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들에게
여기 200여편의 시들은 아빠가 이십여년전(1987년 쓴 글)군에 복무하고 있을때 방과후와 일요일 마다 외출하지 않고 타이핑한 시들이다.
그 당시 내가 있던 사단 감찰부에서는 모든 서류를 타이프를 이용해 작성했는데 나는 부관학교 출신이 아니고 보병 출신이어서 타이프를 칠줄 몰라 무척 고생했었단다.
타이프를 칠 줄 모르면 그곳에 근무 할 수 없기 때문에 업무가 끝나는 시간과 외출이 허용되는 토요일 오후와 일요일에 고참들의 눈을 피해 평소에 좋아하던 시들, 안보고 찍을 실력이 없던때라 외우고 찍을 수 있던 시들을 타이핑했다. 고참들이 있으면 타이프 망가진다고 잔소리 할 것 같어 그들이 없는 일요일엔 식사시간외에는 하루 종일 타이프와 씨름을 했다. 비록 두 손가락으로 치기 시작 했으나 나중에는 천천히 하는 말을 모두 받어 칠 수 있게 되었다.(지금 표현으로는 그게 학다리 타법이겠지.)
이시들은 평소 아빠가 애송하던 시가 대부분이었고 또 신문에 발표했던 시들을 잘러 놓았던 시들이었다.
- 중 략 -
여기 이 시들은 시중에서 3,4천원이면 이보다 더 방대한 시집을 살 수도 있겠지만 아빠의 손 때 묻은 이 종이들, 이십여년을 이사하면서 버리지 않고 보관했던 이 종이들을 이제 양장본으로 만들어 너희 들에게 남겨 주려고 한다.
먼 훗날까지도 너희들은 아빠의 詩心(시심)과 같이 살 수 있을것이며 아빠의 사랑을 느낄것이며 또 자랑스럽게 생각할 것이라고 아빠는 생각한단다.
아름다운 마음이 언제까지나 너희들과 같이 하기를 바라면서 이 책을 만든다.
-------------------------------------------------------------------
이 글은 내가 만든 단 한권의 발행하지 않은 책이며 전문 타이핑해서 딸들이 중, 고등학교 다닐때 만들어 주면서 쓴 글이다. 이 책을 만들었을 때만도 이십년 가깝게 된다.
요사이 신문을 보면서 유감을 느끼는것은 그 시절에는 보통 신문이 4면 혹은 8면이었는데도 1주일에 한번 정도는 온전한 시들을 전재하였다.
이일동 문화부장이면 신문계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문화면을 깔끔하게 만드셨던거 같어 우리들은 그분이 신문사를 전직하면 따라서 신문도 바꿨을 정도였다.
지금은 그때에 비하면 신문 면수도 늘고 경제적으로도 비교 할 수없을정도로 괄목할 정도로 성장했는데도 신문에 소개되는 시는 적고 차지하는 면적도 훨씬 적다.
지금 도하 각 신문에 대선 자금 어쩌고 하는데 제일 많이 불법자금을 제공했다는 어느 그릅과 연관되있다는 J일보는 "오늘의 시?" 인가 하는 코너의 몇줄 소개하고 그래도 미안해서인지 (시 일부) 혹은 (시 전부) 따위의 글을 부기하고 더 한심스러운 일은 그 짧은 시 뒤에 시보다 더 긴 평을 시인이라는 사람들을 시켜서 쓰게 하는 짓이다.
그래서 스크랩 할 시도 없다. 나는 십수년을 보던 그 신문을 드디어 NO네들이 싫어 한다는 또다른 J일보로 옮겼다. 그래도 그 구석에는 가끔 시 전문을 실리는것 같었기 때문이다.
언제부터 이렇게 문화에 인색한 시대가 되 였는지 그래서 인심도 더 각박해 진것은 아닌지 한번쯤 되돌아 봐야 할것 같다.
그 시절 잊어버릴 수 없던 이야기 한토막
노천명(1913-1957) 시인이 어떤 신문에 <나에게 레몬을> 이라는 시를 발표했다.
언젠가는 이 시도 소개하겠지만 이 시를 발표하고 며칠지나서 이분이 돌아가셨다.
도하 신문들은 노천명씨의 절필 시를 소개했고 <시인과 문학>,이니 <노천명 시와 일생>이니 하고 지면을 가득 메웠고 우리 들은 또 스크랩하기 바빴다.
나는 그때에 시들, 신문에 발표되고, 혹은 시집으로 만들어졌던 잊혀졌던 시들을 소개하고 싶다.
우리 방문객 예진님의 말처럼 참 골동품가게 구색을 마추고 싶어서다. 그러나 시장터의 싸구려 골동품가게는 아니다.
누렇게 바랜 신문 스크랩이지만 그분들에게 송구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