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페어
하타 타케히코 지음, 김경인 옮김 / 북스토리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추리소설은 가끔 가다 읽는데 요즘 들어 추리소설을 부쩍 읽는다. 여름이라 그런지 더욱 추리소설이 많이 나온다. 하루가 다르게 출판사에서 추리소설 신간들을 쏟아내고 있다. 이 말을 달리 표현한다면 추리소설이 출판사에 돈이 된다는 이야기이다. 이익이 되지 않으면 쫓지 않는 것이 어쩌면 인지상정인지도 모른다. 그럼  출판사의 베스트 셀러에 대한 신뢰감 또는 공정성은 얼마나 될까? 절대 백프로의 공정성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도 모두가 다 알고 있지만 모른 척 하는 것이 우리 사는 사회의 룰인지도 모른다. 그런 면에서 참 재미있는 추리소설을 만났다.<언페어>는 앞의 그런 현실을 따끔하게 충고하면서도 공정과 불공정한 것에 대한 생각을 이번  기회에 정리해 보게 되기도 한 소설이기도 하다.

 

추리소설안의 추리소설이 들어가 있는 구성으로 등장인물들 개개인의 시점으로 되어 있다. 등장인물의 시점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는 장점은 바로 개개인의 심리묘사로 인하여 독자에게 리얼리티를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리얼리티 ! 이 소설의 장점은 전정한  리얼리티라는 것이다.

 

그럼 이 소설은 왜 리얼리티를 외치는가? 하는 것에 있는데 그것은  추리소설이 가지고 있는 정해져있는 틀을 깨버리고 싶은 저자의 바램이 아닐까 한다. 우선은 어떤 추리소설이던지 사건은 해결된다는 것과 범인은 반드시 밝혀진다는 것, 독자들은 보수적이라 공정한 것을 원한다는 것이다. 독자들이 요구하는 것은 항상 예정조화적 '대반전'을 말하면서 동시에 '리얼리티'를 원한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이 추리소설의 주인공 즉 범인은 독자들에게 진정한 리얼리티를 선사하기로 한 것이다. 복선도 없고 결말도 없고 범인이 밝혀지지도 않는 진정한 리얼리티를 위한 현실적으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한 글을 쓰기로 한 것이다. 범인은 그래서 소설을 쓰기로 한 것이다. 진정한 추리소설의 리얼리티를 위해, 독창성을 위해, 공정함을 위해 ... 소설을 쓰면서 동시에 살인을 한다.

 

서건을 추리하는 형사는 유키히라 여형사이다. 2년전 열일곱 살의 약물중독소년을 총으로 쏴 죽인 일로 딸에게 살인자로 불리워지는 유키히라. 그 사건으로 인해 이혼당하고 혼자 살면서 경찰청내  검거율 1위인 명성을 자랑하지만 뛰어난 미모와 달리 더럽게 생활하여 남자들에게 눈쌀을 찌푸리게  만들면서도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는 유키히라는 소설과 함께 일어난 살인사건을 조사하던 중 이와사키 출판사 편집장 세자키를 살인사건의 관계자로 만나게 된다.세상에 마음을 닫고 산지 오래인 유키히라는 세자키에게는 이상하게 마음이 움직인다.

 

이어 계속되는 살인과 함께 밝혀진 범인인 히라이는 2년전 실종된 상태이고 히라이와 같은 대학 동아리 후배가 살해당하고 범인은 또 한번의 예고를 한다.

 

불공정한 것은 누구인가? 를 말하는 이 소설은 추리소설이 너무 공정하다고 불평하지만 결국은 일반 추리소설의 공정한 모습을 보여준다. 사건은 해결되고 범인은 밝혀지고 , 결국 범인의 소설은 팔리지 않는다. 여기서 웃음이 나는 건 범인의 소설을 사지 않는 대신 2년전  문학상에 공모했던 살인범의 원고를 출판하려고 하는 장면이었다.  출판사의 모리카와 부장이 제안한 것을 보면 출판사에서 이익이 되면 설령 공정하지 않다해도 세상의 이슈가  될 수 있는 것이라면 불공정도 마다하지 않는다는 현실을 보여준다. 살인마의 데뷔작품이란 타이틀만 붙이면 엄청난 매출을 일으킬 거라며 ... 세자키는 그런 부장에게 적어도 출판사가 작품을 세상에 내보낼 때는 최소한의 수준은 지켜줘야 한다고 ... 이 한마디가 마치 작금의 출판문화에  일침을 가한 느낌이 들었다. 얼마전 한 여성의 자전적인 소설을 쓰레기라며 항의한 글들을 본 적이 있다. 물론 그런 책을 낸 출판사도 같이 욕을 먹었던 기억이 있는데 요즘 같이 떠오르는 이슈에 목말라 하며 트렌드면  무조건  따라가는 사람들에게 아주 좋은 충고를 던져주는 듯하다.. 세상이 공정하지 않지만 그래도 아직은 공정한 룰을 지키며 사는 세상이기도 하다. 범인의 끊임없는 물음 불공정한 것은 누구인가? 에 대해 어차피 세상에 진정한 공정은 없다고 본다. 단지 공정함을 가진 사람은 있다고 믿는다. 점점 공정과 불공정이 애매해지고 있는 시대에 한 번쯤은 생각해 봐야 할 우리의 사회의 공정성 ^^ 에 대한 생각을 던져주었던 소설이다.

 

불공정한 행위는 항상 '정의'의 이름으로 행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