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 2 - 새 번역 완역 결정판 열하일기 2
박지원 지음, 김혈조 옮김 / 돌베개 / 2009년 9월
구판절판


1권은 열하까지의 여정을 그리고 있으나 2권은 열하에서 황제와 대면하게 된다. 연암이 사절단을 따라온 목적은 북경에서 중국의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많은 것을 배우고자 함이 목적이었으나 황제의 열하행차로 인하여 황제로부터 호출을 받게 되고 박지원은 홀로 열하땅을밟게 된다. 조선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열하땅을 밟는 것이다. 1권보다 더 방대한 연암의 지식을 엿볼수 있는데 연암 박지원의 박학다식함에 중국인들도 연암의 학문에 놀라워하지만 책을 읽는 나역시 참으로 놀라웠다. 특히 지전설을 이야기하는 대목에서는 서양인들보다 더 앞선 시각이라 무척 대단하게 여겨지기도 했다. 연암은 친구 홍대용의 학설이라 밝히지만 연암이 가지고 있던 천문학적인 시각과 자연과 사물을 바라보는 시각은 시대를 앞서가는 눈을 가지고 있음이 분명해 보인다.



열하에 도착하여 배정된 숙소 태학관에 머물면서 청나라 고관과 과시 준비생 및 학자들과 만나서 주고받은 이야기를 실은 <태학유관록>으로 시작되는데 천체,음률,라마교등의 이야기들은 조선인인 연암에게는 생소할 터인데도 전혀 밀리지 않으며 오히려 중국의 학자들이 연암에게 감탄하는 대목에서는 독자인 나도 왠지 뿌듯해 지는 기분이었다. 태학유관록에 실린 이야기들은 뒤에 나오는 <곡정필담><망양록><황교문답><반선시말><찰십륜포>에서 본격적으로 내용이 세분화되어 다루어진다.



조선인으로 처음으로 열하에 도착한 감회로 밤에 잠못이루고 서성이다가 술집에 들어가 오랑캐를 만나 두려움에 오랑캐에게 괜한 호기를 보이는 장면은 연암의 성격을 잘 보여주는 장면이다. 또한 중국이 말을 다루는 모습을 관찰하여 말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말해주는데 자신이 연암협에서 살게 된 까닭이 일찍부터 목축에 뜻이 있기 때문이라며 조선에서 목축업이 발달하지 못하는 이유를 아주 세세하게 설명하고 있다.그 이유는 간단하게 말을 다루는 방법이 틀렸고, 말을 먹이는 방법이 옳지 못하고, 좋은 종자를 받을 줄 모르고, 목축을 맡은 관원이 무식하기 때문이다.



<환연도중록>은 황제의 만수절 행사를 마친 뒤, 열하에서 다시 북경으로 돌아기기까지 길에서 경험한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만리장성의 역사와 그 제도에 대한 상세한 묘사와 함께 수천, 수백마리의 낙타를 보며 낙타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황교문답>에서는 황교에 관한 이야기인데 황교를 쓴 이유에 대해서 서문에 연암이 밝혀놓았다. 그것은 바로 천하의 형세를 살피는 것이 목적인데 황제가 티벳의 반서를 스승이라 삼은 이유를 정치적인 이유라 설명하고 있다. 티벳의 강성함을 견제하는 방법으로 황교를 우대해주는 것이다. 또한 중국인, 특히 한족 지식인들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모색과 만주족들을 바라보며 천하의 대세를 읽고자 함이니 연암의 학문의 깊이는 지식을 넘어 천하를 대비하고 있었으니 그 깊이가 과히 알 수 없음이다. (후에 중존 이재성의 논평에서는 반선에 대한 이야기를 연암보다 더 자세하게 쓸 수 있는 사람이 없음을 한탄하고 있다. 왜냐 반선에 관한 기록이 연암이 외국인이기 까닭에 반선기록의 존재는 엄청난 것이지만 사사로운 기록이 되기 때문이다.)

<심세편>에서는 천하의 형세를 살펴본 글인데 특히 중국의 문화 정책과 관련한 사상 통제의 실제를 예리하게 분석했다. 연암은 여기에서 천하정세를 살피는 자신의 방법을 피력하는데 조선 선비들의 우매함을 중국의 선비들과 비교분석하여 설명하고 있다. 겸손한 마음으로 배움을 청하여 마음 놓고 이야기를 터놓도록 유도하고, 겉으로는 잘 모르는 것처럼 가장해서 그들의 마음을 답답하게 만든다면, 그들의 눈썹 한 번 움직이는 데서도 참과 거짓을 볼 수 있을 것이요, 웃고 이야기하는 동안에도 실정을 능히 탐지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내가 종이와 먹을 떠나서 그들의 정보와 소식을 대략이나마 얻을 수 있었던 방법이다.

<망양록>다른 것에 정신이 팔려 차려 놓은 양고기 요리를 먹는 것조차 잊었다는 뜻이다. 여기 정신을 팔게 만든 것은 다름 아닌 고금 음악 변천사이다. 음악의 악률과 그 원리에 관한 문제, 음악의 문화적 의의, 악기의 변천사, 음악 이론의 변천등을 중심으로 전문적 지식을 동원하여 담론한 글로 가장 어려운 장이다.



2권의 주된 내용은 중국의 지식층들과의 필담을 통하여 천하의 정세를 살피는 한편 조선에서는 청이 중국을 지배한지 백년이 흐르고 있음에도 아직도 친명배청이라는 사상을 버리지 못한채 청을 미개하게 만 보는 조선의 지식층을 바라보며 한탄하는 내용이 지배적이다. 명나라의 지식층들이 자신들이 멸시하던 만주족의 지배를 받으며 고뇌하는 모습을 통하여 조선선비들이 조금이라도 무식과 무지함을 벗어나길 바라는 연암의 소망 또한 느낄 수 있다. 모든 것이 무지함에서 비롯됨을 개탄하는 장면들이 많이 나오는데 아마도 연암은 조선에서 실학파들이 가지고 있던 고민들이 무척이나 사무친 듯 보였다. 슬프다 ! 하는 말이 자주 등장하는 거 보니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