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아캄페시나 - 세계화에 맞서는 소농의 힘
아네트 아우렐리 데스마레이즈 지음, 엄은희 옮김 / 한티재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시사람들은 가끔 농촌에 사는 것을 낭만적인 꿈처럼 생각한다. 나도 처음에는 그런 낭만을 꿈꾸며 낙향하였는데 결코 낭만이 될 수 없는 현실을 깨닫게 되었다. 물론 농촌이 주는 아름다운 면도 있지만 시골에서 사는 사람들이 대부분이 노인들인데다가 그들이 너무도 빈곤한 삶을 살고 있다는 현실은 무척 가슴 아프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모두 농사를 지으셔서 허리는 굽어있고 병은 기본적으로 한가지씩은 앓고 있는데다가 농기구를 구입하느라 기본적으로 빚이 깔려 있는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소농을 하는 농민들에게 너무 잔인한 나라가 아닌가 싶다. 그러나 이것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 세계 빈민의 4분의 3이 농촌에서 살고 있으며 생존을 위해 농업에 의존하고 있다면, 나라발전을 위해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관한 농촌의 요구와 생각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아이가 어렸을 때 주식으로 먹는 분유에 GMO성분이 검출되어 있다는 보도가 나와 아이의 분유를 모두 반납한 기억이 있다. 그 분유회사는 전국적으로 환불사태를 맞이하고 다수소비자들에게 사과문을 발표해야 했는데 지금은 분유에 버젓이 GMO성분함양이라는 표기가 있다. GMO는 유전자 변형식물에서 축출한 종으로서 생산량증가와 영농의 편이, 농약 사용량 감소 등의 목적으로 개발되었지만 GMO의 등장배경은 농업의 근대화라는 배경이 존재한다. 기업이윤이라는 이해관계 안에서 농민들의 작물은 들판에서 사라지고 식품제조업자들에 의해 재구성된 것이다. 소위 ‘과학적’ 지식들이 농민들의 현장 지시와 지역적 행위들을 대체하게 된 것이다. 결국 이런 농업 근대화의 결과는 농업인구의 급감과 농업의 기본생산인 농장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역할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았다.



<비아캄페시나>는 이런 농촌현실에서 탄생하게 된 우리나라 말로는 ‘농민의 길’이라는 뜻인 세계적인 조직이 탄생하게 되었다. 저자는 비아캄페시나를 통하여 농민이 가지고 있는 국제적인 위치와 농민운동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정치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집필한 책이다. 비아캄페시나는 한국에서는 생소한 단체이지만 지금 비아캄페시나는 전 세계적인 운동으로 뻗어나가 동참하고 있는 나라들도 많다. 비아캄페시나의 국제적인 노력은 농업과 먹을거리 관련 농쟁에서 중요한 전환점들을 끌어냈고 비아캄페시나라는 존재자체가 농촌에서 새로운 집단행동의 구조가 등장하고 있다는 증거가 되기도 한다.



여름내내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도 비가 계속 내렸다. 길고 긴 장마로 인하여 과일의 값은 치솟았고 채소들의 가격과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이제 곧 김장을 담그는 계절이 오는데 배추 값이 벌써부터 걱정이다. 해마다 먹을거리로 파동은 끊이지 않았던 것 같은데도 근본 해결책은 없이 늘 걱정만하며 산다. 2007~2008년 사이 지구적인 식량위기로 수많은 나라에서 식량폭동이 발생했고 간간히 농민의 생활고로 인한 자살소식이 들려오지만 우리는 남의 일처럼 수수방관하며 사는 것도 오늘 하루를 사는 우리들의 모습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인도에서는 ‘농약 먹고 자살하기’가 유행처럼 번져가 그 비극을 죽음의 추수라 불렀다고 한다. 농민들을 그처럼 비참하게 만든 정책을 되돌리기 위한 극단의 방법이 필요한때이다. 비아캄페시나의 목표는 농촌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즉, 생계를 개선하고, 지역소비를 위한 지역 먹을거리 생산을 증진하며, 민주적 공간을 열어주는 변화이다. 또한 땅의 사람들에게 땅의 주인으로서의 역할과 지위, 이익을 돌려주는 것을 목표로한다. 농민들은 이 땅의 주인임에도 자본 축적에 위한 핵심 매커니즘으로 활용되어 나라와 기업에 탈취 당해왔다. 농민이 잘 살아야 나라가 존재할 수 있다. 원래의 주인에게 땅을 돌려주는 일 그것이 진정한 <비아캄페시나>라 할 것이다.



“소작농은 농촌에서 나옵니다. 이들은 항상 있어왔습니다. 투자자, 자본가, 정당 같은 것들이 그 전에는 없었던 것들이지요. 소작농은 항상 존재했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입니다. 소작농은 절대 없어지지 않을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