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의 말하기 - 노무현 대통령에게 배우는 설득과 소통의 법칙
윤태영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6년 8월
평점 :
* 윤태영, 대통령의 말하기(노무현 대통령에게 배우는 설득과 소통의 법칙), 위즈덤하우스 2016
1. 영화 《무현, 두 도시 이야기》를 봤다. 찰스 디킨스의 소설《두 도시 이야기》이야기의 첫 단락으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하지 않을 수 없다.
‘최고의 시절이자 최악의 시절, 지혜의 시대이자 어리석음의 시대였다. 믿음의 세기이자 의심의 세기였으며, 빛의 계절이자 어둠의 계절이었다. 희망의 봄이면서 곧 절망의 겨울이었다. 우리 앞에는 무엇이든 있었지만 한편으로 아무것도 없었다. 우리는 모두 천국 쪽으로 가고자 했지만 우리는 다른 방향으로 걸어갔다.’
부산 지역구 국회의원, 부산시장 선거에서 연거푸 고배를 마시는 고 노무현 대통령과 2016년 여수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한 백무현 후보의 이야기. 부산과 여수, 백무현과 노무현, 1990년대와 2016년. 같은 듯 다르고 다른 듯 같은 두 도시와 인물과 사회적 배경. 그때를 살았고 지금도 사는 우리들의 모습을 담고 있는 다큐멘터리 영화였다.
그리고, 노무현 대통령 시절 연설기획비서관이자 제1 부속실장이었던 윤태영 씨가 쓴 ‘대통령의 말하기’를 읽었다. 같은 시절 청와대 참모였던 강원국 씨가 쓴 ‘대통령의 글쓰기’의 또 다른 버전처럼 느껴졌다. 요리사는 다르지만 요리의 주재료가 같기에 같은 맛과 같은 향이 나는 책이었다. 말하기든 글쓰기든 주제에 대한 깊은 사색 없이 양념만 많이 넣는다고 감동이 있는 요리가 탄생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또 한 번 되새겼다.
접히지 않는 우산의 그늘에서 검푸른 버섯이 자라고 있다
- 2001년 12월 ‘노무현이 만난 링컨 출판 기념회 연설 176쪽
“조선 건국 이래로 600년 동안 우리는 권력에 맞서서 권력을 한 번도 바꿔보지 못했습니다. 비록 그것이 정의라 할지라도, 비록 그것이 진리라 할지라도 권력이 싫어하는 말을 했던 사람은 또는 진리를 내세워서 권력에 저항했던 사람들은 전부 죽임을 당했습니다. 그 자손들까지 멸문지화를 당했습니다. 패가망신했습니다. (중략) 80년대 시위하다가 감옥 간 우리의 정의롭고 혈기 넘치는 우리 젊은 아이들에게 그 어머니들이 간곡히, 간곡히 타일렀던 그들의 가훈 역시 ‘야 이놈아, 계란으로 바위치기다. 그만둬라, 너는 뒤로 빠져라.’ 이 비겁한 교훈을 가르쳐야 했던 우리의 600년의 역사, 이 역사를 청산해야 합니다.”
‘독재자는 힘으로 통치하고 민주주의 지도자는 말로써 통치한다.’ 111쪽
- 비유가 사물을 비추는 조명이라면, 수사는 가치를 높이는 포장이다. 295쪽
- 하나의 연설문이 아니라 한 편의 시를 쓴다고 생각하면 좋겠다. 한 편의 시는 대체로 몇 개의 연으로 구성된다. 각 연의 시작이나 끝 부분에 핵심적인 문장을 동일하게 배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편에 걸쳐 일정한 운열과 리듬을 준다. 146쪽
- 토론에 이기는 것은 말재주로만 되는 것이 아니고 어떤 토론에서도 밀리지 않도록 처신할 수밖에 없거든요. 그리고 잘못한 것이 있으면 토론에 나가지 말아야지요. ‘잘못했다, 미안하게 됐다’ 하고 그 토론에 나갈 것도 없이 ‘내가 미안하다’ 하면 토론 안 할 수 있거든요 16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