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서지기 쉬운 삶 - 상처 주는 세상을 살아가는 법
토드 메이 지음, 변진경 옮김 / 돌베개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우리가 왜 고통 받는지 이해하려면
먼저 우리가 어떻게 사는지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상처에 취약체질이 있다. 사람들이 의미 없이 하는 행동과 말에 과민한 반응을 보이며 상처받고는 속앓이를 하며 힘든 시절을 보낸 기억은 아마 누구에게나 생의 관문처럼 경험한 바가 있을 것이다. 그런데 똑같은 상처를 갖고 있으면서도 어떤 사람은 회복탄력성이 좋아 일상으로 다시 돌아가는 방면에 어떤 사람은 그 상처가 마음의 암이 되어 자라게 방치하며 암울한 시간들을 보낸다.
상처를 금방 딛고 일어서는 힘이 절로 생긴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때 우리가 자주 쓰는 방법은 상처 받지 않은 척 하는 처연함을 가장하는 것이다. 이런 처연함은 고통을 주는 문제들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철학과 교수인 토드 메이는 세상의 관점을 이런 ‘상처 받지 않음’의 관점으로 바꾸면 고통에서 보다 자유로워 질 것이라 한다. 한동안 우울증을 앓았던 저자는 자신의 고통을 바탕으로 인간의 특이적 체질인 부서지기 쉬운 삶을 사유한다. 그는 고통 가운데 있을 때 상처 받지 않으려는 ‘상처 받지 않는 처연함’ 의 삶의 방식을 1장과 2장에서 다루는데 ‘부서지기 쉬운 삶’의 큰 그림은 우선 삶의 과제를 정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삶의 과제를 가지고 있지 않는다면 그 어떤 고통에서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삶의 과제를 가지고 있지 않는 사람은 호감이 가는 경력도, 친밀한 관계도 없으며, 의미 있는 어떤 일에도 참여하고 있지 않으며, 취미도 없으며 그런 사람은 자신의 삶에 어떤 특징도 없는 것으로 스스로의 삶에서 익명자라는 것을 인정하는 꼴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삶의 과제는 고통의 척도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디딤돌이다.
삶의 과제를 정하고 난다면 그 과제를 가치 있는 일과 가치 없는 일로 나누고 가치 있는 일에만 중점을 갖는다. 삶의 과제를 가지고 나아가다 보면 우리는 살아가는 동안 어쩔 수 없이 수많은 장애와 부딪힌다. 그 장애란 때론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인 것으로 찾아오기도 하고 도덕적 딜레마와 같은 내가 통제할 수 없는 것들로 다가와 고통에 빠뜨리는 것이다. 이때 고통을 이겨내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종교나 약, 철학, 또는 문학도 하나의 치유법이 된다. 그 가운데 토드 메어가 주목한 것은 불교의 사성제이다. 모든 번뇌의 중심에는 과거와 미래의 무게로 인한 것인데 현재라는 시간에 집중하게 된다면 상처를 받지 않는 초연함으로 고통을 이겨낼 수 있다는 의미이다.
“당신의 삶의 상황은 골칫거리로
가득 차 있을지도 모르지만
이 순간에 어떤 문제라도 있는지 찾아보라.
내일이나 10분 뒤가 아니라 지금이다.
지금 문제가 있는가?“
-에크하르트 톨레
우리는 흔히 고통을 이겨내는 방법으로 상처 받지 않는 처연함을 가장하곤 하는데 이것은 만들어진 위로일 뿐이다. 그렇기에 4장에는 고통을 이겨낼 수 있는 가장 근원적인 대안으로 ‘받아들임’을 말한다. 고통에 초연하기 보다는 상처에 취약한 것이 인간이라는 점을 인정하고 받아들이게 되면 나를 괴롭게 하는 문제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겪는 일상에서의 고통이란 것은 은 스스로 부과한 것이거나 불필요한 것들이 대다수이다. 게다가 때론 어쩔 수 없는 고통이 찾아와도 삶에서 (1장에서 내가 세운 삶의 과제가 아니라면 )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점을 받아들여야 한다. 상처에 초연함은 고통을 단기적으로 해결해주는 것 같지만 근원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으며, 받아들임은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일들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기도 하다. 우리는 세상을 통해 감동도 받지만 때론 세상에 의해 완전히 무너져 내리기도 한다. 또한 부서지기 쉬운 삶에 노출되어 있기에 고통이 극한에 이르면 두 번 다시 일어설 힘을 잃어버리기도 한다. 그러나, 이 고통을 ‘받아들임’을 통해 상처를 받지 않는, 보다 양질의 철학적 치유를 부서지기 쉬운 삶에서부터 배울 수 있다.
인간의 노력이 빚어낸 가장 최고의 것조차
비극을 기반으로 한다는 인식을 지닌 채
우리는 나아간다.
우리는 위태로운 존재이지만,
반드시 파멸할 운명인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