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은 지 꽤 됐는데... 문득 기록장에 올리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를 굉장히 감명깊게 봤는데, 책에서 받은 감동은 그보다 조금 덜했다. 세상은 결코 나누어져 있지 않다. 하나의 큰 진리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난 묘지가 무섭지 않아. 죽은 사람들은 너하고 내가 원하는 것들을 똑같이 원하는 사람들일 뿐이야."
  그가 말햇다.
  "우리가 원하는 게 뭔데?"
  나는 몽롱하게 물었다.
  "이런, 자식, 너도 알잖아. 우리가 원하는 건, 그러니까, 지금 여기 누워 있는 사람들이 원하는 것과 똑같아."
  "그게 뭐냐니까?"
  그가 어깨를 으쓱하며 말했다.
  "사는 거라고 생각해." (84쪽)

죽음은 세상과 좀 떨어진 곳에서 이 세상의 계속되는 역사에 참여하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램프와 가구가 있는 방에서 친구들이 더 이상 내가 아닌 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나는 그 자리에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 상태로 있는 것. 죽음도 이것과 비슷할 것 같았다. (257쪽)

사람들은 죽은 자들이 과거 속에서만 살아있다고 생각하지만 나는 그들이 끝나지 않는 현재 속에 존재한다는 것을 이제 믿는다. (364쪽)

죽은 사람들의 가장 놀라운 점은 그들이 한결같다는 것이다. 그들은 앞으로 천 년이 지나도 지금과 똑같이 죽어 있을 것이다. (429쪽)

나는 그가 병에 걸린 것 때문에 그에게 화가 나 있었지만, 동시에 내가 만약 병에 걸렸을 때 남들이 나를 보살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그를 보살펴 주어야 한다는 의무감을 느끼고 있었다. (535쪽)
 ->때로 돕기 싫은 일을 도울 때, 나는 생각하곤 한다. 이 상황에 내가 빠졌을 때, 나는 얼마나 도움을 바랄까.

그러나 이 집은 지금 이 자리에 서 있고, 레베카가 스무 살이 됐을 때에도 여전히 여기 서 있을 것이다. (563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울보 2006-01-24 22: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명란님 방학이시군요,
그래도 바쁘신가 봐요,
새해복많이 받으세요,
이제 2학년이네요,,에고 점점 힘들어지시겠네요,

明卵 2006-01-24 2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울보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ㅂ^ 방학인 건 맞는데, 아직 학교입니다. 보충수업이 있거든요.. 지금은 자습시간이고요, 멀티실이랍니다.