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조건 - 하버드대학교. 인간성장보고서, 그들은 어떻게 오래도록 행복했을까?
조지 E. 베일런트 지음, 이덕남 옮김, 이시형 감수 / 프런티어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일 대상을 50여년간 따라가며 그의 생애를 탐구하는
성인발달의 독보적인 전향적 연구서이다.
그동안 발달심리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아이를 낳고 키우려면 인간의 발달심리에 대한 학문적 베이스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해왔다.
내가 애독하는 발달심리학 책은 아래 중앙적성출판부에서 나온 것이다.  

발달의 이론 - 인간발달복지연구소씨리즈 3 

대학 다닐 때 이 책이 부교재였고, 그때는 학교도서관에서 빌려 읽었다.
아이를 낳을 때가 되어서 이 책의 필요성이 느껴졌고 내가 번 돈으로 사다가 다시 읽었다.
요즘 나오는 이 분야 책들이 많이 있음을 알지만
내게는 여전히 이 책이 가장 읽기 좋고 편하다.
이 책을 기본으로 아이가 자라나는 대로
유아발달, 아동발달, 청소년발달 관계서적들을 찾아다 읽어가며
아이를 키우고 동시에 나 자신을 격려해왔다.
각론은 물론 개론이 철저하게 기반한 가운데 읽었다. 

하지만 발달심리학 읽기는 거기까지다.
성인발달 관련한 서적은 질적 양적으로 정말 다양한데도
책 각개가 일부 학문적 치우침이 과해 이런 건 학자나 읽지 싶은 내용이고
그 외의 대부분은 그 객관성과 보편성을 동의하기가 힘든
성공학이나 종교, 때로는 사이비가 분명한 힐링에 치우쳐 있었다.
덕분에 나는 그것들보다는 좀더 감성적이고 통찰의 섬광이 빛나는 문학을 곁에 두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문학도 길어야 인간의 50세까지만을 할당하는 분야이다.
50세 이후의 삶에 대해 문학의 보편적인 시각은 상당히 부정적이다.
대개의 저자가 자기 나이 50세 이전에, 그저 상상에 불과한 노년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래서 결국 이래저래 내게로 다가오는 노년에 대한 공포감을 키워오던 차였다. 

<행복의 조건>은
인간에게 어떤 노년이 있는지, 어떤 노년이 가능한지,
노년이 과연 행복할 수 있는지, 그 행복이란 무엇인지,
에릭 에릭슨의 발달과업 8단계이론을 바탕으로
1910년부터 현재에 이르는 광범위한 동일 대상들의 전향적연구를 통해
인간 행복의 조건을 탐구한다.  

예상 외로 공자의 어구가 등장하여 연구 결과 전체를 그야말로 관통해 버리는
통쾌함마저 들어 있어서 읽는 동안 유쾌하기도 했다.
그만큼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이고, 다행히도 그를 증명하여
삶에 대한 나름의 통찰을 얻게 하는 가치를 지니고 있는 책이다.  

 











.


대학 다닐 때 이 책이 부교재였고, 그때는 학교도서관에서 빌려 읽었다.

아이를 낳을 때가 되어서 이 책의 필요성이 느껴졌고 내가 번 돈으로 사다가 다시 읽었다.

요즘 나오는 이 분야 책들이 많이 있음을 알지만

내게는 여전히 이 책이 가장 읽기 좋고 편하다.

이 책을 기본으로 아이가 자라나는 대로

유아발달, 아동발달, 청소년발달 관계서적들을 찾아다 읽어가며

아이를 키우고 동시에 나 자신을 격려해왔다.

각론은 물론 개론이 철저하게 기반한 가운데 읽었다.

 

하지만 발달심리학 읽기는 거기까지다.

성인발달 관련한 서적은 질적 양적으로 정말 다양한데도

책 각개가 일부 학문적 치우침이 과해 이런 건 학자나 읽지 싶은 내용이고

그 외의 대부분은 그 객관성과 보편성을 동의하기가 힘든

성공학이나 종교, 때로는 사이비가 분명한 힐링에 치우쳐 있었다.

덕분에 나는 그것들보다는 좀더 감성적이고 통찰의 섬광이 빛나는 문학을 곁에 두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문학도 길어야 인간의 50세까지만을 할당하는 분야이다.

50세 이후의 삶에 대해 문학의 보편적인 시각은 상당히 부정적이다.

대개의 저자가 자기 나이 50세 이전에, 그저 상상에 불과한 노년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래서 결국 이래저래 내게로 다가오는 노년에 대한 공포감을 키워오던 차였다.

 

지금 읽고 있는 <행복의 조건>은

인간에게 어떤 노년이 있는지, 어떤 노년이 가능한지,

노년이 과연 행복할 수 있는지, 그 행복이란 무엇인지,

에릭 에릭슨의 발달과업 8단계이론을 바탕으로

1910년부터 현재에 이르는 광범위한 동일 대상들의 전향적연구를 통해

인간 행복의 조건을 탐구한다. 

 

예상 외로 공자의 어구가 등장하여 연구 결과 전체를 그야말로 관통해 버리는

통쾌함마저 들어 있어서 읽는 동안 유쾌하기도 했다.

그만큼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이고, 다행히도 그를 증명하여

삶에 대한 나름의 통찰을 얻게 하는 가치를 지니고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