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는 어둠 - 우울증에 대한 회고
윌리엄 스타이런 지음, 임옥희 옮김 / 문학동네 / 2002년 9월
평점 :
품절


우울증은 내가 경험하지 못한 것이다. 우울할 때야 있지만 그것이 일종의 치료가 필요한 '증상'에까지 이르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나 우울증인가봐'라든가, '죽고 싶어'라는 말을 진심으로 해본 적이 없다. 입밖에 내본 적도 없다. 그것은 내가 알기 때문이다. 그런 죽음에 이르는 우울이란 제어할 수 없는 것이다. 그냥 나도 모르게, 어쩔 수 없이 나는 우울할 것이고 죽음으로 갈 것이란 것을 안다. 그렇게 배웠다. 그러므로 함부로 우울을 들먹이지 않으며 죽고 싶다고 말하지 않을 뿐이다.

<미스터 존스>라는 영화가 생각난다. 조울증환자에 대한 영화. 그 영화를 보고 있자면 알 수 없는 슬픔이 밀려와 마음 뿐 아니라 몸까지 젖은 솜처럼 무거워진다. 당신, 도대체 왜 그러냐고는 말할 수 없는, 사람의 감정의 깊이가 나에게 닿아서 나는 뭐라 말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조울의 바깥에서조차 그렇게 아프고 슬픈 것이 마음의 병이다. 나, 우울해, 많이, 그런 말 잘 안 하던 누군가 그렇게 말하면 나는 일단 병원에 가라고 말한다. 매번 그런 말을 하는 이가 있다면 나는 그를 보지 않는다. 그것은 포즈이기 때문이다. 그것도 역겨운 포즈.

윌리엄 스타이런은 영화 <소피의 선택>의 원작자이기도 하고 퓰리처상 수상자이기도 하다. 그가 실제 겪은 우울에 대한 보고서가 바로 이 책이다. 읽으며 확인한다. 이런 어둠은, 이렇게 환히 보이는 어둠은 제발 내게로 오지 마라. 무엇을 위해서든 나는 우울을 바라지 않으며, 혹시 이러한 성향이 배부른 돼지로 곧바로 나를 밀어낸다 할지라도 나는 저 어둠을 외면하겠다. 차라리 돼지가 낫다.

-고통에는 사람들이 그걸 경험하면서도 경감에 대한 확신이 있기 때문에 인내할 수 있는 영역이 있다. 사람들은 날마다 다양한 고통과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배운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자비롭게도 그런 고통에서 풀려나는 것이다. 우리는 어린 시절부터 육체적인 본능이 초래하는 심각한 불편을 겪어오면서 제각기 그런 불편을 감수하고 고통의 요구를 수용하는 법을 배우고 고통에 조건화된다. 단호하게 받아들이든지 혹은 투덜거리든지 징징거리든지 간에 하여튼 우리는 고통을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도저히 어쩔 수 없는 극한의 고통을 제외한다면, 거의 언제나 어떤 형태로든 고통을 경감시켜 주는 것이 있다. 수면제나 진통제, 자기 최면이나 심경의 변화, 혹은 스스로를 치유하는 몸의 능력 등등. 스포츠, 용기와 인내, 낙관적인 태도가 될 수도 있다. 그러다가 우리는 마침내 자연스러운 보상으로서 궁극적인 고통의 유예기간을 맛보게 된다.

그러나 우울증에는 이와 같은 구원에 대한 신념, 혹은 궁극적인 회복에 대한 신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고통은 가혹하다. 이처럼 가혹한 상황을 더욱 못 견디게 만드는 것은, 손쉬운 치유책이 가까운 장래에 나타나지 않으리라는 사실을 스스로가 알고 있다는 점이다. 만약 그럭저럭 견딜만한 치료법이 있다 하더라도 일시적일 뿐이며 더욱 극심한 고통이 뒤따를 것이라는 사실을 우리(우울증환자들)는 알고 있다. 다름 아닌 이 절망감이 고통보다 더욱 인간의 영혼을 파괴시킨다. 

;왜 이 구절들을 선택하고 적어두었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저 미래에 대한 확신 부재가 얼마나 사람을 곤경에 빠뜨리는지만은 이해할 수 있다. 늙어갈수록 아마도 저 확신은 희미해질 것이다. 그 확신의 그림자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을 정도로 희미해지기 직전에 아마도 나는 죽어야할 것이다.

;아주 가끔 늙어 자살한 자들을 생각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대개 생활고와 외로움이 원인이라고, 말미에 가서 으레 이 사회의 병폐를 드러내는 증거로 보도된다. (다른 나라의 경우는 어떤지 모르겠다.) 자식들 부끄러워 할까봐 죽지도 못한다,는 말을 하기야 들어본 적이 있다. 그러나 그뿐일까? 노인 자살에 혹시 저 '미래에 대한 확신 부재'라는 원인도 들어가 있지 않을까?

그다지 늙은 처지는 아니지만, 한 시간만 걸어도 다리가 아프고 잠깐의 외출로 하루가 다 간 것 같고, 얼굴은 자꾸 미워지고... 그래서 알겠다. 한 개인의 삶의 조건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각박해질 것이다. 항시 도와줄 사람이 필요하고, 약이 없으면 몸이 아파서 못견디겠고, 소일거리들조차 모두 심드렁해졌을 때, 더는 이보다 나은 미래가 보이지 않을 때는 어째야 하겠는가. 아주 가끔 나는 늙어 자살한 사람들 생각을 하고야 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