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숍 살인사건 동서 미스터리 북스 10
S.S. 반 다인 지음, 김성종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다인 작품의 평가는 사람마다 다르겠으나 일단 <그린 살인사건>을 최고로 보는 데는 대부분 평자들의 의견이 일치하는 듯하다. 두 번째로는 <비숍살인사건>을 꼽는 이들이 많은 듯하나 내 생각엔 <벤슨 살인사건>이 적당한 것 같다. 그리고 세 번째부터는 우열을 가리기 힘들므로 카나리아, 비숍, 딱정벌레, 케닐, 딱정벌레, 가든을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함이 옳을 듯 싶다.

이들을 크리스티의 작품과 비교하면 그린은 <애크로이드 살인사건>외에는 적수가 없고(<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도 있지만, 서스펜스에 가까우므로 반다인의 본격물과는 비교가 어렵다.) 벤슨은 <무죄의 시련>이나 <메소포타미아의 연속살인>정도, 카나리아 등은 <오리엔트 특급살인>, <0시를 향하여>, <창백한 말>, <ABC살인사건>, <백주의 악마> 등과 대등하다고 생각된다.

크리스티의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와 더불어 동요를 소재로 한 가장 유명한 추리소설이기도 한 이 작품은 반다인의 작품 중 가장 스릴있고 군더더기가 적으며 읽어가는 재미가 좋지만, 추론부분의 빈약함이 아쉽다. 그리고 이런 식의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스토리는 아무래도 반다인답지 않다고 생각된다. 여러모로 카나리아 살인사건과 대비되는 작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관 혐오 동서 미스터리 북스 64
에드 맥베인 지음, 석인해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드 맥베인... 현재 살아있는 추리작가 중에 대가라 불릴 수 있는 유일한 작가이다. 그의 대표적 시리즈물인 87분서 시리즈는 경찰수사의 현실감 넘치는 묘사와 어느 유명작가 못지 않는 뛰어난 필력으로 유명한 작품군인데, 아쉽게도 극소수만이 번역되었다. 게다가 에드 멕베인이 포함된 추리문고에는 거의다 <경관 혐오>뿐이니 안타까운 일이다. 이 작품의 트릭은 크리스티의 어느 유명한 작품과 유사하기는 하지만 그것이 작품의 개성에 어울리게 잘 적용되었다는 느낌이다. 트릭의 고갈을 해결하기 위해 황금기이후 여러 작가들이 다양한 시도를 하였는데, 에드 맥베인의 경우는 경찰수사과정의 사실적 묘사로써 이를 훌륭하게 극복하였다고 생각된다.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Z의 비극 동서 미스터리 북스 44
엘러리 퀸 지음, 이가형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퀸의 XYZ4부작은 어느 하나 명작 아닌게 없는데, 그중 세번째 작품인 <Z의 비극>은 가장 간결하면서 극적인 구성을 가진다. 불가능한 요소들을 하나하나 제거하면서 의외의 범인을 지적하는 퀸의 날카로운 추리는 정말 압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나리아 살인사건 동서 미스터리 북스 62
S.S. 반 다인 지음, 안동민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사람들은 반다인은 트릭이 너무 가볍지 않느냐고 하는데, 절대로 그렇지 않다. 처녀작 <벤슨살인사건>도 그렇고 <그린살인사건>, <케닐살인사건>, <가든살인사건>, <딱정벌레살인사건>등 여러 작품에서 상당한 트릭을 구사하고 있다.

반다인이 그런 오해를 받는 것은 그가 극도의 충격적 결말은 피했기 때문이다. 그의 작품에는 탐정이나 해설자가 범인이라는 식의 독자가 깜짝 놀라는(그의 말을 빌면 독자를 속이는...) 설정이 없다. 그의 작품에서는 항상 용의자가 범인이다.(그것이 가장 의심을 덜 받던 사람이라 해도...) 이것은 상상력의 부족 때문이기도 하지만, 스스로가 정하고 고집스럽게 추구한 페어플레이 정신을 지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회피한 까닭이 더 크다. 그리고 그런 오해에는 <카나리아 살인사건>의 영향도 크다.

이 작품은 트릭과 물적 요소를 철저히 배제하고 오로지 심리학만을 추구한다. 이해하기 어려운 범죄심리학이 번스 특유의 현학적 어투로 마구 흘러나오니, 반다인의 팬이 아니라면 읽기가 고역일지도 모르겠다. 이제까지의 트릭과 물적증거 위주의 추리소설에 대해 심리학 중심의 카나리아 살인사건은 매우 청신한 느낌을 주는 것이 사실이나, 심리학만으로는 범인이 누구인가를 맞출 수는 있어도 그것을 증명할 길이 막막하다. 그런 의미에서 카나리아 살인사건은 절반의 성공이라 하겠다. 반다인 역시 이 작품이후 물적 요소의 비중을 눈에 띄게 증가시켰다.

심리학에 치우친 나머지 트릭이 평범한 것이 불만이고 논리의 비약이 너무 심한게 아닌가도 싶지만, 대가의 작품으로 손색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차이나 오렌지의 비밀 동서 미스터리 북스 68
엘러리 퀸 지음, 김우종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퀸의 국명 시리즈는 반다인의 영향을 받아 철저하게 지적 게임이라는 구도하에 페어플레이 정신을 고수하며 쓰여진 독특한 작품들이다. XYZ4부작과 비교하면 인간성에 대한 성찰이 부족해서 좀 가벼운 느낌이지만, 작가의 추리소설을 향한 순수한 열정이 좀더 드러나기도 한다. 그런데 매번 ~의 비밀이라는 고정적 제목처럼 국명 시리즈는 하나의 틀이 작품의 한계를 설정하여 지나치게 작위적이고 기계적인 느낌을 줄때도 있는데, 바로 이 작품이 그러한 대표적 경우가 아닌가 싶다. 사건 현장의 시체나 모든 사물들이 거꾸로 되어있다는 설정은 미스터리적 흥미를 자극하기도 하지만 너무 작위적인 느낌이 들어 현실감을 떨어뜨린다. 게다가 그 기괴한 발단에 비해 해명은 그다지 놀랍지 않으니 더욱 그러하다. 퀸의 작품으로는 중간 이하라 판단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연 2004-08-03 13: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엘러리퀸이 이런 추리물을 썼다는 게 믿겨지지 않을 정도로..실망이었슴다 =.=
너무 작위적인 구성이었죠...앞뒤도 안 맞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