 때문이었다. <어머니>는 사회주의 혁명의 배경과 완성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작품으로서 한시대를 풍미했던 사상으로서 인간의 존엄성을 느끼게 해주는 소설이다.


어머니는 듣고 보았다. 다시 한 번 그녀의 앞에 펼쳐진 어둠 속에서 빠벨, 그리고 그와 함께 걸어가고 있는 모든 사람들의 길이 밝게 빛나는 줄무늬처럼 곧게 뻗어 있고 왠지 아른거리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