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부 이야기
장회익 지음 / 현암사 / 2014년 12월
평점 :
장회익 선생은 생명의 근원을 찾아 나선 물리학자다. 생명과 물리는 별개의 영역 같지만 서로를 이해하는데 동반자 같은 관계다. 아니, 선생에 따르면 뫼비우스의 띠와 같다.
모든 만물이 종내는 하나의 원리로 수렴되듯이 생명 현상과 물리 법칙도 그러하다. 선생은 미국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획득한 후 ‘생명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탐색하기 시작한다. 에르빈 슈뢰딩거가 〈생명이란 무엇인가〉를 찾아갔듯이.
이 책은 2008년 《공부도둑》으로 나왔던 것을 새롭게 다듬어 낸 것이다. 선생은 1938년생이니 초판이 나온 2008년이 꼭 칠순이 되던 해였다. 본래 책 제목이 ‘공부도둑’이듯 선생은 앎을 훔쳐내는 도둑이 되고자 했다. 이제는 생명의 정수(精髓)를 찾아 ‘삶 중심의 학문’에 심취해 있다.
어떻게 물리학을 통해 생명의 신비로까지 나아가게 되었을까? 책에는 선생이 지적 호기심과 학자의 열정으로 우주 만물의 근원을 찾아 한 평생 달려온 대하드라마가 펼쳐진다. 초반은 조금 생뚱(?)맞고 지루하게 시작되지만 인내심을 가지고 버텨보자. 선생 만이 선보일 수 있는 독특한 경지의 세계가 펼쳐진다.
선생은 목차를 열두 마당으로 나누고 마당마다 이야기를 몇 토막 씩 담았다. 주요 내용은 그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30여년 재직하는 등 자신이 지나온 자취를 점검하고 생을 되돌아보는 형식이다. 선생에게 이 책은 자신의 회고록이자 자서전이기도 하다. 아인슈타인이 만년에 쓴 『자서전적 노트Autobiographical Notes』(1949)와 같은.
내 삶이 끝없이 ‘앎’을 추구하며 지내온 과정이 아니었나 한다. 이것은 뭐 그리 대단한 탐험의 길도 아니었고 또 대단한 성취를 얻은 것도 아니었지만, 그저 즐기면서 함께해온 놀이로는 의미 없지도 않았다는 생각이 든다. 평생 앎과 숨바꼭질하며 살아온 생애라고도 할 수 있다. - 초판 서문
그는 물리학이 좋아 물리학을 더 공부해야겠다는 일념으로 청주공업고등학교로 진학했다. 자유로운 야생(野生)의 분위기에서 꾸준히 공부한 결과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 입학하게 되었다.
선생은 자신이 읽고 공부했던 책과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이룬 학문의 성취에 대해 마치 지층을 쌓듯 하나 하나 들려 준다. 나는 이 책을 보는 독자에게 열두 마당을 순서대로 읽기를 권한다.
책을 보면 선생은 자신의 교육관도 자세히 피력한다. 가령 물리학과를 다니던 당시 처했던 어려운 상황(강의가 체계적이지 못함, 구하기 힘든 원서 등)에 어떻게 대처하면 좋았을지 조언한다. 이는 곧 나에게도 도움이 되는 공부법이다.
“물리학 전체에 대해, 그리고 이와 연결해 개별 과목에 대해 그것이 담고 있는 핵심적 내용이 무엇일까를 깊이 생각하고 그 잠정적 결론을 자기 언어로 서술하라. 그리고 학습이 진행되는 대로 이것에 대한 수정·보완을 수행해 나가되 그 핵심은 반드시 유지하라. 이렇게 할 경우 설혹 시간을 많이 들이지 않더라도 핵심은 항상 파악할 수 있으며 이것만으로도 최소한의 학점 관리를 해나갈 수 있다.” - 161쪽
통찰과 혜안으로 학문의 본질을 꿰뚫어 보라는 것이요, 먼저 전체를 파악해서 부분을 채우라는 것이다. 한국 대학의 교육 여건과 대학생의 역량 수준에서 이를 해내기는 결코 쉽지 않은 주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그는 ‘송아지 사육론’을 제창한다. 이는 ‘자동차 조립론’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자동차 조립론’은 물리학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수학을 비롯한 개별 과목과 항목들의 지식을 먼저 다 익혀야 비로소 쓸 만한 물리학자가 된다는 것.
이에 반해 ‘송아지 사육론’은 물리학은 아무리 미숙하더라도 살아 있는 송아지 같아서 이미 전체적으로 작동해야 하며, 단지 학습이라는 것은 여기에 영양을 공급해 키우는 일일 뿐이라는 점이다. 즉 부분을 마련하기 전에 전체를 의식해야 하며, 이렇게 할 때는 항상 살아 있는 것이기에 삶의 기쁨을 맛보며 자랄 수 있다는 것이다.
부분과 전체, 어느 것이 더 큰가 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학문마다 내용이 다르고, 과정에서도 수준에 따라 달리 적용되거나 통합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여기서 말해 두고 싶은 것은 서구 학문은 부분의 정확성을 중시하고, 동양 학문은 전체의 균형을 중시한다는 것이다. 이는 서양의학과 한의학이 우리 몸과 마음을 어떻게 보고, 어떻게 치유하는지를 살펴보면 금세 이해가 된다.
여담으로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를 보면 양자역학을 둘러싼 다양한 견해가 어떻게 발산되고 수렴되었는지 파악하기에 좋다.
선생에 따르면 공부는 나이를 먹어가면서 더 재미있어질 수도 있다. 공부에는 오로지 앎의 깊이를 더해야겠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충분하다는 것. 그렇게 하면 저절로 더 아름다운 삶, 더 즐거운 삶으로 이어진다.
마치기 전에 선생이 제창한 생명론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그는 생명을 낱생명, 보생명과 온생명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생명체의 신비는 생명체(낱생명) 자체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그것과 밖에 놓인 무엇(보생명) 사이의 관계에서 온다. 이 둘이 합쳐 완결된 실체로서의 온생명을 이루게 된다는 것. 이는 1940년대 슈뢰딩거가 설파한 생명의 원리보다 더 한층 진일보한 개념이다.
이제 선생이 생명에 관해 다룬 다른 책을 읽어야겠다. 나도 선생이 이끄는 뫼비우스의 띠로 나서 보련다.
* 사족 하나. 본문에는 “심괄의 《몽계필담》이 국내에 한 번도 출간된 적이 없는 듯하다”(313쪽)고 언급되어 있다. 실은 2002년에 범우사를 통해 국내에 소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