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발원 1 - 요석 그리고 원효
김선우 지음 / 민음사 / 2015년 5월
평점 :
얼마 전 첫 눈이
내렸다.
하얀
순정을 품은 양 앙상한 천지에 말갛게 내려앉았다.
영산의
붓다께서 법문하시던 어느 날 허공에서 흩날린 연꽃잎처럼.
요즘 시국이
하수상하다.
국정
교과서니 민중 총궐기 대회니,
대화와
소통이 부재한 시대에 고통스런 아픔의 여기저기서 솟아 나온다.
이를
어찌 할 것인가.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우리 시대의 붓다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되돌아볼 수 있었다.
신라
시대 혼탁한 세상을 바꾸고 불국토를 이루고자 했던 원효 그리고 그이를 진정 사랑했던 여인,
요석의
이야기다.
김선우
작가.
그녀는
줄곧 시대의 아픔을 위한 동참의 글,
체험의
문학을 펼쳐왔다.
불교에
정통한 그녀가 이번에 새로이 들고 온 화두는 ‘발원’(發願)이다.
작가의 재능이 참
부럽다.
시적
탐미를 위안 여운의 감성에서 이야기를 끌어낼 수 있는 밭은 열정까지 두루 갖추었다.
이번
작품에서 원효의 생애와 사상을 능준하게 되살렸다.
그녀는
소설을 쓰면서 원효와 공유할 수 있는 꿈을 기꺼이 꾸었으리라.
부처는
말씀하셨다,
“영원한
스승은 내가 깨닫고 설파한 가르침”이라고.
지금
이 땅,
이
시대의 백성에게 필요한 것도 붓다의 맨 발,
맨
발의 붓다겠다.
붓다의 가르침은
큰 틀로 보면 사성제(四聖諦)에
온전히 담겨 있다.
이에
따르면 중생이 겪는 괴로움의 원인은 타자가 아닌 자신에게 있다.
바로
무명(無明)과
갈애(渴愛)다.
십이연기의
시초는 무명에서 비롯된다하였다.
명상과 정진 없이
관념을 일시에 불식시킬 수는 없다.
온갖
번뇌의 온상인 자아 관념을 잡아두기 위해서는 취미,
예술,
사랑
등 활동이 필요하다.
이는
쾌락과 결합되어 있으니,
곧
감각적 쾌락을 누리는 이들의 하늘인 도리천이다.
선덕
여왕의 ‘선덕(善德)’은
도리천을 주재하는 천신의 이름이니,
당시
신라가 호국 불교의 의지가 강했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원효가 의상과
함께 당으로 향하던 길에 마신 해골 물에서 빛이 폭발하는 듯한 깨달음을 얻었으니.
바로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다.
선악
미추의 차별 현상은 모두 관념에서 비롯된다는 진리의 말씀이다.
내
생각에 이는 붓다의 십이연기와 일맥상통한다고 본다.
당시 신라는
법흥왕,
진흥왕,
진평왕으로
이어지는 동안 영토와 세를 확장하기 위해 전쟁에 여념이 없었다.
왕실의
번영과 귀족의 기득을 지키기 위해 백성들의 생명은 헛되어 소모되었고 민생들의 고통은 더욱 피폐해졌다.
원효는
바로 만 백성의 괴로움과 고통의 중심에 의연히 서고자 했음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