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는 경제의 미래를 알고 있다
박종연 지음 / 원앤원북스 / 201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10월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국내 은행이 벌어들인 이자수익은 지난해 2분기 대비 2000억 원 가량 증가한 8조 5000억 원을 기록했다. 현재 기준금리(1.25%)보다 작년 금리가 0.5%포인트 높았던 것을 감안하면 오히려 이자로 벌어들인 이익이 늘어나는 기현상이 벌어졌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긴 것일까? 기사에 따르면 우선 고려해 볼 수 있는 것은 시중금리와 연동성이 적은 집단대출이나 장기간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는 주택담보대출 규모를 키웠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한국은행에서 시중은행에 공급하는 중소기업대출 저리 자금(연이자 0.75%)을 3%대 고리로 대출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5년 전만 해도 3.0%대였다. 올해 6월 9일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연 1.5%에서 1.25%로 전격 인하했었다. 그렇다면 한국은행에서 말하는 ‘기준금리’는 무엇일까? 국내에서는 ‘환매조건부매매(RP, Repurchase Agreements) 7일물 금리’를 기준금리로 삼고 있다. ‘환매조건부매매(RP)’란 중앙은행이나 금융기관이 일정 기간 후 확정 금리를 보태 되사거나 파는 조건으로 거래되는 채권을 말한다. ‘기준금리’는 일종의 채권 금리인 셈이다.

 

 

저자에 따르면 금리는 경기 흐름에 동행하거나 후행하는 것이 아니다. 금리에는 미래의 경제 상황이 투영되어 있다. 금리 종류만 해도 수십 가지가 있다. 각 금리 간의 스프레드를 살펴보면 미래의 경제 상황을 예상해볼 수 있다.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이 ‘국고채 3년 – 기준금리 스프레드’ 또는 ‘국고채 10년 – 국고채 3년 스프레드’다. 이런 장단기 스프레드가 확대된다면 미래에 금리가 상승하리라는 예상이 반영되는 것이며, 경제 상황이 금리가 상승한 만큼 성장률이 높아지고 물가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반영된 것이다.

미국 연준(연방준비제도이사회)은 2015년 12월 16일 9년 6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0.25%에서 0.25~0.50%로 인상했다. 이후 추가 금리 인상 시기는 계속 늦춰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 말께 인상을 전망하고 있다. 문제는 금리를 인상하기 위해서는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다는 것이다. 미국경제는 신속한 구조 조정과 적극적인 경기 부양,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 등으로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글로벌 경제 상황은 여전히 좋지 않다. 가령 미국 제조업과 수출 증가율이 둔화되면서 세계 통화정책의 추이를 함께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우리 경제에 대한 저자의 전망은 어떨까? 그는 국내외적으로 장단기 스프레드가 축소 흐름을 보이고 있어 세계 경제의 저성장 기조가 계속될 것으로 본다. 국내적으로는 0%대 금리가 시간 문제로 보이며, 곧 성장률도 1%대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

우리의 자세는 무엇일까? 저성장, 저물가, 저금리 기조를 받아들이고 이에 대비한 삶의 패턴을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은 금리와 통화정책에 대한 다양한 지식은 물론이거니와 국내외 경제에 대한 폭넓은 식견을 아우른다. 다가올 경제의 미래를 금리로 예측해 보는 통찰력은 빼놓을 수 없는 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